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아래 이춘우님과 이경석의 글 많은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저도 두분의 논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제가 그동안 외국에서 경험했던 사례들과 한국의 사례를 몇가지 언급하겠습니다.
일단 나라의 성향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도시간의 차이도 상당합니다.
예를들어 캐나다의 경우 밴쿠버와 토론토는 하늘과 땅차이입니다.
역시 독일도 Wolfburg와 같은 소도시와 베를린과 같은 큰도시는 도로 주행문화가 큰 차이가 있지요.
미국도 시카고 같은데서 운전하는것과 제가 한동안 머물렀던 위스컨신주 매디슨 같은 조용한 도시는 극과극의 차이를 보입니다.
시카고, 베를린, 토론토 우리나라의 서울과 비슷합니다.
사람들이 일단 운전이 거칠고 성질이 급합니다.
밴쿠버에 살 때는 사실 보행자들이 너무 차에 대해 무신경하다는 느낌도 없지 않게 받았습니다.
밴쿠버에서 공부했던 유러피언들은 캐내디언의 그런 성향에 오히려 분노하더군요.
제가 영국에 갔을 때와 현재 독일에서 상황을 비교하면 횡단보도가 아닌 곳에서 길을 건널 때 차량이 배려하는 모습은 일단 없다고 생각합니다.
즉 무단횡단이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주는 예를들어 느릿느릿 핸드폰 받으면서 무단횡단하는사람을 보면 가차없이 크락션을 누르고 욕을 합니다.
우리나라와의 차이가 뭐냐구요?
독일은 도심에서는 50~60km/h속도제한이 철저히 지켜집니다.
그리고 주택가와 학교가 있는 주변은 무조건 30km/h입니다.
뭐 대충 40km/h 괜찮겠지? 이런생각으로 달리면 39km/h에서도 딱지 끊었다는 동료도 며칠전 보았습니다.
깜빡잊고 60km/h로 스쿨존을 지나면 그자리에서 면허증 빼앗기고 면허 취소됩니다.
160km/h정도로 달릴 수 있는 편도 1차선 국도에서 마을로 들어가면 입구전에 사람들이 50 km/h에 맞춰서 마을로 진입합니다.
우리나라 운전자의 성향이라면 제한표시가 나왔으니 거기서부터 대충 가속패달에서 발을 떼고 속도가 줄기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고 저도 그랬습니다만 독일사람들은 표시판을 지날 때 이미 속도가 거의 다 줄어있습니다.
한국에서 저 역시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일부러 정차하는 시도를 하기도 하지만 일부러 멈추지 않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이유는 제가 3차선에서 멈췄는데, 1,2차선의 차들이 제가 멈춘것과 같이 멈춰주면 상관없는데, 제가 멈춘 것을 보고 안심하고 건너던 아이들이 1,2차선에서 달리는 차의 시야에 안보이면 그 다음은 상상하기 싫은 상황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독일의 경우를 정리해보면 자신들이 정한룰에 철저한 책임을 부여하고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공간에는 아주 강한 벌금과 처벌을 규정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럽사람들은 차가 오는데 무신경하게 길을 건너거나 하지 않습니다.
이런면에서는 북미의 한적한 도시들의 보행습관은 저같이 성질 급한 사람들에게는 아주 화나는 일입니다.
독일을 계속 관찰하면서 보면 유럽은 대개 차량의 소통효율을 상당히 중요시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바쁘고 각박한 도심에서 사람들에게 여유만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제가 직접 운전대를 잡고 운전해본 많은 나라와 도시중에서 큰 도시치고 사람들이 북미의 소도시처럼 유유자적 운전하거나 하는 것은 본적이 없습니다.
이 글을 쓰기 전에도 프레드릭에게 너같으면 무단횡단하는 사람을 보면 기분이 어떠냐? 만약에 그런 사람들 때문에 네가 기다리거나 브레이크를 밟아야하면 어떨것 같냐니까 당연히 크락션을 누르거나 입으로 중얼거리면서 욕을 하겠다더군요.
여기서는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면 범죄에 해당하기 때문에 처벌을 받게 됩니다.
