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http://news.empas.com/show.tsp/cp_ch/soc00/20070606n10911/연예인 겸 레이서인 이 세창씨의 의견이 조t선 일보에 나왔군요.
개인적으로 조t선 일보를 좋아하진 않지만 자동차에 나름 관심 있는 사람으로서 공감하는 부분도 있고 아닌 부분도 있습니다
공감하는 부분은, 레이싱과 튜닝에 대한 지나친 규제로 인해 자동차 문화가 획일화되었고 레이싱을 양아들의 놀이로 치부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인구 밀도는 세계적 수준이라, 특히 소음에 민감한 '배기'튜닝 경우는 민폐를 크게 끼치기 마련이지요.
그러나, 창원 주민들이 서킷을 '시끄럽다'며 항의하는 부분에 대해서, 그는 답답하여 눈물이 났다고 하였습니다만, 서킷이 시끄러운 것은 맞습니다. 우리 나라가 다른 나라와 다른 점은 바로 인구밀도지요. 현재 한국 문화에서는 소음 차단 시설을 갖춘 서킷이 아니라면 어느 곳이라도 항의를 받을 겁니다. 당장 갓난아기가 있는 부모라면 이해를 할 겁니다. 애가 경기를 일으키면 얼마나 짜증나겠습니까.
제가 수원 10전비단에 있었는데, 수원역 아래에 위치하며 민가에 엄청난 소음을 유발합니다만 꾸준하게 '버티고'있습니다. 군사 시설이기 때문입니다. 서킷을 군사 시설화 하면 주민 항의로부터 버틸 수는 있겠군요...
Melbourne(멜번/멜본이라고 많이 그럽디다. 대개 멜버른이라고 읽지요)의 Albert Park 근처에 살았기 때문에 가끔 자전거 타고 돌아봤습니다. F1서킷을 연상하면서요. 매 년 3월에 경기가 열리는데, 그 일주일은 정말 뜨겁습니다. '애애애애애~액' 하는 고음이 돈으로 바뀌어 멜번 시티에 비가 내리는 장면이 연상됩니다... 레이싱 경기는 부가가치 창출이 크긴 크죠.
한국에서 '레이싱카 소음이 바로 돈이다'라는 인식을 하려면 꽤 시간이 흘러야 할 것 같습니다. 차라리 출력을 낮추더라도 경기장의 배기 소음을 강화하는 편이 레이싱 경기장 유치에 도움이 될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조t선 일보를 좋아하진 않지만 자동차에 나름 관심 있는 사람으로서 공감하는 부분도 있고 아닌 부분도 있습니다
공감하는 부분은, 레이싱과 튜닝에 대한 지나친 규제로 인해 자동차 문화가 획일화되었고 레이싱을 양아들의 놀이로 치부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인구 밀도는 세계적 수준이라, 특히 소음에 민감한 '배기'튜닝 경우는 민폐를 크게 끼치기 마련이지요.
그러나, 창원 주민들이 서킷을 '시끄럽다'며 항의하는 부분에 대해서, 그는 답답하여 눈물이 났다고 하였습니다만, 서킷이 시끄러운 것은 맞습니다. 우리 나라가 다른 나라와 다른 점은 바로 인구밀도지요. 현재 한국 문화에서는 소음 차단 시설을 갖춘 서킷이 아니라면 어느 곳이라도 항의를 받을 겁니다. 당장 갓난아기가 있는 부모라면 이해를 할 겁니다. 애가 경기를 일으키면 얼마나 짜증나겠습니까.
제가 수원 10전비단에 있었는데, 수원역 아래에 위치하며 민가에 엄청난 소음을 유발합니다만 꾸준하게 '버티고'있습니다. 군사 시설이기 때문입니다. 서킷을 군사 시설화 하면 주민 항의로부터 버틸 수는 있겠군요...
Melbourne(멜번/멜본이라고 많이 그럽디다. 대개 멜버른이라고 읽지요)의 Albert Park 근처에 살았기 때문에 가끔 자전거 타고 돌아봤습니다. F1서킷을 연상하면서요. 매 년 3월에 경기가 열리는데, 그 일주일은 정말 뜨겁습니다. '애애애애애~액' 하는 고음이 돈으로 바뀌어 멜번 시티에 비가 내리는 장면이 연상됩니다... 레이싱 경기는 부가가치 창출이 크긴 크죠.
한국에서 '레이싱카 소음이 바로 돈이다'라는 인식을 하려면 꽤 시간이 흘러야 할 것 같습니다. 차라리 출력을 낮추더라도 경기장의 배기 소음을 강화하는 편이 레이싱 경기장 유치에 도움이 될 듯 합니다
2007.06.07 18:07:24 (*.238.242.101)

