Boards
글 수 27,479
저는 일산에 삽니다.
그래서 집에 오려면 일산 시내에 있는 소방서를 지나가죠. (하나로 텔레콤 옆에 있는..)
근데 오늘.. 저녁 10시 좀 넘어서 신호대기중에 소방차들이
싸이렌 켜고 여러대가 나오더군요...
근데 참 어이없는게..
뭐가 그리들 바쁘신지 소방차 지나가려는데 그 앞으로 샥삭 끼어들면서 자기 신호라고
지나가는 차들..
소방차가 움찔움찔거리면서 빵빵 거려도 너도나도 무시하고 그냥 가버리더군요.
소방차는 어쩃든 신호를 무시하고 지나가긴 했는데 곧 저도 출발했는데
한 4분 정도 가다보니 또 다른신호에서 다른 차들이 양보를 안해줘서
가로막혀있더군요..결국 소방차들은 신호를 무시하면서 갔지만, 결국은
저랑 비슷하게 한참을 주행하더군요..후에 가는 방향이 엇갈렸습니다만...
한국은 이럴때 보면 정말 운전 에티켓이 바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에 잠시 살떄는 구급차 한대만 지나가도 모든 차들이 갓길쪽으로 차들을 피하고 멈추기
까지 하는데...우리나라는 소방차와 구급차가 떼지어서 달려가도
무시하고 제 갈길 가는걸 보니 참...
그리고 환자 없이 바쁜일 없는데 사거리 지날때만 사이렌 키고 가는
구급차들...좀 자제해줬으면 하는 생각이~~
암튼.. 소방차나 경찰차, 구급차등이 지나갈때는
나 하나쯤이야 하는 생각보다는 그 차들이 지나간 뒤에 양보하고 가는게
훨씬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사고난 사람이 자기 가족이라고
생각하면 절대로 그런행동은 못할텐데 말이죠..
그래서 집에 오려면 일산 시내에 있는 소방서를 지나가죠. (하나로 텔레콤 옆에 있는..)
근데 오늘.. 저녁 10시 좀 넘어서 신호대기중에 소방차들이
싸이렌 켜고 여러대가 나오더군요...
근데 참 어이없는게..
뭐가 그리들 바쁘신지 소방차 지나가려는데 그 앞으로 샥삭 끼어들면서 자기 신호라고
지나가는 차들..
소방차가 움찔움찔거리면서 빵빵 거려도 너도나도 무시하고 그냥 가버리더군요.
소방차는 어쩃든 신호를 무시하고 지나가긴 했는데 곧 저도 출발했는데
한 4분 정도 가다보니 또 다른신호에서 다른 차들이 양보를 안해줘서
가로막혀있더군요..결국 소방차들은 신호를 무시하면서 갔지만, 결국은
저랑 비슷하게 한참을 주행하더군요..후에 가는 방향이 엇갈렸습니다만...
한국은 이럴때 보면 정말 운전 에티켓이 바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에 잠시 살떄는 구급차 한대만 지나가도 모든 차들이 갓길쪽으로 차들을 피하고 멈추기
까지 하는데...우리나라는 소방차와 구급차가 떼지어서 달려가도
무시하고 제 갈길 가는걸 보니 참...
그리고 환자 없이 바쁜일 없는데 사거리 지날때만 사이렌 키고 가는
구급차들...좀 자제해줬으면 하는 생각이~~
암튼.. 소방차나 경찰차, 구급차등이 지나갈때는
나 하나쯤이야 하는 생각보다는 그 차들이 지나간 뒤에 양보하고 가는게
훨씬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사고난 사람이 자기 가족이라고
생각하면 절대로 그런행동은 못할텐데 말이죠..
2006.11.04 01:22:15 (*.60.148.124)

저도 언젠가는 하고 싶었던 얘기인데, 동감입니다. 미국에 잠시 있었을때 구급차나 소방차가 지나가면 같은 차선은 물론, 심지어 반대편 차선의 차들도 인도쪽으로 차를 정차시키는걸 보고 문화적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나네요 (뒷사람을 위해 문 잡아주는 것도 그당시 문화적 충격이었음 -_-;) 아무튼 우리나라도 면허취득시부터 이런 것들은 철저하게 교육을 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06.11.04 01:46:37 (*.136.97.65)

