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어제 얘기입니다.
한가한 점심시간때 중부 상행선, 뉴오피러스 gh380을 갖고
서울톨게이트직전 긴 내리막구간에서 220정도로 달리고있었습니다.
600m전방에 1 2차선 스타렉스와 포터가 블로킹하면서 나란히 달리더군요.
아마 그차들 속도도 120정도는 되었을겁니다.
그차들발견하고서 브레이크페달을 반쯤 밟았는데 생각보다 속도가 줄어들지 않아 있는 힘껏 풀브레이킹을 했는데
페달을 반쯤 밟았을때와 풀브레이킹을 했을때가 별차이가 없더군요.
다들 아시겠지만 뉴 오피러스는 브레이크가 상당히 밀리는차입니다.
원피스톤에, 패드로 가해지는 답력만 쎄개 잡아놓은 차량이라 미세하게 디스크가 휘어서 80이상으로달리다 브레이크밟으면
우우웅거리면서 하체에서 소리가 올라오는 찹니다(디스크 한번교체했어도 8000km지나면 또 다시 휘어서 이젠 그냥탑니다)
'후반부 끝까지 밟으면 어느정도 급제동이 되겠거니' 생각하고 끌고다녔는데 코앞에 점점 다가오는 차를 보니 미치겠더군요.
그나마 포터속도가 조금줄어들어 제차가 통과 할락말락 되는 공간이 생기는것 같아보여 '포터와 부딪혀도 어쩔수 없다'라는
심정으로 2차선으로 차를 던져넣으며...불과 1차선 스타렉스 뒷범퍼 모서리와 20cm정도 차이로 스치듯 통과했습니다.
그때속력이 160~180정도 되었습니다....
제가 어릴때 수학을 참못했습니다.
근데 어제 이차가 저에게 질량에너지는 속도에 제곱해서 늘어난다라는걸 확실하게 가르쳐주더군요.
휘청이는 서스펜션의 한계도 생각이상으로 높다라는건 알기에 그냥 그러려니 했지만 밀리는 브레이크는 답이없네요.
엔진이 260마력이 넘는차면 최소한 하체가 120마력이상은 버텨주는 차를 만들어줘야되는거 아닐까요.
1차는 제 과속이 잘못이었겠지만 말입니다.

가끔은 높지않은 속도임에도 무서워서 악셀에서 발을 뗍니다... 변수가 많죠... 충분히 콘트롤할만한 속도라 할지라도 날씨나 도로의 굴곡상태, 주변 교통흐름 또는 동선안의 타운전자들의 이해못할 움직임.. 그리고 내 몸의 컨디션 등에 조금이라도 의구심이 든다면 악셀에서 발을 떼는것이 상책인듯..

a3를 가끔탑니다...
Y영역대 주행을 주로 하죠.. 속도 리밋까지 붙히면서..
앞에 차가 없을때만..
왜냐고 물으신다면.. 브레이크시스템이 말도 안되게 밀리더군요..

오피러스 투피 아니었나요? @.@
제주도에서 렌트한 뉴오피러스 2.7LPI도 투피이던데요.
여튼 큰일날번 하셨네요. 다행입니다.^^

재미있는 글 잘 봤습니다.
실상 눈앞이 하얗게 되는 경험을 웃기게 써 놓으셨네요.
사진또한 오피러스가 저리 멋지게 생겼나 싶게 잘 찍으셨네요.
한창 md이야기가 나오는데... 이런건 왜 제조사 책임으로 비난하는 사람이 없을까요? 뭐가 다를까요?
베라크루즈를 전에 한번 시승해 봤는데 그 차도 말도 안되게 브레이크가 밀리던데..
차 많은 강남에서 서행하면서도 밀리는 브레이크로 스트레스 엄청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현기차 브레이크 정말 최악입니다.
소음 문제로 성능을 포기했으면 내구성이라도 좋던가..
브레이크 밀리고 시끄럽고 디스크 금방 휘고...완전 ㅎㄷㄷ

HAWK, AKEBONO, EBC 등에서 오피러스용 세라믹 브레이크 패드가 나옵니다.
POWER SLOT에서는 오피러스용 로터가 나오구요.
이정도 조합이라면 충분히 맘에 드는 제동력을 보여줄 겁니다.

