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지난 2004년부터 미시간주(정확하게는 주경찰인 Michigan State Police)에서는 공식적으로 국제 면허증을 면허증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http://www.michigan.gov/documents/msp/TSS_Field_Update_15_172716_7.pdf 참조)
이는 인터넷 등을 통해 원하는대로 나이와 이름등을 거짓으로 제작한 엉뚱한 국제 면허증이 유통되면서 다양한 문제점들을 나타 냈기 때문입니다.
미시간 뿐만이 아니라 미국내 약 42개 주에서 이렇게 "국제 면허증의 "면허증"으로의 호력"을 불인정 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참조하신 문건에 분명히 " It is not valid by itself, and must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valid license." 라고 나와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국제면허증 하나 만으로는 면허증으로의 효력이 없다는 말입니다.
미시간을 비롯한 미국에서 현지의 면허증 없이 운전을 하시거나 차량을 구입하시려면 항상 한국의 한글로 된 면허증을 소지하고 다니셔야 합니다.
한국과 미시간을 비롯한 미국의 50개주는 1949년의 로드 컨벤션 조약에 따라 한국의 면허증을 인정해주게 되어 있습니다. (http://www.michigan.gov/documents/reciprocity_chart_20508_7.pdf 참조) 국제 면허증은 필요하지 않으며, 여권이나 공증된 번역본등, 면허증과 같이 사용할수 있는 "영어 번역본" 만을 요구합니다만은 이것도 "For licenses that are not in English, an interpreter may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license’s validity." 라고 해서 대부분의 경우 여권과 한국의 신형 면허증 (오른쪽 상단에 Driver's License 라고 영어로 적혀 있는것)을 같이 제시하면 이를 번역본으로 인정해주고 있는 추세입니다. 심지어 여권이 아니라 이름있는 대학교의 학생 ID 카드등도 사진이 흡사/동일 하고 자체적인 코팅등의 품질 관리가 되어 있을 경우 이를 인정해 줍니다.
유학 오시는 분들 중에서 면허증을 따셔야만 보험이 싸진다고 해서 무조건 현지 면허증을 취득하시기를 기다리시는 분들이 계신데,
지난 몇달간의 추세를 보면, AAA, Statefarm등에서 한국 면허증 소지자는 Underwritting Quarter(한국으로 따지면 '공동 인수'를 할수 있는 숫자)가 가득 차서 올해는 더이상 가입 해줄수 있는 Capacity가 남아 있지도 않을 뿐더러.. (그래서 미국 현지 면허증이 없으신 분들의 경우 보험은 거의 progressive.com에서 밖에 구입하실수 없습니다.)
새로 유학 오신 분들이 대부분 SSN (Social Security Number)가 나오지 않으셔서 AAA, Statefarm등의 보험사에서도 보험 가입 카테고리의 가장 비싼 카테고리를 적용하는 바람에.. (SSN이 없으면, 보험회사에서는 거의 차명으로 새로운 Identity를 시작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신용 기록등이 없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카테고리로 분류 됩니다.)
결혼하신 30대 초반의 가장이 미시간에서 1만불 정도의 차량을 500불 디덕터블로 Full coverage로 가입 하셨을때 한국 면허증으로 progressive를 이용하시는것과 미국 현지 면허증 취득후 AAA 등에서 가입하시는것과 50불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결국 현지 면허증을 취득하는데 드는 비용이 약 120~200불 까지 드는 것을 감안하시면, 면허증을 보험 가격을 낮추는 용도 보다는 "면허증이 아닌 여권 대신 소지하고 다니실수 있는 신분증의 역할"로서 취득하셔야 된다고 생각하시는게 편합니다. 대부분의 주에서 면허증은 발급해 주지 않더라도 주민등록증과 비슷한 개념인 ID 카드의 경우 훨씬더 간단하고 편하게 만드실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면허증과 미국 현지의 ID 카드를 같이 보유하시는것도 단기 (1년 미만) 체류 하시는 경우에 하나의 방법이 되실수 있겠습니다 특히 만약 사고가 나시거나 과속등으로 티켓을 발부 받으셨을때 한국 처럼 벌점이 높아 짐에 의해서 보험가격이 올라갈수 있는데에 반해, 한국 면허증 소지자는 이런 부분에서 자유롭습니다.
한가지 더 말씀 드리면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대부분의 주에서 "이 주에서 살게 되면 이주해오고 15일 이내에 현지 면허증을 취득하거나 현지 번호판을 장착해야 한다" 등의 법이 있는데, 영주권자가 아닌 유학생들의 경우 이민법상 "주" 주거지-"Place of Residence" 는 미국이 아닌 본국인 한국임으로 이 법에 해당 되지 않습니다. 참고로 지난해 Real ID 가 생성되면서 불법 체류자 뿐만 아니라 합법적인 유학생들도 면허를 취득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던 이유가 위와 같이 이민법과 주법간에 상반된 해석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미시간을 비롯한 약 40여개 주에서는 현지 면허증이 없으셔도 차량을 구입/등록 하실수 있습니다만, 차량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현지 주소가 나와 있는 보험 가입증서 (Verification of Coverage) 를 같이 제출하셔야만 합니다. 우리나라의 책임 보험 의무 가입과 같은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차량 보험이 AAA,Statefarm등에서는 한국 면허증으로 가입이 안되고 있으므로, Progressive등의 인터넷 보험사를 이용하셔야만 하는겁니다.

