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8월 중순이면 다시 한국으로 돌아갑니다.
돌아갈때가 다가오니.... 에잇을 어떻게 해야 하나 정말 고민이 되는군요.
2006년 6월 등록 차량에 작년 11월 구입시 48000마일, 현재 마일리지는 55000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킬로미터로 환산하면 약 88000킬로 정도 되는군요.... --;;;
한국 돌아갈 때 쯤이면 57000마일은 거뜬히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녀석을 작년 11월에 14500불 주고 구입했었고.... 만일 한국으로 가지고 들어간다면
운송비 및 관세, 등록비 등 모든 비용을 계산해 보면 현재 환율 1224원 기준으로
1000만원이 넘게 들어가게 됩니다.
차량 구입했던 가격까지 포함하면 제가 쓰게 되는 총 비용이 현재 환율 기준으로
(등록비 포함, 자동차세/보험 불포함) 2800만원이 넘어가게 되는군요.
한국에 가져간다면 당연히 오래오래 제가 타겠지만, 금액을 생각해 볼 때에
91000키로도 넘게 된 녀석을 가져가서 2800만원에 팔 수 있을까를 생각해보면... 아니요.. 라는 답이 나올 것 같은데요...
부모님께서는 환율 올라갔을 때 달러나 많이 가져오라고 성화시고...
와이프는 의외로... 정 저 차가 좋으면 가져가는 것도 고려해 볼 수는 있는데, 부모님과 이야기는 제가 알아서 하라고 하네요.
(30대 중반 되도록 아직 부모님께서 강하게 간섭하시는 부분들이 좀 있습니다. 아쉽게도... )
게다가 요즘 이 지역에 중고 차량 수요가 갑자기 증가하는 추세라, 개인거래만 성사된다면
작년 구입시보다 거의 1만마일 늘어난 상태임에도 13500불 정도에는 판매가 가능한 분위기입니다.
사실 생각해 보니... 한국 가면 젠쿱 380 GT-R 중고도 2500만원이면 구입할 수 있을 것 같더라구요.
메인터넌스의 비용과 용이성은 에잇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좋을테구요...
하지만 과연 로터리만의 고회전 감성과 질감, 그리고 경량 프론트미드쉽만의 핸들링,
한국에서 레어 아이템이라는 심리적 만족감,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디자인의 독특함...
등의 여러가지 강점들과 함께 비교해 보자니.... 너무 아쉽기도 하구요...
여기에 질문하면 대부분 "한국으로 그래도 가져와라. 본인이 좋은게 최고다" 라고 하실 것 같지만...
의외로 현실적으로 분석해서 접근하시는 분들도 많으니, 여러분의 조언을 좀 들어보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판매를 하시고 깔끔하게 현찰로 가져가심이 어떨런지 -_- 물론 마음은 아프시겠지만.....노력하시면 수입차 또 다시 넣으실 수 있겠죠 ^^ 가격대비 좀 손실이 많은것 같네요 ㅠ 위에분들 말씀대로 젠쿱도 충분히 구입가능하고...
금액으로 따지면 메리트가 없는 정도가 아니라 손해가 많죠.. 그래서 고민을 ㅠ.ㅠ
결국 에잇은 정말 좋은 추억으로? 에잇! ㅠ.ㅠ
그리고, 젠쿱 3.8엔진 스왑중인 에잇은, 테드 회원분의 차량입니다. 본인이 아직 공개를 안하셨으니 성함은 저도 생략... 미국에는 엔진룸의 크기나 무게의 이유로 콜벳 엔진으로 스왑한 세븐이나 에잇 이야기는 간간히 들리는데 대형엔진(?)이 들어가는 경우는 국내에서 처음입니다. 저도 결과가 무척이나 기대가 되는군요.

타고 있는 차량에 대한 각별한 애정이 있으면 국내 반입 비용과 메인터넌스 비용은 생각할 필요도 없고 고민도 안합니다...
저 또한 이사짐과 직수입으로 총 3대를 가져왔지만 비용에 대해 전혀 생각안했습니다..
이것저것 따지는 것 자체가 금전적으로 부담을 갖고 계시다는 것이고 부담을 갖고 가져오는 분들 보면 거의 다 후회합니다.
그리고 국내에 가져와서 팔 생각을 하고 계신듯 한데 이사짐으로 세금 다 내고 반입한 차량의 가격적인 매리트가 전혀 없는 곳이 한국인지라 절대 비추합니다.
애정을 갖고 타실거면 가져오시고 그렇지 않다면 팔고오세요.
참고로 이사짐으로 가져와서 팔만한 차량은 국내에서 인증이 안되지만 구입희망자가 줄서 있는 그런 차량들입니다.
아, 가져간다면 팔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그냥 금전적으로 비교를 해 본 것 뿐이죠.
그리고 사실 금전적인 부담이라기보다, 기회비용을 따지고 싶은 것이구요, 한국으로 가져갈 경우 드는 비용 자체는 어차피 한국에서 차 한대를 다시 산다고 하면 비슷하게 들 금액이니까 그게 아까운 것도 아니구요....
그런데 문제는 현재 차량의 마일리지가 그리 낮은 것도 아닌데, 제가 어느정도까지 이 차량을 관리하며 운행할 수 있을까가 더 고민이 됩니다. 만일 한국에 마즈다 딜러가 있다고 한다면 상황은 많이 달랐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어큐라만 해도 혼다코리아에서 부품 수급 및 정비는 어렵지 않게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부러운 점입니다.

