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안전벨트를 제대로 매자
안전벨트를 매자는 주제로 국토해양부와 교통 안전 공단에서 실시하는 켐페인 영상을 보았습니다.
4명의 가족이 승용차에 타고 있는데,
부모는 앞자리, 아이 둘은 뒷자리에 앉혔더군요.
아이들을 뒷 자리에 따로 앉혀 안전벨트를 맨 것까진 좋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이 어려서 체격이 작은데도 불구하고 성인용 안전벨트를 그대로 매고 있더군요.
여자 아이는 한 손으로 안전벨트를 잡고 얼굴을 옆으로 빼고 있어 잘 나타나진 않았지만,
그 정도 체격이면 벨트가 어깨를 지나지 않고 목 앞을 지나게 됩니다.
그런 상태에서는 급제동시나 충돌 사고시에 경추에 부상을 입을 수가 있지요.
어깨로부터 가슴을 지나야 상체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구속할 수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당연히 부스터 시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국토해양부와 교통안전공단이라는 곳에서 오히려 안전벨트의 잘못된 사용법을 가르치는 결과입니다.
얼빠진 일이죠.
아가에게는 카시트를, 어린이에게는 부스터 시트를!!
해당 장면을 부스터 시트에 앉은 장면으로 변경하거나 삭제해야 합니다.
그리고, 안전벨트를 매더라도 정확한 방법으로 매는 것이 중요한데,
홍보가 절실히 필요합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허리를 만져보면 골반이 툭 튀어나온 곳이 있습니다.
안전벨트는 거기 보다 아래로 매야 합니다.
보통 허리띠 보다 아래로 매게 되는 것입니다.
벨트를 체결한 다음엔 위로 쭉 당겨주어 시트와 골반을 타이트하게 밀착시켜주어야 합니다.
그러면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골반이 버텨주게 됩니다.
주변 사람들을 보면 안전벨트가 복부를 지나게 장착하신 분들이 참 많습니다.
그런 경우 사고시 내장 파열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벨트가 목이나 얼굴에 닿을 정도가 되면 안됩니다.
벨트를 매면 답답하다고 클립을 끼우는 분들이 많습니다.
소위 안전벨트 클립은 벨트와 몸이 타이트하게 맞지 않고 유격을 초래하므로 안전벨트의 효과를 떨어뜨리게 되어 바람직하지 ㅇ않습니다.
프리텐셔너가 장착되었더라도 무용지물이 됩니다.
자동차 애호가들이 먼저 안전벨트를 정확히 장착하는 요령을 숙지하여 주변분들에게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안전벨트를 정확히 매는 법
1. 버클에 확실히 끼운다.
2. 골반을 감싸도록 당겨준다( 타이트닝).
3. 벨트가 어깨를 지나가야하며 목이나 얼굴에 닿으면 안된다.

200 % 공감하는 좋은 말씀이십니다.
특히 벨트를 배가 아닌 배 아래의 골반쪽에 지나게 해야 한다는 걸
많은 분들이 모르시더군여...
최근에 남의 차 뒷자리에 저를 포함 3 명이 앉았는데
혼자 벨트를 맸다가 웃음거리가 되었습니다.
참 답답하더라구여...(ㅡㅡ#)
말씀하신대로 안전벨트에 대한 제대로 된 홍보와 교육이 절실하다고 생각됩니다.

광고는 보지 못했지만 '무조건 착용'에 급급한 홍보인걸로 사료됩니다.. 유용성에 대해서는, 경험해 본 사람만이 알 수 있지만..
모두가 겪어보라 하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큰데요 ㅎㅎ 저같은 경우는 어릴 때부터 뒷좌석에 앉을 때마다(그 당시에 국내에 부스터의 존재도 모르던 시기였습니다) 안전벨트를 착용해서 습관이 되었는데, 제가 뒷좌석 안전벨트를 메면 운전석에서 '너 나 못믿어?'라는 말이 항상 돌아옵니다. ㅠ.ㅠ
일단은 아예 안매는거보다는 낫겠죠 -0-;;; 아직까지는 뒷자석에서 안전벨트매면 과도하게 안전을 따지는 요상한 부류정도로 취급되는게 현실이라... 별루 관심없는 사람들이 보기엔 광고에 카시트까지 달아놓는다고 해서 바로 느낌이 오진 않을거 같습니다 ㅎ_ㅎ;;

" 아이가 앉아있는 저게 뭐야? "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것만으로도 홍보 효과가 있을 겁니다.
일단 눈으로 접해야 홍보가 되는 것이지요.
저희 집 차에 장착되어 있는 카시트나 부스터 시트를 보면 주변 사람들이 신기해하면서 물어보더군요.
이러 이렇다고 설명해주면 "나도 애들에게 해줘야겠다."면서 어떤 제품인가 문의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벨트가 목에 걸치더라도 벨트를 매는 것이 아예 안매는 것 보다는 낫다....??
결과는 장담할 수 없을 것입니다.
아이가 앞 자리에 앉아 있을 때 에어백이 터지는 것이 나을까요, 안 터지는 것이 나을까요?
안 터지는 것이 아이의 안전에 '확율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어린이가 앞좌석에 앉았을 때는 에어백 전개를 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시트에 중량 센서를 달아서 25kg 미만의 승객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에어백을 전개하지 않도록 해놓은 차도 있고,
수동으로 조수석측 에어백을 비활성화하는 스위치를 달아놓은 차도 있지요.
외국의 사고 동영상을 보면 범죄자가 도주하다가 앞 트럭에 추돌후 차가 대파되었는데 안전벨트 안 해서 튕겨져나가 멀쩡히 살아남은 경우도 있더군요.
안전벨트를 맸더라면 차에 갖혀 사망했겠지요.
그렇다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편이 착용하는 것 보다 더 나을 수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안전벨트와 에어백 보다 안전운행이 더 중요하니 천천히만 가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과연 올바른 개념일까요?
안전벨트를 올바른 방법으로( 카시트, 부스터 시트 포함) 착용하는 것은 운전자의 기본 상식이 되어야 하며, 운전 면허 실기 시험 항목에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정상 부스터 시트를 구비할 수 없었더라도 적어도 그에 대한 개념과 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성은 알고 있어야하겠습니다.

올바른 안전벨트 착용 중요하지요 그렇지 않다면 사고 시 장파열의 위험(굉장히 치사율이 높은 사인이라 무섭습니다)이라던가 모든지 올바른 사용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도 그 광고보고 이상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당연히 부스터 시트를 이용해야 하는것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