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아래 글에서 제가 들은 멜로디가'학교종이 땡땡땡'이 아니라 '떴다 떴다 비행기' 였음을 밝힙니다.
솔솔 라라 솔솔 미~ 가 아니라 미 레도레 미미미~ 입니다.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
톨게이트 전에 드르륵- 통과하는 요철 구간이나 노면의 규칙적인 홈에 따라 특정 음이 들려오는 곳을 통과하면서 ' 인위적으로 요철의 간격을 조정하면 멜로디도 넣을 수 있겠네....' 하면서 혼자 상상하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며칠 전 서해안 고속도로를 타려고 외곽 순환 고속 도로를 타고 내려가던 중 맨 하위 차선에서 갑자기 솔솔 라라 솔솔 미-- 솔솔 미미 레- 솔솔 라라 솔솔 미 솔미 레미 도--- 하면서 학교 종이 땡땡땡 노래가 나오는 겁니다.( 주행 속도에 따라 음의 높낮이는 달라지겠지만 )
아마도 램프 진입하기 얼마 전인 것 같은데요.
저야 운전을 하고 있으니 노면 소음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집사람은 라디오 소리인줄 알았다더군요.
과속 방지 시설의 일종 같던데.... 운전자 주위도 환기시키는데 참 좋을 것 같더군요.
( 자장가 멜로디면 더 졸리려나? ㅎㅎ)
상상으로 현실화되다니 재미있고, 도로 공사도 유머 감각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구간에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경험해 보신 분 계신지요?
솔솔 라라 솔솔 미~ 가 아니라 미 레도레 미미미~ 입니다.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
톨게이트 전에 드르륵- 통과하는 요철 구간이나 노면의 규칙적인 홈에 따라 특정 음이 들려오는 곳을 통과하면서 ' 인위적으로 요철의 간격을 조정하면 멜로디도 넣을 수 있겠네....' 하면서 혼자 상상하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며칠 전 서해안 고속도로를 타려고 외곽 순환 고속 도로를 타고 내려가던 중 맨 하위 차선에서 갑자기 솔솔 라라 솔솔 미-- 솔솔 미미 레- 솔솔 라라 솔솔 미 솔미 레미 도--- 하면서 학교 종이 땡땡땡 노래가 나오는 겁니다.( 주행 속도에 따라 음의 높낮이는 달라지겠지만 )
아마도 램프 진입하기 얼마 전인 것 같은데요.
저야 운전을 하고 있으니 노면 소음이라는 것을 알았지만 집사람은 라디오 소리인줄 알았다더군요.
과속 방지 시설의 일종 같던데.... 운전자 주위도 환기시키는데 참 좋을 것 같더군요.
( 자장가 멜로디면 더 졸리려나? ㅎㅎ)
상상으로 현실화되다니 재미있고, 도로 공사도 유머 감각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구간에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경험해 보신 분 계신지요?
2008.01.04 15:04:10 (*.12.196.12)

몇 군데 시공되어 있고, 기사화도 여러 번 되었습니다.
콘크리트 포장에 대해서는 도공에서 특허도 여럿 낸 모양이더군요.
콘크리트 포장에 대해서는 도공에서 특허도 여럿 낸 모양이더군요.
2008.01.04 15:08:29 (*.30.200.135)
얼마전 개통한 상주-청원간 고속도로에서도 경험해 봤습니다. 거기는 "따르릉따르릉비켜나세요~~" 이 음악으로 나왔습니다. 졸음방지, 과속방지에도 꽤 효과적인거 같아서 신기해 했던 기억이 나네요.
2008.01.04 15:31:01 (*.217.177.93)

오.... 서진호 님, 좌우 바퀴 스테레오? 대단합니다. 특허내세요. ㅎㅎ
타이어에 따라서도 달라지겠지만 아무래도 road surface feedback에 충실한 차종은 소리가 크게 들리겠지요.
정한조 님, 기사화도 되었었군요.
그러게...몰래 깔아 놓았을리 없지요.^ ^;;
그리고, 이 것도 생각을 해보았었는데...
고속도로에 1차로 점거 운전자들이 많아서 원활한 소통에 지장이 막대하죠.
15-20 km마다 규칙적으로 저런 요철 구간을 넣는다면 시끄러워서라도 계속 1차로로 달리지 않을 것 같은데요.
추월차로는 추월할 때만 이용하는 습관이 저절로 길러지지 않을지...^ ^
'따르릉 따르릉 비켜나세요~' 멜로디를 적용하면 좋겠군요.( 혹시 이 것도 이미 특허? ㅎㅎ)
타이어에 따라서도 달라지겠지만 아무래도 road surface feedback에 충실한 차종은 소리가 크게 들리겠지요.
정한조 님, 기사화도 되었었군요.
그러게...몰래 깔아 놓았을리 없지요.^ ^;;
그리고, 이 것도 생각을 해보았었는데...
고속도로에 1차로 점거 운전자들이 많아서 원활한 소통에 지장이 막대하죠.
15-20 km마다 규칙적으로 저런 요철 구간을 넣는다면 시끄러워서라도 계속 1차로로 달리지 않을 것 같은데요.
추월차로는 추월할 때만 이용하는 습관이 저절로 길러지지 않을지...^ ^
'따르릉 따르릉 비켜나세요~' 멜로디를 적용하면 좋겠군요.( 혹시 이 것도 이미 특허? ㅎㅎ)
2008.01.04 16:02:47 (*.34.40.45)

얼마전 방송에서 봣습니다. 서울외각 일산에서 판교방면 조남분기점 빠지기전에 '떳다 떳다 비행기' 길이 있답니다. 유래는 일본의 한 도로에서 시도한것을 보고 도로공사에서 도입했다고 하던데요. 시속이 맞아야 박자가 맞던데..너무느리면 테이프 늘어진 소리가 나더군요..아무튼 다양한 시도가 재미있네요.^^;
2008.01.04 17:24:49 (*.46.117.69)

심심할때 외곽순환도로에서 노래 듣기 합니다.
어떤날엔 천천히 발라드로 들어도 보고
어떤날엔 빠르게 댄스곡으로 들어도 보고
밤에 졸릴때 가끔 쓰는데 재미있어요 ㅎㅎㅎ
어떤날엔 천천히 발라드로 들어도 보고
어떤날엔 빠르게 댄스곡으로 들어도 보고
밤에 졸릴때 가끔 쓰는데 재미있어요 ㅎㅎㅎ
아마도 그루빙공법 일거라 추측 해봅니다만...
기존 포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파는 방식이며 그 일정한 간격을 음색으로 변환 계산하여
높은음과 낮은음을 구별 시공할수 있겠네요....
예를들어 낮은음이면 홈간격을 길게...그 반대로 촘촘하게...^^
아니면 홈의 깊이에 따라 달라질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