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올 연말 최고급 후륜구동 세단 '제네시스'(프로젝트명 BH)를 출시하는 현대자동차가 이 차량의 가격과 독립 브랜드 도입 방안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제네시스 출시를 앞둔 현대차가 가격 딜레마에 빠진 것은 최근 이어지고 있는 수입차의 가격 인하 바람 때문이다.
BMW코리아는 지난달 22일 현대차가 제네시스의 경쟁 모델로 삼고 있는 뉴 5시리즈를 기존 모델보다 낮은 가격에 출시했다.
특히 배기량 3.0ℓ인 528i는 기존 모델보다 1900만원이나 싼 6750만원에 나왔다.
다임러크라이슬러코리아도 지난 3월 크라이슬러 300C의 가격을 2.7 모델은 4980만원으로,3.5 모델은 5780만원으로 내렸다.
현대차는 당초 제네시스의 가격을 △배기량 3.3ℓ 모델은 5000만원대 초반 △3.8ℓ 모델은 6000만원대로 정할 방침이었다.
실제 가격이 이대로 정해진다면 경쟁 수입차와 가격 차이가 거의 없어지는 셈이다.
실제로 지난달 27~28일 비밀 품평회에 참석한 고객들은 제네시스의 가격이 예상보다 높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때문인지 현대차 관계자는 "최근 수입차 업체의 가격 정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제네시스 최하위 모델의 가격은 4500만원 안팎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제네시스를 별도의 프리미엄 브랜드로 내놓는 방안도 고민거리다.
현대차는 제네시스에 현대 로고가 아닌 별도의 엠블럼을 붙이되 판매망은 분리하지 않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차량 앞뒤에 현대 로고를 붙이지 않는 대형세단 에쿠스의 브랜드 전략과 비슷하다.
그러나 이 경우 제네시스의 브랜드 정체성이 불분명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에쿠스 전용 전시장에서도 실제로는 그랜저와 쏘나타 싼타페 등을 함께 전시,판매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는 현대차가 브랜드 가치에서 밀리지 않으니 현대 브랜드를 유지하자는 의견도 많다"고 전했다.
서성문 한국증권 연구원은 "현대차는 에쿠스에 대해 독립 브랜드화를 추진했지만 에쿠스가 현대차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며 "별도 브랜드 도입에 따른 위험 부담은 줄이면서 기존 현대 브랜드와도 거리를 두려는 모호한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제네시스를 프리미엄차이면서도 판매 비중이 큰 볼륨 모델로 삼으려는 전략이 가격과 브랜드 결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분석한다.
김학주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현대차는 제네시스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동시에 판매량을 늘려 최근 급격히 떨어진 수익성도 회복하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차 고위 관계자는 "제네시스가 최고급 차종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영업본부에서 판매 목표량을 높게 책정해 가격을 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입력: 2007-06-08 17:53 / 수정: 2007-06-09 09:55
2007.06.11 22:44:27 (*.150.199.106)

TG보단 비싸면서 렉서스 ES보다는 싸야 가격 경쟁력이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미국에서 비슷한 가격으로 예상되는 인피니티 G35보다도 싸야할테니 한마디로 4000-4500을 넘기면 고전할 듯 싶네요..장점이라면 폭넓은 AS망인데 AS망도 툭하면 원래 그렇다는 둥 그냥 타라는 둥 무성의로 일관하면 안될테니까요..
2007.06.11 23:13:52 (*.99.190.78)

증권회사 리서치 센터장께서 이 안건을 분석하시고 예상하시는 것에서 현대가 국내에서 차를 만들고 파는 Mind가 굉장히 강하게 느껴지네요.. 쩝.. 돈돈돈돈돈돈돈돈돈....
2007.06.12 00:36:02 (*.133.138.117)