희한하네요... 광주쪽에 살면서 그런경우는 별로 보질 못했습니다.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벌칙금이 구체적으로 매겨지면 또 나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타까운 현실이네요.. 벌칙금이 구체적으로 매겨지면 또 나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
2006.11.04 03:02:15 (*.112.206.174)
운전에티켓은 아니지만, 뒷사람을 위해 문을 잠시 잡아두는것도 요즘엔 한국에서도 자연스레 경험하게 되더군요, 예전부터 실천해오던 것인데 자리잡아 가는것 같아서 기쁩니다.
응급차량이 지나가는 상황에서의 일반차량의 대처는 법적으로 좀더 엄격하게 규정해놓아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응급차량이 지나가는 상황에서의 일반차량의 대처는 법적으로 좀더 엄격하게 규정해놓아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06.11.04 07:53:31 (*.72.233.241)

뉴욕갔다온 여친의 말씀으로는 어디선가 사이렌 소리가 들리면, 멈춘 차들 사이로 경광등만 번쩍이면서 슈욱~ 하고 지난가는 모습이 상당히 인상깊었다고 하더군요.
2006.11.04 08:58:24 (*.140.33.250)

저도 이점이 언젠가 빨리 개선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속 바램이 큽니다만...
몇몇 도로에서는 도로사정때문에 비켜주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있죠..
음.. 저도 일산입니다만, 버스 전용차선을 쓰게 해주면 어느정도 해결이 될까요? -0-
몇몇 도로에서는 도로사정때문에 비켜주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있죠..
음.. 저도 일산입니다만, 버스 전용차선을 쓰게 해주면 어느정도 해결이 될까요? -0-
2006.11.04 09:03:50 (*.68.76.242)

차량들이 비켜줄 의사들이 있다면 교통상황이 나빠도 길을 내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맨해튼에서도 위급 차량들이 그 막히는 도로를 잘도 뚫고 지나가는데, 도로의 운전자들 모두가 거의 필사적으로 보도쪽으로 촘촘히 붙으면서 길을 내줍니다.
2006.11.04 09:34:33 (*.129.213.244)

제일먼저 해야할 일은 정부차원에서 사이비 긴급차량을 철저히 단속한 후, 긴급차량의 외관을 모두 통일시키고 철저한 계몽을 통해 긴급차량을 비켜주는 문화를 키워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긴급차량안에 내 가족이 타있다고 생각하는 그런 정신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06.11.04 11:15:30 (*.149.182.47)

서울 영동세브란스병원 근처 건물 26층에 있어서 앰블런스나 119, 소방차가 지나가는 것을 자주 내려다 보게 됩니다. 소리가 요란하게 날때마다 항상 밖을 내려다보면 분명 승용차들은 비껴주긴 하더군요..근데..차선의 오른쪽으로 붙는차 왼쪽으로 붙는차 가지 각색이어서 결국 길을 쭉~ 내주지 못하더라구요. 비켜준 공간 사이사이 ㄹ자모양으로 앰블런스가 돌아돌아 가는 것을 자주 봅니다..특히 소방차가 출동할때는 승용차들이 비켜주어도 차량이 커서 공간이 안되니 거의 도움이 안되었습니다. -_-; 한쪽으로만 붙어서 길을 쭉내주어도 충분히 지나갈수 있었을텐데 말입니다..
2006.11.04 11:58:04 (*.243.195.38)

일본의 예입니다만, 운전 중 차안에서 싸이렌 소리가 처음 들렸을 때는 뒤편인지 건너편 차선인지 분간이 잘 안됩니다. 그래서 일단 미러들을 통해 뒤에서 접근하고 있는지를 주시하다가 자신이 주행하고 있는 방향이라고 판단되면 비켜준다 라고 마음의 준비를 하는데(이것이 우리나라의 상황이라면)...일본에서 이러면 박자가 늦습니다. 주시하고 생각하는 사이에 이미 "나 홀로 도로에" 상황이 돼버립니다. 다른 차량들이 쟤 왜 저러냐..식의 따가운 눈총을 보내는 게 온몸으로 느껴집니다. 소위 혼자 튀게 돼버리는 거죠. 구급차를 비켜주는 속도가 선생님 온다는 경보에 자기자리로 돌아가는 속도 보다 더 빠릅니다. 선진국의 응급차 양보 scene이 멋있게만 보였는데, 막상 그 양보속도에 맞추려면 배틀할 때의 빠른 판단과 운전법이 필요할 정도였습니다.
2006.11.04 12:12:22 (*.168.183.59)

미국서는 무조건 습니다.. 이유를 보아하니.. 돈이 무서운겁니다.. 소방차 방해했다가
경찰에게 잡히면.. 철장 혹은 무거운 벌금이기에.. 그게 싫어서 인가 싶습니다..
경찰과 소방차 등의 권위확보가 우선시 되겠네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말입니다..
경찰에게 잡히면.. 철장 혹은 무거운 벌금이기에.. 그게 싫어서 인가 싶습니다..
경찰과 소방차 등의 권위확보가 우선시 되겠네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말입니다..
2006.11.04 12:25:07 (*.137.219.156)