때문에 손을 올리는 것은 되지만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거나 손가락으로 머리를 가르키는 행위는 해서는 안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학교주변 도로와 골목길에서의 철저한 속도제한과 강력한 법집행의지, 그리고 유치원에서부터 차와 보행안전에 대한 철저한 지도가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이춘우님 말씀하신 것처럼 나라마다 특성이 있기 때문에 그 환경에 가장 이상적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경석님 언급하신 전면주차 저 역시 후진으로 차를 뺄 때의 안전도에 치명적인 약점이 있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전면주차를 강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여러 좋은 사례들이 "전문가"에 의해서 취합이 되고 한국상황에 맞는 시스템으로 갖춰질 때 좀 더 안전한 거리가 창출된다고 봅니다.
제가 한국에 아쉬운 점은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그렇게 많이 다니고 공무원들을 해외로 그렇게 많이 내보내 뭔가 배워오라고 해도 수십년째 시스템 구축의 시작도 느끼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확실히 아기를 키우는 가장이 되니 예전에는 큰 관심이 없던 것도 유심히 보게 되더군요.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들이 테드에서만큼은 공감대의 위력을 발휘해 자신과 타인의 안전에 도움이 되는 좋은 습관으로 자리잡았으면 합니다.
-testkwon-
저도 두분의 논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제가 그동안 외국에서 경험했던 사례들과 한국의 사례를 몇가지 언급하겠습니다.
일단 나라의 성향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도시간의 차이도 상당합니다.
예를들어 캐나다의 경우 밴쿠버와 토론토는 하늘과 땅차이입니다.
역시 독일도 Wolfburg와 같은 소도시와 베를린과 같은 큰도시는 도로 주행문화가 큰 차이가 있지요.
미국도 시카고 같은데서 운전하는것과 제가 한동안 머물렀던 위스컨신주 매디슨 같은 조용한 도시는 극과극의 차이를 보입니다.
시카고, 베를린, 토론토 우리나라의 서울과 비슷합니다.
사람들이 일단 운전이 거칠고 성질이 급합니다.
밴쿠버에 살 때는 사실 보행자들이 너무 차에 대해 무신경하다는 느낌도 없지 않게 받았습니다.
밴쿠버에서 공부했던 유러피언들은 캐내디언의 그런 성향에 오히려 분노하더군요.
제가 영국에 갔을 때와 현재 독일에서 상황을 비교하면 횡단보도가 아닌 곳에서 길을 건널 때 차량이 배려하는 모습은 일단 없다고 생각합니다.
즉 무단횡단이 차량의 주행에 영향을 주는 예를들어 느릿느릿 핸드폰 받으면서 무단횡단하는사람을 보면 가차없이 크락션을 누르고 욕을 합니다.
우리나라와의 차이가 뭐냐구요?
독일은 도심에서는 50~60km/h속도제한이 철저히 지켜집니다.
그리고 주택가와 학교가 있는 주변은 무조건 30km/h입니다.
뭐 대충 40km/h 괜찮겠지? 이런생각으로 달리면 39km/h에서도 딱지 끊었다는 동료도 며칠전 보았습니다.
깜빡잊고 60km/h로 스쿨존을 지나면 그자리에서 면허증 빼앗기고 면허 취소됩니다.
160km/h정도로 달릴 수 있는 편도 1차선 국도에서 마을로 들어가면 입구전에 사람들이 50 km/h에 맞춰서 마을로 진입합니다.
우리나라 운전자의 성향이라면 제한표시가 나왔으니 거기서부터 대충 가속패달에서 발을 떼고 속도가 줄기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고 저도 그랬습니다만 독일사람들은 표시판을 지날 때 이미 속도가 거의 다 줄어있습니다.
한국에서 저 역시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 일부러 정차하는 시도를 하기도 하지만 일부러 멈추지 않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이유는 제가 3차선에서 멈췄는데, 1,2차선의 차들이 제가 멈춘것과 같이 멈춰주면 상관없는데, 제가 멈춘 것을 보고 안심하고 건너던 아이들이 1,2차선에서 달리는 차의 시야에 안보이면 그 다음은 상상하기 싫은 상황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독일의 경우를 정리해보면 자신들이 정한룰에 철저한 책임을 부여하고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공간에는 아주 강한 벌금과 처벌을 규정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럽사람들은 차가 오는데 무신경하게 길을 건너거나 하지 않습니다.
이런면에서는 북미의 한적한 도시들의 보행습관은 저같이 성질 급한 사람들에게는 아주 화나는 일입니다.
독일을 계속 관찰하면서 보면 유럽은 대개 차량의 소통효율을 상당히 중요시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바쁘고 각박한 도심에서 사람들에게 여유만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제가 직접 운전대를 잡고 운전해본 많은 나라와 도시중에서 큰 도시치고 사람들이 북미의 소도시처럼 유유자적 운전하거나 하는 것은 본적이 없습니다.