메커니즘이야 어떻게 됬든간에 현재로선 인피니티에 브렌드 벨류가
밀리는 실정이니 G35보다는 싸야겠으나 BH는 기아의 오피러스 보다
윗급 차량이므로 오피러스 보다는 비싸야 겠지요.. ^^;;
하지만 오피러스의 가격은 3.8은 말할것도 없고 3.3도 옵션에 따라
G35의 가격을 능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딜레마라는거죠.. ㅋ
밀리는 실정이니 G35보다는 싸야겠으나 BH는 기아의 오피러스 보다
윗급 차량이므로 오피러스 보다는 비싸야 겠지요.. ^^;;
하지만 오피러스의 가격은 3.8은 말할것도 없고 3.3도 옵션에 따라
G35의 가격을 능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딜레마라는거죠.. ㅋ
2007.06.12 01:55:52 (*.133.138.117)

TG S380 4059~4077만원 http://www.hyundai-motor.com
GS 350 4001만원(522만엔) 6/11 매매기준율 적용 http://lexus.jp
LS 460 5901만원(770만엔) 6/11 매매기준율 적용 http://lexus.jp
TOYOTA Century 8530만원(1113만엔) 6/11 매매기준율 적용 http://toyota.jp/century
GS 350 4001만원(522만엔) 6/11 매매기준율 적용 http://lexus.jp
LS 460 5901만원(770만엔) 6/11 매매기준율 적용 http://lexus.jp
TOYOTA Century 8530만원(1113만엔) 6/11 매매기준율 적용 http://toyota.jp/century
2007.06.12 02:02:00 (*.133.99.182)

현대의 내수가격 상승으로 인한 불똥은 이제 중형차에도 튈 날이 얼마남지 않았다고 봅니다. NF 2.4 기본형이 2600이라는 엄청난 가격을 지닌 상태에서 마진을 충분히 남긴 혼다 어코드 2.4가 3400인데 적정한 마진을 남긴다면 3000에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400도 차이 안나는데 혼다를 사지 현대를 살까요? 저도 아마 지금 타는 차가 중형차를 국산으로 산 마지막차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미 현대 산타페와 혼다 CR-V에서 고민하다 CR-V로 사서 높은 연비와 상품성에 감탄하는 경우가 늘고 있고 그 증거로 혼다 CR-V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 또한 마진을 더 줄이면 산타페를 압도하는 건 시간문제라고 봅니다.
이미 현대 산타페와 혼다 CR-V에서 고민하다 CR-V로 사서 높은 연비와 상품성에 감탄하는 경우가 늘고 있고 그 증거로 혼다 CR-V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 또한 마진을 더 줄이면 산타페를 압도하는 건 시간문제라고 봅니다.
2007.06.12 02:25:17 (*.42.45.8)
우리나라에서 점점 고급차 타기는 힘들어 질거 같네요. ㅠ.ㅠ
차가 좋아지고 기업도 살아나면 좋지만... 꿈이 멀어져만 가는 현실이 안타까워요.
차가 좋아지고 기업도 살아나면 좋지만... 꿈이 멀어져만 가는 현실이 안타까워요.
2007.06.12 08:56:01 (*.80.115.2)
향후 3년내에 국산 자동차 가격의 거품이 사라지던지... 망하던지 둘중에 하나일거 같습니다. 아제라 2000만원주고 구입한 선배를 보며 아무리 옵션에 차이가 있다고 하지만... 보증기간의 장점을 보자면 이건 아니다 싶더군요.
2007.06.12 09:20:44 (*.219.0.69)

그렇게 가격 공지를 해도 역시나 틀리게 나가는군요. 300C 2.7은 4480만원입니다. 당췌 500만원 내려서 잘 팔고 있는데 저렇게 이야기하는 경우는 또 뭔지..
차 자체의 완성도야 뛰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이런 식이면 비슷한 옵션에 수입차 가격이 더 싼 역전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겠군요. 점점 더 재미있어 집니다. ㅎㅎ
차 자체의 완성도야 뛰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이런 식이면 비슷한 옵션에 수입차 가격이 더 싼 역전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겠군요. 점점 더 재미있어 집니다. ㅎㅎ
2007.06.12 11:16:24 (*.254.12.240)