10년 전 이야기지만....
저의 경우 국제면허증을 발급받아 갔고 StateFarm에 보험을 가입할 때 국내면허증을 공증받아 함께 제출해야 보험 가입이 가능 했습니다...
뉴욕 롱아일랜드와 뉴욕 업스테이트에서 스피딩으로 걸렸을 때는 국제면허증과 여권을 함께 보여줘야 했고...
뉴욕 퀸즈에서 브레이크등 점등 불량으로 걸렸을 때는 국제면허증과 여권을 함께 보여줬는데도 불구하고 해당 경찰로부터 국제면허증을 인정받지 못해 정비불량과 무면허 티켓을 함께 발급받은 경험이 있습니다...
퀸즈에서 걸린 것은 브레이크등의 정비를 마치고 경찰서로 가니 모두 무효처리 해주었습니다...
제가 있을 당시 커네티컷주나 뉴저지주에서는 국제면허증이 있는 경우 필기시험만 패스하면 운전면허증을 발급해줬는데 지금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가능하면 미국면허를 취득하는게 좋습니다. 이유는 술 혹은 담배를 살때마다 ID를 요청(동양인은 나이를 어리게 봄)해서 여권보다는 운전면허증이 좋죠..... 참고로 운전면허증 따기는 쉽습니다....

저는 2000년도에 미국 운전면허를 취득한 이유는 딱 하나였습니다.
술사고 담배살 때 항상 여권을 소지하고 다녀야만 한다는 짜증때문에
면허따고 나니 정말 좋더군요 여권은 항상 집에 놓고 다녀도 되니 ^^


국제면허증은 사실 허접해보이기도 하고 미국경찰은 뭔지도 모르더라구요. 그래서 저또한 2005년도에 미국 운전면허증을 취득하였고 술집이나 담배살때뿐만아니라 기념도 되고 좋더라구요~ㅎㅎ 여권들고 다녀도 상관없지만 분실시 위험하고요. 플로리다주는 한글 시험이 없었기땜에 쫌 고생한 기억이납니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지만요.


링크로 정확한걸 알려주시니 감사합니다.
저도 이게 정확지 않아서 2001년도에 버클리에서 렌트할때 선배랑 논쟁이 컷었는데..^^
(저는 된다는 말만 믿고, 국제 면허증은 안만들어갔거든요 ^^)
알아보려고 해도 교민 사회의 된다 안된다 말만 있고.....ㅠ_ㅠ.