재완님이 말씀하신게 맞습니다.
미국에서 앰뷸런스 운전자격증을 따고 앰뷸런스나 제 차 (emergency lightting 이 installed 돼있습니다) 를 운전할때마다 느끼는 건데 미국사람들 이 법은 정말 잘 지키죠.
미국은 고등학교에서 11학년(고2~3) 일때 driving 클래스가 있습니다.
어릴때부터 가르치는 제도도 참 좋은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하이웨이에서 긴급차가 지나갈때 비켜주는법, one way 4 거리에서 서주는법,local street에서 서주는 법 등등..
미국에서 앰뷸런스 운전자격증을 따고 앰뷸런스나 제 차 (emergency lightting 이 installed 돼있습니다) 를 운전할때마다 느끼는 건데 미국사람들 이 법은 정말 잘 지키죠.
미국은 고등학교에서 11학년(고2~3) 일때 driving 클래스가 있습니다.
어릴때부터 가르치는 제도도 참 좋은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하이웨이에서 긴급차가 지나갈때 비켜주는법, one way 4 거리에서 서주는법,local street에서 서주는 법 등등..
2006.11.04 12:55:57 (*.251.229.168)

저번에도 리플에 남겼지만 미국에선 좁은 골목길에서 긴급차량이 달려오니까 차들이 인도위로 점프해서 올라가더군요. 길이 한순간에 쫙 뚫려서 진짜 깜짝 놀랐습니다..
그 파괴력은 긴급차량 운전자에게 주어진 진로방해 단속권에 있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도 구급차, 소방차 운전자에게 진로방해 딱지를 뗄 권한을 준다면
차들이 인도위로 올라가고 중앙분리대도 뚫고 나갈 겁니다...ㅎㅎ
경찰이 와서 단속한다는 건 현실적이지 못하죠.
그 파괴력은 긴급차량 운전자에게 주어진 진로방해 단속권에 있다고 봅니다.
우리나라도 구급차, 소방차 운전자에게 진로방해 딱지를 뗄 권한을 준다면
차들이 인도위로 올라가고 중앙분리대도 뚫고 나갈 겁니다...ㅎㅎ
경찰이 와서 단속한다는 건 현실적이지 못하죠.
2006.11.04 13:31:56 (*.215.207.133)

미국에 위급차량에 대한 진로양보를 강제하는 법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실 이런 것이 사람들 몸에 배어있습니다. 인명을 엄청 중시하는 문화도 있구요 (물론 남의 나라는 막 처들어갑니다만...).
제가 있는 뉴욕같은 개판스런 곳에서는 볼 수 없지만, 수년젼에 캘리포니아의 버클리에서 왕복 4차선 도로에서 제가 보도에서 도로(2차선)에 발을 내려놓자 마자 보행신호가 있건 없건 1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가 급정거를 하는 것을 보고 충격/감동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보행신호와 상관없이 반대편까지 보행자가 건너가 보도위에 올라갈 때까지 차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뉴욕같은 바쁜 도시가 아니면 타차량이나 사람에게 차의 클랙션을 눌러대는 것은 꽤 실례입니다. 타 차량의 뒤를 바짝 붙어 쫓아가는 일도 무례한 행동입니다 (물론 뉴욕은 예외입니다). 남부 어느 도시에 있던 후배 하나는 뒤에 차가 하나 기다리는 줄 모르고 골목길에 한 가운데서 차안에서 딴 짓 하느라 그 차량을 10여분간 서있게 했다더군요. 후배의 기억이 좀 과정되었더라도 지역에 따라 적어도 몇 분 정도는 기다려주는 여유를 보이는 곳들이 있습니다.
제가 있는 뉴욕같은 개판스런 곳에서는 볼 수 없지만, 수년젼에 캘리포니아의 버클리에서 왕복 4차선 도로에서 제가 보도에서 도로(2차선)에 발을 내려놓자 마자 보행신호가 있건 없건 1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가 급정거를 하는 것을 보고 충격/감동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보행신호와 상관없이 반대편까지 보행자가 건너가 보도위에 올라갈 때까지 차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뉴욕같은 바쁜 도시가 아니면 타차량이나 사람에게 차의 클랙션을 눌러대는 것은 꽤 실례입니다. 타 차량의 뒤를 바짝 붙어 쫓아가는 일도 무례한 행동입니다 (물론 뉴욕은 예외입니다). 남부 어느 도시에 있던 후배 하나는 뒤에 차가 하나 기다리는 줄 모르고 골목길에 한 가운데서 차안에서 딴 짓 하느라 그 차량을 10여분간 서있게 했다더군요. 후배의 기억이 좀 과정되었더라도 지역에 따라 적어도 몇 분 정도는 기다려주는 여유를 보이는 곳들이 있습니다.
2006.11.04 14:19:28 (*.12.196.38)