결국 문화 저변의 차이이고, 그러한 차이를 극복해야 할 주체는
그 문화를 공급하는 공급주체가 되어야 하겠지요.
현대가 너무 축구에만 돈을 들이 붓지 않았으면 하네요^^
그 문화를 공급하는 공급주체가 되어야 하겠지요.
현대가 너무 축구에만 돈을 들이 붓지 않았으면 하네요^^
2007.06.07 21:45:24 (*.215.1.122)

외국의 경우도 서킷출입시 자체적인 소음규제가 실시되고있는 분위기인만큼 출력을 조금 손해보더라도 적정선을 지키는것은 정말로 필요하다고봅니다.
그리고 소음과 출력이 꼭 비례관계는 아니더라구요 ... 훨씬 더 조용하면서도 출력이 잘나오는 애프터마켓 배기시스템도 얼마든지 있으니..
그리고 소음과 출력이 꼭 비례관계는 아니더라구요 ... 훨씬 더 조용하면서도 출력이 잘나오는 애프터마켓 배기시스템도 얼마든지 있으니..
2007.06.07 22:49:16 (*.221.65.244)
단적인 예로 에버랜드 서킷 주변에선 시끄러운차를 더이상 운행하기 힘들지경입니다. 이번에 타임트라이얼경기에선 배기소음 규제까지 실시하더군요. 민원이 워낙 엄청나서;;;;;;
그리고 해외서킷들도 배기소음은 규제하는 곳이 꽤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해외서킷들도 배기소음은 규제하는 곳이 꽤 많다고 들었습니다.
2007.06.08 01:01:51 (*.227.8.206)

국내에 사막이 없는걸 아쉬워 해야 하나요. 사막 한가운데 있는 미국 서킷들 보면 소음민원 걱정 없어서 좋을것 같기도 한데... 공항 시설을 사용하는 서킷들도 있고...
그나마 간척지가 좋긴 한데... 용지 용도 변경하면 특혜다 모다 시끄럽구... 그것보다 개발 된다고 해도 전체적인 계획을 밀어부칠만한 역량이 없는게 문제더군요.
그나마 간척지가 좋긴 한데... 용지 용도 변경하면 특혜다 모다 시끄럽구... 그것보다 개발 된다고 해도 전체적인 계획을 밀어부칠만한 역량이 없는게 문제더군요.
2007.06.08 04:32:37 (*.18.235.213)
창원 서킷 건축구조가 어떤지 모르겠지만... 소음이 생활에 지장이 된다면
잘못된 겁니다. 그걸 다른 곳과 비교해봐야 무의미한 비교인 것 같습니다만...
그리고 사실 국내 여건에 차동차문화라는 게 어떻게 보면 무리인 것 아닌가요?
차는 결국 생활수단이고 스포츠화되는 것은 그것은 즐기는 것이니 그렇게
안되도 어쩔수 없는 것이겠죠. 겨우 5천만인구에 다른 나라에 활성화된
스포츠를 모두 다 따라할 수는 없겠죠. 이런 저런 국가적 특색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자동차 개조에 대한 법은 편견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자동차도 좋지만 남도 배려하시는 매니아가 되시길 바랍니다.
잘못된 겁니다. 그걸 다른 곳과 비교해봐야 무의미한 비교인 것 같습니다만...
그리고 사실 국내 여건에 차동차문화라는 게 어떻게 보면 무리인 것 아닌가요?
차는 결국 생활수단이고 스포츠화되는 것은 그것은 즐기는 것이니 그렇게
안되도 어쩔수 없는 것이겠죠. 겨우 5천만인구에 다른 나라에 활성화된
스포츠를 모두 다 따라할 수는 없겠죠. 이런 저런 국가적 특색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자동차 개조에 대한 법은 편견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자동차도 좋지만 남도 배려하시는 매니아가 되시길 바랍니다.
2007.06.08 12:56:08 (*.246.204.254)
직장에서 차 얘기 꺼내면, '독특한 사람'으로 취급받아서... 이젠 왠만하면 꾹 입다물고 있습니다. 역사가 좀 있는 외국의 자동차 문화는 어떻다는 글을 읽고 부러운 마음 뿐인데.... 정말 그건 먼나라 이야기일 뿐인 거 같습니다....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