옵션을 이용해서 교묘하게..오피러스보다 살짝 오른 가격대를 구성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니면, 수입차 업계 따라해서 단순 무식 풀옵션으로 같은 배기량으론 오피러스보다 조금 더 비싼 값을 받을 수도 있구요. 앞으로 "후륜 = 고가 라인업" 이란 공식을 유지할 텐데, 오피러스보다 쌀 수는 없겠죠.
2007.06.12 11:19:12 (*.254.12.240)

그리고, CR-V의 선전은 현대/기아에 적절한 휘발유 SUV 차량이 없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 않을까요? CR-V가 커지면서...투싼/스포티지로 경쟁하긴 버겁고, 예전보다 커진 싼타페에 4기통 휘발유 올리기도 그렇고 현대/기아에선 맞불 놓을 차량이 없는 것 같습니다.
2007.06.12 11:28:07 (*.211.109.189)

현대의 차량가격 책정에 관해서는 이 한마디밖에 생각이 나지않습니다.
"어의상실" ㅎㅎ
단지 예상되는것은 수입 차량의 증가가 더욱 가속도가 붙을것으로 생각됩니다.
현대의 고가격정책이 수입차 브랜드들의 고 마진 판매차량
가격합리화 주장에 변명거리로 이용되지않았으면 좋겠네요.
"어의상실" ㅎㅎ
단지 예상되는것은 수입 차량의 증가가 더욱 가속도가 붙을것으로 생각됩니다.
현대의 고가격정책이 수입차 브랜드들의 고 마진 판매차량
가격합리화 주장에 변명거리로 이용되지않았으면 좋겠네요.
2007.06.12 11:31:25 (*.214.84.253)

CR-V가 휘발유라서 잘 팔리는건가요? 그런 생각은 못해봤는데 오너들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 같은게 있는지요? 갑자기 궁금하네요~ ㅎ
2007.06.12 14:09:19 (*.116.111.128)

예전에 현대에서.. 에쿠스 사양 중 1억 넘는 모델까지 라인업해놓고.. 우리도 드디어 1억 넘는 모델을 만들었다.. 라고 자랑스레 보도자료 냈던 신문 기사가 생각납니다. 현대 이젠 불쌍하지도 않네요.
2007.06.12 14:09:36 (*.254.12.240)

분명 SUV는 일반 세단 보다 공간이 넓으며 운전하기 쉬운 차입니다. 그래서 아이가 있는여성분들이 많이 운전하죠. 우리나라 SUV의 장점이자 단점은 디젤이라고 생각하구요. 디젤의 경제성도 시내 주행 위주의 단거리 주행이 많은 분들에게 크게 메릿이 없구요. 휘발유 SUV도 충분히 메릿이 있다고 봅니다. 디젤보다 조용하고, 유지/정비가 편하기도 하구요. 제가 조사해 본 적은 없지만, CR-V의 가장 큰 고객 집단은 미국에서 잠시 살다 들어온 아주머니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국내 독과점적인 지위를 이용하여 현대가 만들면 팔린다는 생각을 가지고
동급 수입차보다 약간 싸게 판게 그 원인이였죠
도요타의 캠리 - IS - ES - GS - LS 이런식의 라인업을 구축하려면
LS와 ES사이의 가격갭을 마련하여 GS가 들어갈 자리를 마련해야 합니다만
BH의 경우 그렇지 못했습니다
현재 TG의 내수가격은 GS의 일본 내수가격을 능가하였으며
BH의 예상 시판가격은 LS와 비슷합니다
머 이번경우를 잘 넘긴다고 해도 에쿠스 후속의 경우에는
일본에서 의전용 차량으로 쓰이는 도요타 센추리(가격:1200만엔)을
가쁜하게 넘길걸로 예상되는군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