예전 XG가 2p인데 왜 그 뒤에 나온차들은 1p로 갔을까요.. 뭐 당연히 원가절감일텐데... 성능을 포기하면서까지 그렇게 하는건 도무지 이해를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엔진힘은 나날이 좋아진다고 떠들어대면서 당장 타서 겪어보지 않으면 안보일 브레이크같은 부분에서 야금야금 소비자를 우롱하니..
요즘도 XG 2p로 교체하는 TG들 많더군요. 몇십만원씩 들여가면서... 10년도 더된차의 부품으로...
저는 XG도 많이 밀리는 느낌이던데 그보다 더 밀리는 신형차라면 정말 문제가 많네요. 도로에 살인무기를 풀어놓는 격이랄까? 그럴거면 아예 100에서 속도 제한을 걸어놓던지요.

가장 중요한 안전단계인 브레이크에서 2p -> 1p라.... 이것도 현기차의 그 유명한 원가절감인가요..
등줄기에 땀이베이는듯했던 상황이 그려집니다.

아... 저도 비슷한 상황을 최근 몇건 격어서 보면서 같이 땀나네요.
사고로 이어지지 않아서 다행입니다.
비슷하지만 속도는 현저히 낮은 상황에서 풀 브레이킹을 해도
어처구니없이 밀려 나가는 차속에서 만감이 교차하더군요. 휴~

현기차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근래에는 K7이 가장 많이 지적받았던 내용이네요...
기사도 많았었고...
과속하지 말라고 일부러(?) 그런건 절대 아닐텐데 말이죠...
잘 달리고, 잘 돌고, 잘 서는... 기본적인 자동차의 개념은 가져줬으면 합니다...
진짜 브레이크 밀릴 때 그 기분이란... ㅡ.ㅡ;;
온 세상이 하얗게~~~
브레이크액(DOT4 이상), 패드 교체는 이미 기본 아이템으로 자리잡지 않았나요?
제 차도 중고속에서 브레이킹하면 저더?같은 현상이 보이기 시작하던데...
연마라도 해줘야할 것 같습니다... ㅡ.ㅡ;;

적당한 벨런스라는게 없지요. 엔진만 좋다고 광고하고 그리지만
말그대로 엔진만 발전할 뿐. 그외 것들은 거의다 제자리걸음...
젠쿱 노브렘보도 심하게 밀립니다. 그나마 국내차중에서는 제일 잘듣는 편이라던데,
고속으로 주행하다 터널안에 정체되어 서행하는 트럭을 발견하고 급브레이했다가 밀리면서 받을뻔했는데,
발로 끊어밟아서 모면했던 기억이 납니다. 작년 늦가을이었네요.
뭐랄까 현대차는 ABS가 작동하면 그 간격이 크다는 느낌입니다.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끊어주는 그 느낌아시죠?
현재 타는 차량은 ABS 작동시 끊어주는 주기가 엄청 빠른데...
국산브레이크의 장점은 브레이크 분진이 정말 안나오고, 잡소리가 안나서 휠세척도 그다지 필요없고, 조용한점...

저는 국산차종 중에 브레이크가 충분하다는 생각이 드는 차가 과연 얼마나 있을까? 아니, 있기는 한걸까란 의문을 항상 갖고 삽니다.
도데체 왜이렇게 브레이크를 허약(?)하게 만들어서 출고하는 걸까요?
BMW 수준까진 아니더라도 차들이 점차 고성능화되어가고 있는데 브레이크는 완전...답 없는 상태로 출시하는 걸 보면...
중요한건 피스톤 갯수가 아니라 피스톤의 총 면적인데요. 일반적으로 8피스톤쯤 되는 멀티피스톤 구조라면 싱글피스톤에 비해 면적 또한 훨씬 더 커지긴 합니다만, 2-4 피스톤의 경우 big-pot 싱글피스톤보다 오히려 피스톤 면적이 작을 수 있습니다. (물론 멀티피스톤 구조가 발열 억제 ㅡ내지는 고른 발열ㅡ 등에 도움이 되고, 4피스톤 이상은 일반적으로 Floating 타입이 아니므로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제동력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싱글 피스톤을 쓰는 또 다른 차량으로는 333ps의 G37 세단이나 343ps의 E46 M3 등이 있겠습니다. (M3는 브레이크가 괜찮은 편이고, G37 세단은 상태 안좋습니다)
그리고 현기차는 물론 BMW 등과 비교하면 당연히 브레이크는 하자 수준입니다만, 비교 대상을 상품성 위주로 차를 만드는 대중 브랜드에서 나온 평범한 차로 한정하면 브레이크쪽이 특별히 나쁘지 않습니다. (어떻게 보면 오히려 괜찮은 편에 속합니다) 전통적으로 나쁜 브레이크를 장착하는 것은 일본차이고, 그 중에서도 특히 도요타가 부실합니다.