우리나라에서도 구급차에 길을 터주는 문화가 여기저기서 관찰되는 (저도 두어번 봤습니다만 반응들이 좀 늦긴 하더군요) 상황인데, 아직은 계몽이 더 필요한 모양입니다.
2006.11.04 16:01:29 (*.250.26.117)
긴급자동차에 대한 양보는 너무나 당연하고 무조건적적으로 지켜져야 할 문제입니다만, 한국에서 이런 문화가 잘 정착되지 못하는 데는 구급차로 돈을 받고 승객을 나른다거나 김장용 배추를 실어 나른다든가 하는 선진국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작태들이 심심치 않게 보여지기 때문이 아닐까요? 긴급 자동차들을 관장하는 기관에서, 아마도 건교부겠지만, 엄격한 규정에 따라 강력하게 제어해야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2006.11.04 18:46:56 (*.137.219.156)

전형욱님말 동감됍니다
제가 방학때일하는 앰뷸런스 스테이션에서 뉴욕 columbia presbyterian을 가야할때가 가끔있는데
fort lee 에서 george washington 까지.....그리고 허드슨 parkway를타고 ...
신기한건 george washington에서 몇몇차들은 서주더군요 .ㅋ
제가 방학때일하는 앰뷸런스 스테이션에서 뉴욕 columbia presbyterian을 가야할때가 가끔있는데
fort lee 에서 george washington 까지.....그리고 허드슨 parkway를타고 ...
신기한건 george washington에서 몇몇차들은 서주더군요 .ㅋ
2006.11.04 19:04:01 (*.51.167.39)
재일님 긴급자동차를 관할 하는곳은 경찰청입니다.
우편수송차량 전기공사차량등 개인구급차의 경우 지방청장이 허가를 받습니다.
재일님 말씀처럼 진짜 고기집 앞에 사람을 수두룩하게 내려놓고 가는 구급차가 있더군요
그런점들을 자주 목격함으로서 일반시민들이 구급차에 대한 생각이
더욱 더 안좋아지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우편수송차량 전기공사차량등 개인구급차의 경우 지방청장이 허가를 받습니다.
재일님 말씀처럼 진짜 고기집 앞에 사람을 수두룩하게 내려놓고 가는 구급차가 있더군요
그런점들을 자주 목격함으로서 일반시민들이 구급차에 대한 생각이
더욱 더 안좋아지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2006.11.04 20:01:15 (*.160.214.70)

독일에서도 긴급차량에 대한 우선순위는 대단합니다. 교차로에서 신호대기 중에 서 있다가 싸이렌소리가 들리면 모든 차량들이 '그대로 멈춰라' 상태로 있다가 긴급자동차에게 차로를 만들어주더군요. 이를 지키지 않았을 경우에 벌금과 벌점이 엄청나지만 그보다도 면허 취득시에 중요한 사항으로 분류해 놓는 이유로 다들 잘 지키는 것 같습니다. 한국도 면허 취득 과정을 강화시키고 벌금, 벌점을 높이면 금방 해결될 문제 같네요 ^^*
2006.11.04 21:25:42 (*.76.7.220)

운전교육을 고등학교 소양과목에 필수과목으로 해놓으면 참 좋을거 같네요^^ 내용은 건교부 같은데서 만들지 말구 테스트 드라이브 고수님들 모여서 집필 하시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을 해봅니다. 응급차량에 대해서 비켜주냐 안 비켜주냐도 교육의 정도의 차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2006.11.04 23:35:35 (*.143.162.245)