이 글을 쓰기 전에도 프레드릭에게 너같으면 무단횡단하는 사람을 보면 기분이 어떠냐? 만약에 그런 사람들 때문에 네가 기다리거나 브레이크를 밟아야하면 어떨것 같냐니까 당연히 크락션을 누르거나 입으로 중얼거리면서 욕을 하겠다더군요.
여기서는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면 범죄에 해당하기 때문에 처벌을 받게 됩니다.
때문에 손을 올리는 것은 되지만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거나 손가락으로 머리를 가르키는 행위는 해서는 안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학교주변 도로와 골목길에서의 철저한 속도제한과 강력한 법집행의지, 그리고 유치원에서부터 차와 보행안전에 대한 철저한 지도가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이춘우님 말씀하신 것처럼 나라마다 특성이 있기 때문에 그 환경에 가장 이상적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경석님 언급하신 전면주차 저 역시 후진으로 차를 뺄 때의 안전도에 치명적인 약점이 있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전면주차를 강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여러 좋은 사례들이 "전문가"에 의해서 취합이 되고 한국상황에 맞는 시스템으로 갖춰질 때 좀 더 안전한 거리가 창출된다고 봅니다.
제가 한국에 아쉬운 점은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그렇게 많이 다니고 공무원들을 해외로 그렇게 많이 내보내 뭔가 배워오라고 해도 수십년째 시스템 구축의 시작도 느끼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확실히 아기를 키우는 가장이 되니 예전에는 큰 관심이 없던 것도 유심히 보게 되더군요.
여러분들의 좋은 의견들이 테드에서만큼은 공감대의 위력을 발휘해 자신과 타인의 안전에 도움이 되는 좋은 습관으로 자리잡았으면 합니다.
-testkwon-
2007.02.07 00:59:25 (*.52.85.120)

제 생각에도 school zone에서가 강력한 속도제한(면허취소정도 강력한 법안)과 스쿨버스정차시 전차선 멈춤의 도입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입니다. 그런데 해외 출장을 다니며 가능한 곳에선 렌트를 하여 직접 운전을 하는 편인데 다닐 수록 우리나라나 해외선진국이나 다 그게 그거다 란 생각이 점점 많이드네요.(다만 위와 같이 확실하게 지키는 몇몇가지 사한을 제외하면..)
2007.02.07 01:40:45 (*.153.160.65)

벤쿠버만큼은 정말 보행자를 위한 도로였던거 같습니다
사람들 인식이 도로는 차량들에게 "빌려"주었다고 생각하는것만 봐도요
물론 무단횡단 하다가 경찰에게 걸리면 티켓을 받습니다만
무단횡단 하려고 모션만 보여도 차량들은 설설설.. -_-;;
사람들 인식이 도로는 차량들에게 "빌려"주었다고 생각하는것만 봐도요
물론 무단횡단 하다가 경찰에게 걸리면 티켓을 받습니다만
무단횡단 하려고 모션만 보여도 차량들은 설설설.. -_-;;
2007.02.07 01:55:59 (*.72.201.73)

전 운전을 호주에서 배워서....호주의 경우 신호가 없는 행단보도를 비롯 무단 행단일지라도 사람이 우선이여서...지금도 운전시 항시 사람을 우선으로 운전할려고 합니다.
호주의 경우 행단보도의 경우 파란불이 깜박일때 좌회전 커브 신호(운행방향이 우리나라와반대여서 우리나라는 우회전)가 없는 행단보도에서는 보행자가 없으면 좌회전 커브가 당연히 되었고 좀 큰 사거리는 좌회전 커브 신호가 따로 있어서 좌회전 커브 신호에 따라 움직이면 되므로 보행자 운전자 모두 편한 시스템이라 국내에도 좀 도입되면 좋을것 같은 신호 체계가 였습니다.
신호가 없는 행단보도는 무조건 사람이 먼저라 행단보도 시작점에 사람이 있으면 당연히 차는 멈춰야했고, 운전 면허 딸때 이거 실수하면 바로 실격이였습니다.
집 근처에도 신호등 없는 행단보도가 있는데.. 저의 경우는 보행자가 있을경우 속도를 줄이는데 보행자가 건널려고하면 바로 정지합니다. 경험상 제가 정지하면 반대편 차선에서도 사람이 건너오므로 대부분 정지를 하더군요.
