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설마 이정도 일줄이야...
.
중국차 브릴리언스 BS6 충돌테스트
2005년 지앙링 모터스의 랜드윈드 X6 SUV로 관계자들을 놀라게 했던 중국이 이번엔 세단으로 다시한번 테스터들을 경악케 했다. 당시 X6는 별 5개중에 하나도 받지 못할 수준이어서 유럽 수출이 중단된 바 있다.
이번 독일 ADAC의 충돌 테스트한 결과, 브릴리언스 BS6 세단도 거의 최하 수준의 평점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시속 64km/h 이상으로 충돌 시 승객이 살아날 가능성보다 사망할 확률이 훨씬 높다고 결론지었다.
.
중국차 브릴리언스 BS6 충돌테스트
2005년 지앙링 모터스의 랜드윈드 X6 SUV로 관계자들을 놀라게 했던 중국이 이번엔 세단으로 다시한번 테스터들을 경악케 했다. 당시 X6는 별 5개중에 하나도 받지 못할 수준이어서 유럽 수출이 중단된 바 있다.
이번 독일 ADAC의 충돌 테스트한 결과, 브릴리언스 BS6 세단도 거의 최하 수준의 평점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시속 64km/h 이상으로 충돌 시 승객이 살아날 가능성보다 사망할 확률이 훨씬 높다고 결론지었다.
2007.06.26 13:58:10 (*.254.46.197)

비웃을 게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중국의 자동차산업을 경계해야죠. 전문가들 의견에 의하면 중국과 우리나라의 자동차 기술 격차는 불과 3~4년 수준까지 좁혀졌다고 하더군요. 우리가 저런 수준의 자동차를 생산하던 70~80년대부터 오늘의 나름대로 우수한 품질의 자동차를 만들기까지 걸려왔던 수십년 세월을 중국은 불과 최근 몇년새에 추격해오고 있는 겁니다.
2007.06.26 14:17:36 (*.16.83.77)
미국에 곧 수출될거라는 체리의 플래그쉽 모델도 형편없이 찌그러지더군요...
그거보고 제가 자주 들어가는 한 포럼에선 거저 줘도 안타겠다 그러던데...
그래도 금방 또 개선되겠죠..?
몇년이내에 미국시장에서도 한국차를 위협하는 존재가 될지도...
그거보고 제가 자주 들어가는 한 포럼에선 거저 줘도 안타겠다 그러던데...
그래도 금방 또 개선되겠죠..?
몇년이내에 미국시장에서도 한국차를 위협하는 존재가 될지도...
2007.06.26 15:12:41 (*.115.56.83)
충돌해석쪽으로 투자하면 수년내에 개선된 모델이 나오리라 생각됩니다... (중국은 내수만으로도... 충분히 연구에 투자할 여력이 있다고 봅니다)
수출쪽으로도 눈을 돌리는것으로 봐서는 배기가스규정이나 안전규정에 투자가 이뤄지리라 보이고... 중국제 괜찮은 차들이 본격적으로 쏟아지기 시작하면... 우리나라 업체의 마켓이 본격적으로 공략당하리라 생각됩니다만... 어차피 기술은 돈입니다... 돈들어가면 차는 비싸지게 마련이죠...
게다가 자동차 이외의 다른 기술개발 수준을 보면... 보통수준의 기술에서 더이상 크게 발전이 없고... 베끼고 훔치고하는 수준에서 진보가 없는것 같습니다 중국이란 나라의 특성이랄지...
수출쪽으로도 눈을 돌리는것으로 봐서는 배기가스규정이나 안전규정에 투자가 이뤄지리라 보이고... 중국제 괜찮은 차들이 본격적으로 쏟아지기 시작하면... 우리나라 업체의 마켓이 본격적으로 공략당하리라 생각됩니다만... 어차피 기술은 돈입니다... 돈들어가면 차는 비싸지게 마련이죠...
게다가 자동차 이외의 다른 기술개발 수준을 보면... 보통수준의 기술에서 더이상 크게 발전이 없고... 베끼고 훔치고하는 수준에서 진보가 없는것 같습니다 중국이란 나라의 특성이랄지...
2007.06.26 16:50:39 (*.245.132.10)

아무래도 40%오프셋층돌과 측면충돌 테스트 영상인데요... 현재 중국산자동차들은 90년대 중후반 설계기초로 부분보완해서 모델을 내놓고 있지요... (중국기아자동차가 현대 엑센트모델을 기초로 천리마라는 신차 내놓은것 보면 알겠죠...) 그러다 보니 2000년도 이후에 강화된 미국/유럽 안전기준에 당연히 부접합한 모델이 많지요....
1. A필러 강도문제........ 당연히 약합니다... 일례로 구형 아반테와 XD만 비교해도 무게만도 2배정도 입니다.... 차량 설계와 제작시점은 차이는 좀 있지요
2. B필러 강도문제....... 위와 동일합니다..... 특히나 측면에어백이 적용안되는걸 보면 역시니 90년대 설계기준이니 요즘기준으로는 자격미달입니다...
3. 엔진서브프레임...... 40% 오프셋충돌시..... 안전성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는 장치입니다... 현대/기아 전모델에 적용되는 기술이고 대우는 아직 미적용이고 휠하우스를 강화시켜서 안전기준에 조금은 만족합니다....
이정도가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이고요... 이때문에 중국차들이 선진국으로 수출시에 의예로 타격을 좀 있는편이죠....다만 디른 상용차종은 경쟁력이 있을것 같군요.. 다른회원님들의 의견을 듣지요....
1. A필러 강도문제........ 당연히 약합니다... 일례로 구형 아반테와 XD만 비교해도 무게만도 2배정도 입니다.... 차량 설계와 제작시점은 차이는 좀 있지요
2. B필러 강도문제....... 위와 동일합니다..... 특히나 측면에어백이 적용안되는걸 보면 역시니 90년대 설계기준이니 요즘기준으로는 자격미달입니다...
3. 엔진서브프레임...... 40% 오프셋충돌시..... 안전성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는 장치입니다... 현대/기아 전모델에 적용되는 기술이고 대우는 아직 미적용이고 휠하우스를 강화시켜서 안전기준에 조금은 만족합니다....
이정도가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이고요... 이때문에 중국차들이 선진국으로 수출시에 의예로 타격을 좀 있는편이죠....다만 디른 상용차종은 경쟁력이 있을것 같군요.. 다른회원님들의 의견을 듣지요....
2007.06.26 18:33:45 (*.114.62.68)