작년 미국횡단여행을 하면서 스피딩으로 2번 적발이 되었었는데,
켈리포니아 면허증 대신에 국제면허증을 내밀었더니 잘 모르더군요.
(한번은 텍사스주였고, 두번째는 인디애나주였습니다)
어쨋든, 국제면허증에 대해서 설명을 하니 여권까지 보고 그냥 보내주었습니다.
국제면허증을 내밀면 벌금이나 벌점을 운좋게 면할 수도 있다는 얘기덕분이었죠.
언제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8년 6월쯤 운전면허 취득시 $25(필기시험 붙고) + $40(실기시험 예약시) 지불하였습니다.. 미시건주에 있었구요... ^^
그세 올랐나요?? 다시 그곳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ㅎㅎ (유학생 신분으로 있었습니다.F1)

한번은 텍사스에서 국제 운전면허증을 내밀었는데 그 자리에서 벌금을 봉투에 동봉해서 판사앞으로 보낸 적도 있습니다 ㅎㅎㅎ.
저는 작년 5월에 샌프란시스코 갔을때 경찰에 잡혔는데 가기 전에 국제 면허증을 만들었고 한국 면허도 있어야 한다길래 둘다 내밀었더니 한국 면허증은 필요없다고 하더군요.. -_-;;
오히려 이건 뭐냐고 묻더라구요... 뭐 암튼 제가 긴장해서 말을 제대로 못 알아듣는데다가 외국인이라는 것 때문인지 그냥 보내줘서 한숨 돌렸지요...
한국 면허증만으로는 불안불안 한데요.. -_-;; (한국 면허증 자체를 모르는 경찰이 있어서요..)

그떄는 면허증 오른쪽 위에 있는 "driver's license"를 가리키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법적으로 (위에 참조하시는 문서에도 나와 있지만) 미국의 경찰은 해외 면허증을 압수하거나 손상할수 있는 권리가 없습니다. (즉, 옛날에 국제 면허증에 딱지 끊길때 마다 펀치로 구멍을 뚫던 방식이 금지 되어 있는 겁니다.)
만약 경찰관이 이를 어길경우, "이론적으로는" 한국 영사관/대사관에서 이에 대해 해당 경찰 관서에 항의를 하고, 징계를 받게 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경찰 시스템이 지방 자치단체 단계별로 레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제가 살고 있는 동네에는 총 5가지의 경찰관이 있습니다. City Police(제가 있는 도시의 시경찰), Township Police(제가 있는 도시가 charter township으로 몇개의 시가 엮여 있어서 이 시들을 전체를 관할하는 경찰서가 있습니다), Sheriff (보안관입니다. 한국으로 따지면 읍정도가 되려나요? 여튼 보통 10개에서 20개 사이의 도시와 Township전체를 관할하는 역할입니다), State Police (주경찰, 미시간주 안은 전부 관할합니다) 그리고 이게 주 경계를 넘어가면 FBI, Homeland Security로 넘어가는겁니다.
여튼, 무슨 큰 사고가 발생했다고 하면 보통 이 5가지의 경찰차(?)들이 전부 출동합니다. 관할 구역이 넓을 수록, 경찰관의 수준(?)도 달라지구요, 덕분에, 고속도로에서 순수하게 돈 벌기 위해 일하는 City/Township Police들은 제대로된 교육을 못받아서 위와 같은 상황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름대로 Police도 3D잡중에 하나라서, 이곳 미국 교민 사회의 우스갯 소리 중에서 미국에서 일하는 공무원들 중에 가장 멍청한 애들이 Border patrol (공항의 입국장에서 여권에 도장 찍는 애들)이고, 실제로도 평균 교육 수준이 고졸입니다. 그 다음이 City Police/Fire station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대졸로 경찰을 하게 되면 최소한 Sheriff등(보안관) 이상의 레벨을 지원하거든요, 그래서 형사나 FBI처럼 정말 프로 페셔널한 잡으로 승진하는게 이친구들의 커리어 플랜입니다.
2006년도에 하와이에서 차량 렌트 했을때 한국면허증으로도 된다고 해서 빌린거였는데, 위와 같은 내용때문에 된거였군요... 전 하와이만 되는줄 알았었습니다..ㅎㅎ
아.. 그래서 미시건에서 시험볼때 국제면허증하고 한국면허증이 같이 있어야 필기시험 패스후 바로 실기시험예약을 할수 있었던거군요....... 첨갔을때 국제면허증만 들고갔다가 집에 다시 갔다왔었죠ㅎㅎㅎㅎㅎ
전 같이 요구하길래 원래 그런건줄 알았었습니다.....ㅎ
저역시 평소에 여권들고 다니기 귀찮아서 딴 면허이긴 하지만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한국돌아와서 유효기간 지나니까 웬지 아깝네요.....^^