보통 좌우가 분리대등으로 막힌 2차선 도로에서는 뒤에서 사이렌소리가 들려도
"어쩌라고? 방법없는데?" 하는 분들이 대다수 입니다.
그럴 경우에는 1,2차선 차량이 각각 좌우로 붙여서 서행하면 가운대로 충분히 차량 1대 지나갈 공간이 나옵니다. 대부분 너무 무관심하죠.
앰뷸런스나 경찰차는 긴급목적을 가진차임엔 분명한데, 아주 생x랄을 하고 다니는 렉카차들한테나 무거운 벌금을 부과했음 하는 바램입니다. 막말로 앰뷸런스나 경찰, 소방이 급하지 레카차가 뭐가 그리 급할까요? 자기들 돈벌이 때문이죠.
"어쩌라고? 방법없는데?" 하는 분들이 대다수 입니다.
그럴 경우에는 1,2차선 차량이 각각 좌우로 붙여서 서행하면 가운대로 충분히 차량 1대 지나갈 공간이 나옵니다. 대부분 너무 무관심하죠.
앰뷸런스나 경찰차는 긴급목적을 가진차임엔 분명한데, 아주 생x랄을 하고 다니는 렉카차들한테나 무거운 벌금을 부과했음 하는 바램입니다. 막말로 앰뷸런스나 경찰, 소방이 급하지 레카차가 뭐가 그리 급할까요? 자기들 돈벌이 때문이죠.
2006.11.05 02:42:24 (*.147.181.101)

방금 창밖(분당사거리)에 싸이렌 소리가 들리길래 내려다 보니 소방차가 급하게 달리더군요. 소방차 바로 앞에서 달리던 차가 비어 있던 차선을 내주기는 커녕 차선을 바꿔서 하나남은 차선까지 막고 신호 대기에 들어갔고 소방차는 중앙선 넘어서 어렵게 진행을 하는데 마침 좌회전중인 차량들은 양보도 없이 신나게 달리는걸 목격했습니다. 불난 집이 자기집일지도 모르는데. 씁쓸했습니다.
2006.11.05 13:49:17 (*.152.151.7)
저도 신경외과 인턴시절에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엠불런스를 타본적이 있는데, 고대 구로병원에서 고대 안암병원 까지 퇴근시간에 25분만에 갔습니다. 싸이렌 소리가 들릴때 비켜주는 요령에 대한 교육만 조금 더 된다면 훨씬 효율적인 이송이 가능할 것 같더군요..
비켜주고 싶어도 어떻게 비켜줘야 할지 몰라하는 눈치들이었습니다.
비켜주고 싶어도 어떻게 비켜줘야 할지 몰라하는 눈치들이었습니다.
2006.11.05 18:17:21 (*.99.69.71)

물론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어야겠지만 긴급 자동차에 대한 인식과 배려가 먼저겠지요.
처벌이 무서워서 법을 지켜야하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요즘은 그래도 잘 비켜주는 광경을 흔히 목격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를 보셨나보네요.
그 이유를 생각해보면
1. 지나치게 짙은 팅팅의 만연으로 인해 전방은 물론 후방의 긴급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다.- 필요 이상으로 짙은 틴팅을 한 차량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추돌 사고 확율도 높고, 도로 흐름이 느려지고 운전이 조급해지는 원인도 됩니다. 여러모로 좋지 않지요.
2. 긴급 자동차의 사이렌 소리가 너무 작다( 도심이나 주택가에서는 강변 북로 처럼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는 더 큰 음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해야한다.) - 소리가 작으면 미리 인식할 수가 없음.
3. 긴급 자동차를 만났을 때 대처는 어떻게 하며 어느 쪽으로 비켜줘야하는지 교육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비켜주려는 마음만 있다면야.
4. 사이렌 없이 비상등과 상향등만 켜고 주행하는 경우엔 '가짜' 긴급 상황인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정에 메말라가는지 모르겠지만, 지나치게 물질적인 풍요만을 좇는 문화로 흘러가는 탓 때문인 것도 같습니다.
처벌이 무서워서 법을 지켜야하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요즘은 그래도 잘 비켜주는 광경을 흔히 목격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를 보셨나보네요.
그 이유를 생각해보면
1. 지나치게 짙은 팅팅의 만연으로 인해 전방은 물론 후방의 긴급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다.- 필요 이상으로 짙은 틴팅을 한 차량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추돌 사고 확율도 높고, 도로 흐름이 느려지고 운전이 조급해지는 원인도 됩니다. 여러모로 좋지 않지요.
2. 긴급 자동차의 사이렌 소리가 너무 작다( 도심이나 주택가에서는 강변 북로 처럼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는 더 큰 음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해야한다.) - 소리가 작으면 미리 인식할 수가 없음.
3. 긴급 자동차를 만났을 때 대처는 어떻게 하며 어느 쪽으로 비켜줘야하는지 교육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비켜주려는 마음만 있다면야.
4. 사이렌 없이 비상등과 상향등만 켜고 주행하는 경우엔 '가짜' 긴급 상황인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정에 메말라가는지 모르겠지만, 지나치게 물질적인 풍요만을 좇는 문화로 흘러가는 탓 때문인 것도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