추억에 한표 던집니다. (개인적으로는 만족하지만 비용면에서는 만족하지 못한 이사짐 차량.. 평생 한번이라고 하는데... ^^;)

사진이랑 동영상줌 마이 찍어주고, 좋은 익스페리언스만 가져오시길.
젠쿱으로 합류하세요. 제수씨도, 넓직하고 스타일리쉬 해서 좋아할검. 아이들이 아직 어리니까 패밀리카로도 손색없음요. ㅋ 젠쿱은 소유의 존재감이 대단한 차. 메인트넌스 부담 제로/ 오너의 캐릭터리제이션 최고/ 실용성 최고/ 주행성능 만족감 최고.ㅎ

고민을 하시는 것을 보니 놓고 가셔도 크게 후회는 안하실 것 같습니다.
다만, 미국에서의 저렴한 중고차 가격을 생각했을 때에 다른 차를 가져가시는건 어떨지요?
어차피 차를 한 대 사서 오랫동안 타실거라면 관리하기는 까다로워도 희소성은 무시못할테니까요.
펀카로 S2000 이나 같은 MAZDA MX-5 도 좋을 것 같습니다. 2인승이 안된다면 할 수 없지만..;;

마즈다를 들여와 국내에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할라치면... 그 스트레스가 엄청 날 겁니다. 만약 소유하고 있으신 차종이 국내에 진출한 메이커라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고 하면 십중팔구 후회하실 것 같습니다. 이삿짐으로 들여와 제 값어치를 할 만한 차량은... 글쎄요... 5만불 이하에서는 공랭식 911들 정도 뿐이 떠오르지를 않는데요? ^^; 집 앞에 쫘악 깔린 그린 서비스, 블루 핸드 등을 접해보시면... 한국에 돌아오셔서 현대차로 갈아타시길 잘했다는 생각이 드실 것 같습니다. ㅎㅎ
패밀리카는 한국에 CR-V 그대로 남겨두고 왔기 때문에, 저 혼자 쓸 펀카이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이사짐으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최소 3개월 소유라는 자격 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는데, 지금 차를 바꿀 수는 없는 상황이죠. 결국 선택지는 딱 두가지 입니다. 가져가느냐 아니면 파느냐.....
어쨌거나 여러 조언 감사 드립니다.

귀국시 자동차 문제에 대한 고민은 다들 한결같으시네요. 간단하게 나누어서 가져가느냐 파느냐인데... 저의 경우는 오래되고 마일리지가 높은 차라 시세가 없다시피 하니 가져가든지 버리든지(?)라서 좀 그렇네요 ㅡㅜ... 뭐 그래도 가져갈 확률이 더 높겠지만요 모쪼록 좋은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저같으면 볼 것도 없이 갖고 올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사고 싶어도 못 사는 차... 말그대로 들여오시면 초 레어 될만한...
상품성으로도 국내에서 비슷한 가격대에 구할 수 있는 차량은 없을 듯 싶은데요.. 젠쿱 얘기가 나오는데, 솔직히 운동성능이나
품질감에서 에잇에게는 좀 아니라고 봅니다. 보수/유지때문에 걱정이신 듯 한데.. 음... 글쎄요 일본 내수용과 얼마나 부품이 호환되는 지는 모르지만, 요즘에는 아시다시피 국내에서 미국차량 보유하면서 부품 수입대행업자한테 오더해서 소모품같은거 주문해서
수입차 잘 만지는 샾에서 정비하는 경우도 많고, 어쨌든 물건너 오느라 좀 걸리겠지만 저같음 그정도 비용은 감수하겠네요...
솔직히 젠쿱 사서 순정으로 타고 다니리란 보장도 없고, 아시다시피 젠쿱에 튜닝 들어가기 시작하면 튜닝파츠+공임 하면 꽤
나옵니다. 그돈이나 별 차이 없을듯 해요..
암튼 결론은, 저같으면 그냥 미국땅에 남겨두고 오기엔 너무 아까운 차량이라, 운송비같은거 감수하고 가져 오겠습니다.
의외로 로터리 마니아들은, 가뭄에 단비로 여겨 들어오자 마자 몰려들어서 '저한테 파세요' 이럴수도 있을듯 합니다.
(결국 살만한 사람들은 제 가격 주고 다 삽니다) 게다가 일본에서 로터리 좀 만진다는 미캐닉도 가끔 한국으로 와서 손봐주고
가니까.. 보수/유지는 맘만 먹으면 충분히 가능할 겁니다
그 차에 특별한 애정이 있다면 모를까, 비용적인 측면에서 봤을때 메리트가 엄청나게 없습니다;
그나저나 국내에선 현재 RX8에 젠쿱 3.8엔진을 올리고 있는 차도 있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