반대의 경우로 제가 그 행단보도를 건너갈땐 조금 차가 많아도 거리를 보고 건너는데...
행단보도에서 3번정도 사고가 날뻔 했습니다..
아직도 국내 운전자에게는 도로가 사람이 아닌 차가 우선인 인식이 많은것이겠죠...
저라도 아직은 영주님과 같이 아이들에게는 차가 없을때 건너고 되도록이면 신호등 있는 행단보도에서 건너라고 가르치고 싶네요.
예전 이경규의 몰카에서 삼성동 8차선 도로에서 정지선 지킨것처럼..
건설교통부 같은 국가기관에서 장기적인 TV CF를 해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호주의 경우 행단보도의 경우 파란불이 깜박일때 좌회전 커브 신호(운행방향이 우리나라와반대여서 우리나라는 우회전)가 없는 행단보도에서는 보행자가 없으면 좌회전 커브가 당연히 되었고 좀 큰 사거리는 좌회전 커브 신호가 따로 있어서 좌회전 커브 신호에 따라 움직이면 되므로 보행자 운전자 모두 편한 시스템이라 국내에도 좀 도입되면 좋을것 같은 신호 체계가 였습니다.
신호가 없는 행단보도는 무조건 사람이 먼저라 행단보도 시작점에 사람이 있으면 당연히 차는 멈춰야했고, 운전 면허 딸때 이거 실수하면 바로 실격이였습니다.
집 근처에도 신호등 없는 행단보도가 있는데.. 저의 경우는 보행자가 있을경우 속도를 줄이는데 보행자가 건널려고하면 바로 정지합니다. 경험상 제가 정지하면 반대편 차선에서도 사람이 건너오므로 대부분 정지를 하더군요.
반대의 경우로 제가 그 행단보도를 건너갈땐 조금 차가 많아도 거리를 보고 건너는데...
행단보도에서 3번정도 사고가 날뻔 했습니다..
아직도 국내 운전자에게는 도로가 사람이 아닌 차가 우선인 인식이 많은것이겠죠...
저라도 아직은 영주님과 같이 아이들에게는 차가 없을때 건너고 되도록이면 신호등 있는 행단보도에서 건너라고 가르치고 싶네요.
예전 이경규의 몰카에서 삼성동 8차선 도로에서 정지선 지킨것처럼..
건설교통부 같은 국가기관에서 장기적인 TV CF를 해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2007.02.07 23:21:15 (*.144.199.81)

삼성동 8차선 정지선 지키기, 기억나네요
당시 그 일을 해내려던 사람이 제 막내동생이라..
예고편에서 강남지역 8차선에서 한다고 하여
동생 생각에 삼성동이라고 판단되어
사무실 동료들과 함께 새벽 출근해서 했었는데
결국 실패했지만..
사무실에서 성공해서 받는 선물로
불우이웃 도우려했었던 시도였었다고 하더군요.
그래도 요즘보면 제법 잘 지키고, 나아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당시 그 일을 해내려던 사람이 제 막내동생이라..
예고편에서 강남지역 8차선에서 한다고 하여
동생 생각에 삼성동이라고 판단되어
사무실 동료들과 함께 새벽 출근해서 했었는데
결국 실패했지만..
사무실에서 성공해서 받는 선물로
불우이웃 도우려했었던 시도였었다고 하더군요.
그래도 요즘보면 제법 잘 지키고, 나아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2007.02.08 02:10:28 (*.28.159.168)

차량 운전자가 항상 사람이나 자전거 타는 사람에게 양보했던
밴쿠버가 정말 그립습니다...
친구랑 편도 3차선에서 자전거를 타던중 마지막 차선에서 신호
대기 중이었습니다. 2분쯤 기다렸나요... 우연히 뒤를 보니
거의 10대가 넘는 차량이 우회전 신호 넣고 기다리고 있더군요.
저랑 친구 자전거 때문에 막혀 있던 것이죠. 하지만 아무도
자동차보다 우선인 자전거에게 뭐라하지 않았습니다.
인도에서 발만 내려갈려고 하면 미안할 정도로 지나가는 차들은
양쪽에서 멈추던걸 많이 본 것도 기억나구요 ^^;
제 기억으로는 보행자는 움직이는 빨간 신호등이었어요...
지금은 호주에 살고 있지만 이곳 운전자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캐나다랑 미국 이하로 보이네요.
밴쿠버가 정말 그립습니다...
