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날씨가 겁나게 덥습니다.
이런 날씨에 운전을 하다보면 차도 몹시 힘들 것이라는 생각과 함께 차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수치화된 데이터가 궁금해지기도 하는게 사실입니다.
그런 면에서 각종 게이지들로 튜닝된 차들을 보면 부럽기도 하고 또 멋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들을 얼마만큼 믿을 수 있느냐? 라는 의문이 드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중에서도 엔진 상태를 살필 수 있는 중요 지표중 하나인 ‘배기온도 게이지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느냐?’와 이에 따른 문제들을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허접한 하수에 불과한 저의 생각이 고수님들 보시기에는 야메일 수도 있고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기꺼이 욕도 먹어야 겠지요.
그래서 테드는 댓글 하나 쓰기도 정말 무섭습니다.
각설하고 긴 설명보다 아래 사진을 보시면 이해가 빠를 듯 하여 첨부합니다.
20기통 V-Type 엔진에서 정상적일 때의 실린더 각각의 배기온도와 평균 온도인데요...
실린더 (#12) 한 개가 터지지 않았을 때 실린더 각각의 배기온도의 변화 (상승)
엔진 내부에서는 실린더 하나가 제 기능을 해주지 못하더라도 평균 배기 온도는 1℃의 차이도 없기 때문에 배기온도 게이지는 정상범위의 온도를 출력하고 있지만 나머지 19개가 1개의 몫을 분담해서 운전을 하고 그 만큼 더 많은 부하가 걸리는 것을 보여주는 데이터인데
만일 이러한 상황이 3, 4, 6, 8기통 엔진에서 발생한다면 실린더 개수가 훨씬 더 적은 만큼 엔진에 상당한 부담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너무 앞서 나가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가지 덧붙이자면 이그니션 계통의 편차로 인해 연소실에 점화에너지 전달이 고르지 못해서 출력 발생 시 실린더간에 불평형이 발생한다면 회전 질감에 영향을 미치고 오랜시간 쌓였을 때 내구성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실제로 오실로스코프로 각 실린더로 진행하는 점화 파형을 측정했을 때 그다지 균일한 편은 아니었고
이것들이 점화 플러그의 물성값들 같은 왜곡 요소들을 만나면 실린더간 편차는 더 커질 수 밖에 없을 테니까요...


다만 실린더 개수가 적고 엔진의 작동을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자동차에서는 아예 기통 하나가 작동을 안하는데 못 알아채기는 어렵고, 기통 간 편차를 줄인다는 것도 하나의 공기량센서와 산소센서를 가지고 여러 실린더를 최대한 균일하게 태워서 효율을 높이는 목적이니까요.
그리고 말씀하신 배기온 게이지의 경우 매니폴드에서 합류된 이후 터빈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인 바, 평균 온도만 볼 수 있는게 별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제경우는 엔진 연조를 세팅할때 감시할때 각기통에 배기온을 사용하는데(HKS제)
자동차쪽은 현역시절에는 호들갑을 부리기도했지만.,..
취미인 바이크를 만질때는 상당히 유효합니다.
4기통정도만하더라도 죽은 실린더가 만에하나 발생하면 바로 알아체기쉽기때문에 20기통과는 비교가어려울것 같습니다.
예를들면 V8기통이라도 밀러사이클 전환이나 4기통운영되는 에코드라이브 엔진들도있으니..
죽은기통에서 파워가 안나와도 말씀하신것처럼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