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좀 오래된 자료 같은데 인터넷 돌아다니다가 발견했습니다.
그림을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WD에 관심있으신 분들 보시면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핀란드의 어떤 자동차 잡지에 실렸던 글로 보이는데 도통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전자장비에 많이 의존하는 메카니즘도 있고 메카니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군요.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기계식 토센 디퍼런셜을 적용하는 A4역시 전자 제어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토센 디퍼런셜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완하는 방향으로 튠이 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장점으로 내세우는 기계적 반응성 + 전자제어적인 보완으로서 아우디 콰트로가 현재의 명성을 얻게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잡지에서 아우디 A4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만, 헤드램프나 난방 성능, 가격 등 종합적인 점수를 반영한 것이며, 눈길 주행성만을 놓고 볼 때 다른 메카니즘보다 월등한 면을 보이진 않습니다.
테스트 항목을 살펴보시면 눈길 주행성에서 A4보다 더 앞서는 차량도 있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또 한 가지 눈여겨 보셔야 할 점은 눈길 주행 성능은 전자장비가 많고 적음과 관련이 적다는 것입니다.
비교 차량들은 완성된 메카니즘으로서 모두 기본적으로 전자적 트랙션 컨트롤을 지니고 있습니다만 전자 제어 시스템의 종류가 많다고 하여 반드시 우수한 성능을 내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눈길 주행성뿐 아니라 일반 도로를 달리는 드라이브 필 역시 아주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항상 눈이 쌓여있는 곳이 아니라면 차량의 선택에 있어서 어디에 주안점을 둬야할지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차량은 직접 타보고 또 겪어 보기 전에는 알 수가 없습니다.
첨단 제어 시스템으로 안정감을 제공하는 것도 운전자를 만족시킬 수 있고, 다른 면으로
완성도 높은 기계적 메카니즘을 바탕으로 운전자에게 더 많은 역할을 부여해주는 것 역시 운전의 즐거움을 줍니다.
이러한 것의 연장선에서 메이커와 차량의 성격을 만날 수 있습니다.
맨 앞장의 도해를 보시면 각 차량들의 AWD 메카니즘을 간략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글씨 많은 부분은 빼고 테스트 항목 부분만 올립니다.
혹시 다른 자료 있으시면 공유하면 좋겠습니다.
2006.07.30 00:11:14 (*.114.7.237)

아우디와 메르세데스만 ESP를 선택하고 있네요~ 홋.. 신형 아반테에도 ESP가 옵션으로 있는듯 하던데 ESP 홍보 동영상을 보니 안전을 위해서는 꼭 있어야 할듯 하던데 다음 차량은 ESP가 탑재된 차량으로 구입해야 겠습니다~^^
2006.07.30 01:14:49 (*.149.224.93)
무척 관심있고 궁금한 부분인데.. 도움이 많이 될거 같은데.. 통 알수가 없군요..ㅠ.ㅠ
예전 프리챌 시절에 이경석님께서 정리해주신 메이커별 awd도 참 재미나게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예전 프리챌 시절에 이경석님께서 정리해주신 메이커별 awd도 참 재미나게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2006.07.30 01:18:57 (*.79.156.249)

ESP( DSC)는 있어서 나쁠 것이 하나도 없는 옵션입니다.
눈길에서 탈출할 때만 꺼주면 되고 항상 켜두고 다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BS와 ESP는 가급적 장착하는 것이 좋은데, 미래에는 안전을 위한 기본 사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끌 수 있는 기능(?)은 있어야겠지요.
일상 주행에서는 별 필요를 느끼지 못하지만 갑자기 돌발 변수가 나타나는 한계 상황에서는 분명 도움이 됩니다.
미국에선 공기압 모니터링 장치가 의무화 된다죠.
ESP나 DSC의 튠은 Bosch등의 회사와 협력하여 이뤄집니다.
엔진과 변속기 컨트롤 모듈뿐 아니라 ABS 모듈 역시 Bosch같은 회사에서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더 그렇죠.
이 때 메이커의 주문과 철학에 따라 성격이 달라지게 됩니다.
첫 장은 굉장히 함축적인 도해입니다.
이런 메카니즘에 따라서 주행감의 차이도 나고, 연비의 차이도 생기게 됩니다.
눈길에서 탈출할 때만 꺼주면 되고 항상 켜두고 다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BS와 ESP는 가급적 장착하는 것이 좋은데, 미래에는 안전을 위한 기본 사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끌 수 있는 기능(?)은 있어야겠지요.
일상 주행에서는 별 필요를 느끼지 못하지만 갑자기 돌발 변수가 나타나는 한계 상황에서는 분명 도움이 됩니다.
미국에선 공기압 모니터링 장치가 의무화 된다죠.
ESP나 DSC의 튠은 Bosch등의 회사와 협력하여 이뤄집니다.
엔진과 변속기 컨트롤 모듈뿐 아니라 ABS 모듈 역시 Bosch같은 회사에서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욱 더 그렇죠.
이 때 메이커의 주문과 철학에 따라 성격이 달라지게 됩니다.
첫 장은 굉장히 함축적인 도해입니다.
이런 메카니즘에 따라서 주행감의 차이도 나고, 연비의 차이도 생기게 됩니다.
2006.07.30 01:39:18 (*.79.156.249)

최홍준 님, 재미있게 보셨다니 기쁩니다. 음.. 저도 무슨말인지 모르지만, 대충 보시면 1. 메카니즘의 도해 2. 견인력( 눈길에서 가속력)과 등판능력 3. 60km/h->5km/h 감속시 제동 거리 4. 20% 경사에서 20km/h로 달리다가 풀 가속을 했을 때 100m 경과 지점에서의 속도와 시간( 눈길 등판 가속력) 5. 해드렘프가 비추는 거리와 양상( 얼마든지 조절 가능하므로 테스트 가치는 의문임.) 밒 기타 램프 관련 테스트 6. 시트 열선의 성능 7. 히터 성능( 엔진의 웜업과 관련이 있으나 추운 지방에서 실생활에선 중요하겠지요.)
인 것 같습니다...
혹시 해석 가능하신 분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인 것 같습니다...
혹시 해석 가능하신 분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bmw와 스바루는 열선이 아니라 다른방식인가... ? 골고루 데워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