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기아 전시장에서 깔끔하고 상당히 고급스러워진 실내와 옵션에 놀라고,
시승을 통해선 역시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의 엔지니어링이 많이 부족함에 아쉬웠는데요,
무엇보다도 견적을 내보고서는 이제 더이상 싼맛에 좋은 조건 때문에 팔리는 차가 아니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특히 미국보다 자동차 가격이 비싼 캐나다에서의 차값이 환율 계산해보면 한국 내수 가격에 비해 많이 비싸더군요..
일부 잘팔리는 모델만 그런것인지 확인은 못해봤지만, 스포티지와 폴쿱2.0/2.4가 500 만원에서 7~800 만원 더 비싸네요.
예를 하나 들어보면 스포티지 4륜 2.0 tgdi 를 네비와 열선 스티어링휠 없이 살려면
캐나다 bc주 기준으로 각종 비용에 세금 12%했을때
43,000 불, 4500만원정도가 나옵니다. 풀옵션으로 가면 2000불 + 세금이 붙어서 더 비싸지고요.
한국에서 gdi 터보 4륜 실구매가격이 훨씬 낮지 않은가요?
물론 포르테 쿱이나 그보다 하위 모델에선 저정도의 차이가 나진 않지만
"한국차는 북미에서 훨씬 싸게 팔린다"는 게 더이상 사실이아님은,,, 저만의 착각인가요?
기아라는 회사 덕을 많이봤고, 여러모로 응원하고있는 사람으로서 이제 혼다 도요타에 대등히
맞서고있는 현기차를 보며 뿌듯했지만, 한편으론 캐나다에서 한국차를 탈려면 한국보다
돈을 더 지불해야한다는 현실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네요..
평생 북미에서 돈 벌면서 여기서 살거라면 이런 가격 비교는 사실 의미가 없겠죠.
해당 시장에 맞게 나오는 가격정책일 뿐이니까요.
하지만 나중에라도 한국에 들어가서 살 경우를 생각하면,, 굳이 지금 한국차를 사야하나 의구심이 듭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왜 이렇게 상대적인 가격이 뒤집어진것인지... 이런저런 생각에 끄적여봅니다. ^^

네 주영님 말씀이 맞지요.. 경쟁 차종과의 관계등을 고려해서 가격을 포지셔닝 했을테니 그게 잘못됐다고는 보여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제 궤도에 올라가는 느낌이랄까요?
현재 스포타지가 스바루 포레스터와 상당히 비슷한 정도로 포지셔닝이 되었는데,,(공교롭게도 두 차종 다 터보모델까지 있군요)
편하고 가벼운 운동성에 고급스럽기까지한 인테리어(마치 외국에서 잘팔린다는 한국 냉장고 처럼요)를 원한다면
많은 이들은 포레스터보다, 아니 CRV나 RAV4보다 스포티지를 선택할것 같고,, 실제로 저 가격대에도 인기도 많습니다.
스포티지 2.0 T GDI 최고급 모델과 BMW X3 3.0 휘발유기본형의 가격 차이가 3천불 정도 되고요..
대략 그 정도에 포지셔닝 되어있습니다.
단지 제 입장상 비교가 안될수가 없어서 한 번 써본겁니다. 한국차 가격이 오른? 것도 저에겐 충격이었구요.
제가 알아본 스포티지 2.4 휘발유 중간 모델이 3만 2~3천불 정도 되는데, 그 가격이면 여기선 GTI 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시작 가격 2만 9천불 정도)
그런데 한국에서 고가 정책을 펴고있는 VW GTI가 취득세까지 하면 4천 후반대 이지요?
그런 생각을 하게되니 "헐렁한 한국 SUV 살 돈으로 GTI 산다" 라는 생각을 하게되더군요...

젠쿱 풀옵 기준으로 봤을때 한국에서 3440인데 (내비는 제외하고 윙은 덤으로 껴준다치고), 세금 빼면 대략 3000 2770 정도이므로 이미 edmunds.com 기준 MSRP 과 맞먹게 보다 싸지게 되는군요. ^^ 옵션을 1:1로 비교해보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해집니다. (각종 리베이트와 할인을 감안하지 않는다면) 미국도 그렇게 많이 싸지는 않습니다.
물론 경쟁이 치열한 볼륨모델로 가면 이야기가 좀 많이 달라지긴 하겠죠.
참고: 판매가 = (공장도가 + 개별소비세 10% + 교육세 3%) + 부가세 10% = 공장도가 + 14.3% 24.3%

부모님이 곧 x3 구입하시는데 이것저것 다 더하면 기본형도 5만불정도는 됩니다.
미국과 가격차이때문에 미국에서 차를 구입하는 사람도 많은데요. 워런티 문제라던지 nafta 가 있어도 북미생산 아니면 관세를 많이 내는 것 때문에 좀 꺼려지더군요.