피스톤 수도 중요하지만 브레이크패드 문제도 있습니다..
bmw 5시리즈도 대부분 1p입니다.... 대신 패드가 제동력이 우수한듯 합니다..
거의 애프터마켓 패드수준의 분진이 나옵니다.. bmw들중 세차 잘안된 차량들 앞쪽휠보시면 분진 작렬한 차들 많습니다..
TG에 순정 패드쓰지만 분진이란게 나오는지도 모르겠습니다..-_0
국산차량은 분진을 많이 억제 했지요.. 패드의 분진은 곳 제동력과도 연결됩니다. 물론 똑같지는 않지만요.. 유럽차량들이 분진 장난 아닌거는 이유가 있지요... 신형 에쿠스 요즘 자주 타는데 이놈 브레이크는 좋습니다... 오히려 장난감인 젠쿱 4P 보다 잘서줍니다..
물론 패드가 문제.. 젠쿱은 이번에 스포츠 패드로 바꾸니 이제좀 탈만 하더군요.. Y 영역에서도 잘서줍니다.. 피스톤의 문제보단 패드 재질의 문제지요..
브레이크 잘 듣게 한다고 만들면 패드 분진나온다고 불평불만이고....
분진 적게 만들면 안듣는다고 불평불만이고...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할까요? 궁금해지네요. ㅎㅎ
(국내만큼 패드 분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이 다른 나라에도 있는지 궁금할 정도입니다)
요즘 나오는 대형차들은 모르겠지만, 요즘 나오는 소형급에서 브레이크 성능에 불만인 차는 저는 겪어보질 못했군요. 소형급에선 어떤 차들이 브레이크가 안듣나요?
위에서 언급된 i30는 브레이크 성능에 전혀 불만 없었구요. 젠쿱 2.0T 노브렘보로도 와인딩 하드코어하게 타는 사람도 불만을 가지지 않던데요...

제가 듣기로도 캘리퍼 피스톤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닌 것으로 압니다. 디스크 휨 현상은 국내 차량들 대부분이 그런건가요? 멀쩡하게 잘 듣다가도 고속에서 브레이킹 몇 번하니 휨 현상 바로 느껴지더군요. 사고 나실 뻔한 상황에서 느꼈을 섬뜩한...이해 됩니다. 전 비슷한 상황에서 sm7을 타고 가다 메뉴얼로 바꾸고 기어 단수 계속 내렸던 기억이...ㅡ.ㅡ 디스크는 슬롯 된 것으로, 패드는 세미 메탈릭 계열로 바꾸시고, 브레이크 호스 스틸로 바꾸시고, 브레이크 액은 dot 4로 바꾸시면 지금보다 낫지 않을까요? ^^;

오너입장에서야 바로 바로 잘드는 브레이크가 좋지만....
쇼퍼입장에서는 좀 부드럽고 밀리듯 드는 브레이크를 선호합니다...
느낌은 후륜제동력을 20~30% 올리면 노즈다운현상이 덜해서 좋은데.... 아무래도 슬립이 심해지겠죠...
최근 제차(구형 아번테)에 4개월차 투스카니2.0용 캘리퍼/로터 적용했는데....
아주 부드럽고 조용하고 분진도 안나고 하니 감속하는데... 별로 스트레스 안받으니 좋습니다...
이젠 적절한 댐퍼+스프링을 찾아야 겠네요
이런...뉴오피러스 브레이크가 원피 였나요 ? 이건 좀 에러네요. 4피를 달아줘도 시원치 않을 마당에.....
브레이크 업그레이드는 하셔야 겠서요. 기아에 민원이라도 넣어야 .....
속도가 충분히 나는 차를 그렇게 셋팅하면 정말 에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