저도 이 내용을 독일의 유명 주간자동차 전문지인 Autobild에서 보았습니다.
독일에서는 별한개를 주고 두번째 별에는 빨간색으로 X마크를 쳐둔 것으로 보아 결과만으로 보면 별 1개의 수준입니다.
이런 차들을 보면 우리가 얼마나 안전한 차를 타고 있는지 세삼 실감케 됩니다.
다만 안재용님이 언급하신대로 중국의 한국 따라잡기의 속도가 엄청나다는 사실을 미루어 볼 때 짧은 미래의 새로운 충돌테스트에서는 분명 큰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봅니다.
그들의 야망이 분명 중국 내륙만을 목표로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니 말입니다.
독일에서는 별한개를 주고 두번째 별에는 빨간색으로 X마크를 쳐둔 것으로 보아 결과만으로 보면 별 1개의 수준입니다.
이런 차들을 보면 우리가 얼마나 안전한 차를 타고 있는지 세삼 실감케 됩니다.
다만 안재용님이 언급하신대로 중국의 한국 따라잡기의 속도가 엄청나다는 사실을 미루어 볼 때 짧은 미래의 새로운 충돌테스트에서는 분명 큰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봅니다.
그들의 야망이 분명 중국 내륙만을 목표로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니 말입니다.
2007.06.26 19:52:48 (*.149.149.79)

동섭님 말씀대로 해석쪽 투자하면 단시간에 따라잡을수 있을듯 합니다.
제 생각에 자동차의 안전도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평준화되고 있는건
해석툴의 발전과 컴의 처리속도가 가장 큰 역할은 한다고 봅니다.
수년전에 국내 중형차 충돌테스트가 기억나는데 일본에서 설계한
'xxx씨는 이차를 타고 있어서 이정도 입니다' 깁스한 일반인
광고 했던 차가 비교대상중 최하위를 했었다는....
전 그광고를 보고 'xxx씨가 다른차를 탔으면 깁스도 안했겠군...'
하고 생각했는데....현지 출시가 90년대초이니...그럴밖에요
물론 일본차는 유럽차는 한국차는 이런걸 떠나서 5~6년 차이가 나는
느린툴과 컴을 가지고 해석을 하면 횟수가 제한되니 말입니다.
물론 오래된차가 모두 안전성이 떨어진다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제 생각에 자동차의 안전도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평준화되고 있는건
해석툴의 발전과 컴의 처리속도가 가장 큰 역할은 한다고 봅니다.
수년전에 국내 중형차 충돌테스트가 기억나는데 일본에서 설계한
'xxx씨는 이차를 타고 있어서 이정도 입니다' 깁스한 일반인
광고 했던 차가 비교대상중 최하위를 했었다는....
전 그광고를 보고 'xxx씨가 다른차를 탔으면 깁스도 안했겠군...'
하고 생각했는데....현지 출시가 90년대초이니...그럴밖에요
물론 일본차는 유럽차는 한국차는 이런걸 떠나서 5~6년 차이가 나는
느린툴과 컴을 가지고 해석을 하면 횟수가 제한되니 말입니다.
물론 오래된차가 모두 안전성이 떨어진다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2007.06.27 01:08:45 (*.77.163.125)
옛날에 쏘나타2, 엑센트의 EURONCAP 오프셋 충돌테스트도 저것보다 약간 나은 정도 수준이었던 걸로 알고 있는데... 요즘 NF,싼타페를 보면 많이 좋아졌음을 느낍니다. 일전에 보니 제가 타는 엘란트라는 오프셋도 아닌 고정벽 100% 정면충돌(NHTSA)에서도 별 하나밖에 못받았더군요.-.-;;;;
2007.06.27 02:01:14 (*.245.132.12)

차종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90년대 중반까지의 설계/생산용 국산 일반차량이라면 40%오프셋충돌 테스트에서는 위의 영상처럼 별차이가 없을것 같군요.... 물론 차량 설계시 에어백이 적용이 된 차량이라면 약간은 다를수 있으나.... 별로 차이가 없을것입니다... 그리고 같은 시기에 측면 에어백이 적용된 볼보계열부터 안전개념이 발전된것 같네요.... 90년대 후반부터 설계/생산된 차량들은 차량무게도 차체크기도 차고/시트높이가 다 올라간 이유가 측면충돌해석에 따른것 같습니다............카터라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