미국공항에서 렌특카 빌릴때 국제면허증 보여줄라 하면 필요없고 한국면허증 달라고 하더군요. 저고 출장갈때 가지고다니긴 하는데... 이미 유효기간이 몇년 지난것입니다^^ 영국에서 렌트할때도 국제면허증 필요 없더군요. 보자구를 아예 안합니다.

국제 면허증도 일본의 경우는 관광 이외의 체류시에는 3개월만 인정해주더군요. 3개월 끝나자 마자 후다닥 일본 면허 신청하긴 했습니다만. 외국인에게는 신분증으로서의 위력이 거의 없더군요. 과속으로 걸리거나 경찰에게 불심검문 받을때 면허증만 주니 외국인 등록증도 보여달라던..
참 일본에서는 외국인이 렌트 하려면 일본 면허나 국제면허가 있어야 합니다. 그외에는 인정해주질 않더군요.
작년에 신호 체계를 모르고 Illegal turn으로 경찰에게 걸려서 벌금 낸 적 있는데 여권과 국제 면허증을 제시 했는데 국제 면허증 표지에 서울 경찰청장으로 써 있는 어XX씨 이름으로 티켓을 발부해서 안내면 어떻게 되려나 하고 고민햇었는데, 이제 그럴 일도 없겟네요...ㅎㅎ

국제면허증은 그 자체로서의 인정은 못받고 실제면허증의 각나라어 번역본 정도의 역할밖에 하지 못합니다.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국제면허증+실제면허증을 반드시 내야하구요.
다만 일부 국가에서 면허증만 내보이면 인터내셔널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서 국제면허증은 거의 소지하고 다니긴 합니다.
미국에서도 major 렌터카(hertz,avis)는 가끔 국제면허증도 같이달라고하는(실제면허증은 무조건소지해야함) 경우가 있고 직원한테 한국면허증으로도 충분하다라는걸 설명해야할 경우 참 피곤하여 그냥 항상 만들어 다닙니다.
제가 알기로도 국제면허증 만으로는 효력이 없고 한국 면허증과 같이 가지고 다녀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히려 미국의 경찰들이 그런 내용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거지요. 가능하다면 미국 면허증을 따 놓으면 여러가지로 편한게 많습니다만 요즘은 잘 안주는 경향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특히 미국 여행가서 차 렌트할때는 그렇지요.

저는 2007년도 당시 미국 1년 연수중에 일리노이주에서 임시 면허증을 발급받은 일이있습니다. 당시 면허증 발급을 위해서 필요한 서류 중 자격 요건에 맞는 비자.. 유효 기간이 6개월 이상인가 12개월 이상인가로 기억되는데, 첫 어학원에서 이 비자 기간 부분을 협조해주지 않아서 몇번을 DMV를 오가다가 학원까지 바꾸어가며 발급 받았습니다. 제 경험상 렌터카+국제면허증은 때론 도움이 될때도 있지만(가벼운 경고장 처리), 본인차량+국제 면허증의 경우 유승민님 말씀처럼 골치아픈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