스포티지는 2011 였습니다. 한 2주 전에 갔을 때 당시 현대는 더블 세이빙스 이벤트라고 뭘 하고있었고,,
인피티니는 G37쿱 최대 만 불 세일 등등 한창 이벤트중이었으나...
기아에서는 리베이트 얘기도 없고... 참... ㅡ.ㅡ; 굉장히 도도한 분위기였습니다.. 스포티지가 잘팔리나봐요;;
X3 스타팅이 41900 정돈데 이거저거하면 5만불 되겠죠^^ 암튼 축하드립니다. 와이프가 뮌헨 본사가서 X3 수동 모델에
앉아보더니 넘 좋아하더군요.. 지금으로선 넘 비싸구 다음에 그런 형태의 차가 필요하면 꼭 고려할려구요;;
또 한가지,,, 아까 박우현님도 언급해주셨지만,, 저역시 가격차이 때문에 미국딜러에서 새차를 사오는걸 문의했었습니다.
BMW Northwest라고,,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 근처의 딜러에 갔었는데,, X3 새걸로 수입해갈수있냐구 하니깐
새 차를 캐나다 고객에게 파는 것은 Ban 되어있다.. 금지되어있다고 하더군요..
BMW canada에서 싫어한다나... 뭐 몇 년 됐다고 하는데... 헷갈리더군요.. 가능한걸로 알고있었는데 말이죠.
현지 기아가 상당히 도도해진 것 저도 동감합니다. K5를 계약하러 갔을 때 인기가 있을 듯 하니까 제 다음 고객에세는 1불도 할인을 못한다고 버티더군요. 세일즈 맨과 친해서 자주 소식을 접합니다만, 현지 관심도에 비해 출고율은 낮은 편이고, 이쁘고 좋은데 기아로서 너무 비싸다는 의견이 많답니다. 그래서 신차가 나와도 보통 각종 리베이트나 프로모션이 시작되는 출고 후 1년 정도는 지나야 구매자들이 모여든다고 하더군요. K5가 캐나다 전체에 600~800대 팔렸다고 하는데, 제가 제 차를 입양한 3개월 동안 길거리에서 단 한 대만 조우할 정도였죠. 스포티지 관심을 보이다가도 역시 가격면에서 갈등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방금 어제 들어온 벨로스터 캐나다 모델 시승했습니다.
수동에 tech 패키지(네비, 18인치 휠, 썬루프 탑재)였는데 세 포함 실 구매가격 27600불입니다.
똑같은 모델이 한국에서 Unique 수동인데요,
휠과 선루프를 하고 등록세 모든 세금 다 더해 견적내니 한국에서 2천~2천 백만원대가 나오네요.
(두 차량 옵션은 확인해보니 뭐 다 같네요.)
집안 어른께서 워낙 강력히 추천하셔서 와이프가 타봤고,,, 솔직히 품질과 성능과 연비에 놀랐습니다만(아주 좋았음...)
감성이 없는 것과 핸들이 너무 가벼운것, 디자인에서 마이너스... 아직은 어쩔수 없겠지만 공기역학을 고려하지 않은 프론트 디테일들과 차체 하부(특히 뒷쪽) 구조는 안타까웠습니다.
BMW 탄 이후로는 그릴이나 후드 덕트류가 허당으로 막혀있는걸보면 다 뚫어지고싶은 생각이 들어서.. 병입니다 병;;;
그리고 최종적으로 누가 그 차를 2900만원 주고 여기서 살까요...
한국에서의 가격을 아는 한국 사람들중에 말이지요...
우선 캐나다 환율이 많이 올랐는데 예전 생각해서인지 ㅡ_ㅡ
환율이 다시 내려갈때를 대비하려는지 미국보다도 달러로만 보면 많이 비싸네요
예전 캐나다 800원 미국 1100~1200원하던 시절의 미국과 캐나다 가격차이를 아직도 고수하는 브랜드가 몇개있고
그중 현대도 한곳인거같습니다
캐나다 달러가 더 강세인데 랜드로버도 미국이 만불씩 저렴한경우도 있더군요
제 친구 부모님도 그래서 미국에서 x5를구입해 오셨습니다 물론 캐나다보다 만불이상 저렴하게 구매하셨더군요
아무튼 엄청난 딜을 해주지 않는이상 캐나다에서 한국차 구입할일은 없을거같습니다
제상식에도 한국보다 비싸게 사는건..... 구매자입장으로 용납??이 안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