친구랑 편도 3차선에서 자전거를 타던중 마지막 차선에서 신호
대기 중이었습니다. 2분쯤 기다렸나요... 우연히 뒤를 보니
거의 10대가 넘는 차량이 우회전 신호 넣고 기다리고 있더군요.
저랑 친구 자전거 때문에 막혀 있던 것이죠. 하지만 아무도
자동차보다 우선인 자전거에게 뭐라하지 않았습니다.
인도에서 발만 내려갈려고 하면 미안할 정도로 지나가는 차들은
양쪽에서 멈추던걸 많이 본 것도 기억나구요 ^^;
제 기억으로는 보행자는 움직이는 빨간 신호등이었어요...
지금은 호주에 살고 있지만 이곳 운전자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캐나다랑 미국 이하로 보이네요.
2007.02.08 13:43:04 (*.73.8.239)

권영주 님께서 좋은 글 써 주셨네요.
공감합니다.
근본적으로 휴머니즘에 입각한 캠페인이 있어야할 것이며,
아무리 그 캠페인의 취지가 좋다고 하더라도 운전자와 보행자를 나눠서 대립시킬 수 있는 표현은 삼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무단 횡단에 의한 사고라도 운전자에게 무거운 책임을 지우는 것은 자동차의 특성상 운전자는 항상 주변 상황에 주의해야할 의무가 있다는 뜻입니다.
자동차는 상황에 따라 사람의 생명을 해칠 수 있는 흉기가 되기도 하므로 운전하는 동안엔 방심하지 않도록 조심해야죠.
그렇지만 운전자의 주의 의무가 보행자에게 운전자를 우선할 어떤 권리를 주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해야할 것입니다.
보행자 역시 자신의 안전을 스스로 지키는데 소홀해선 안되고 불필요하게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여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는 운전자에게 폐를 끼치는 것은 삼가해야지요.
그리고 인간 중심의 사고와 더불어 강력한 제도적 장치도 뒷받침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보행자의 무단 횡단이나 보행 신호 위반에 대해서도 대대적인 단속이 있어야겠습니다.
이 것 역시 보행자를 보호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보행자의 위반은 그대로 두고 운전자의 위반만 단속하는 것은 큰 잘못입니다
( 경찰들은 운전자 당속은 못하고 보행자 단속이나 한다는 민원이 무서워서 못 하고 있을 것임. 그럼 운전자는 뭔가요? 운전자는 사람이 아니라 차인가요?)
특정인의 편리를 위해 다른 사람의 희생을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캠페인으로서 적절치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면을 잘 컨트롤 하면서 전문가에 의한 캠페인이 하루빨리 진행되길 바랍니다.
우리나라에 그런 전문가가 살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공감합니다.
근본적으로 휴머니즘에 입각한 캠페인이 있어야할 것이며,
아무리 그 캠페인의 취지가 좋다고 하더라도 운전자와 보행자를 나눠서 대립시킬 수 있는 표현은 삼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무단 횡단에 의한 사고라도 운전자에게 무거운 책임을 지우는 것은 자동차의 특성상 운전자는 항상 주변 상황에 주의해야할 의무가 있다는 뜻입니다.
자동차는 상황에 따라 사람의 생명을 해칠 수 있는 흉기가 되기도 하므로 운전하는 동안엔 방심하지 않도록 조심해야죠.
그렇지만 운전자의 주의 의무가 보행자에게 운전자를 우선할 어떤 권리를 주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해야할 것입니다.
보행자 역시 자신의 안전을 스스로 지키는데 소홀해선 안되고 불필요하게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여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는 운전자에게 폐를 끼치는 것은 삼가해야지요.
그리고 인간 중심의 사고와 더불어 강력한 제도적 장치도 뒷받침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보행자의 무단 횡단이나 보행 신호 위반에 대해서도 대대적인 단속이 있어야겠습니다.
이 것 역시 보행자를 보호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보행자의 위반은 그대로 두고 운전자의 위반만 단속하는 것은 큰 잘못입니다
( 경찰들은 운전자 당속은 못하고 보행자 단속이나 한다는 민원이 무서워서 못 하고 있을 것임. 그럼 운전자는 뭔가요? 운전자는 사람이 아니라 차인가요?)
특정인의 편리를 위해 다른 사람의 희생을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캠페인으로서 적절치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면을 잘 컨트롤 하면서 전문가에 의한 캠페인이 하루빨리 진행되길 바랍니다.
우리나라에 그런 전문가가 살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