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깡통을 구길 때 위에서 밟아 한번에 납작하게 하는 것이랑 옆으로 굽혀서 접는 것이랑 힘이 얼마나 차이나는지 생각해보시면 쉽게 이해되실겁니다)


( Front Side Member가 멀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충돌 영상을 자세히 보시면 Good 등급의 차량은 Door를 쉽게 오픈하거나, 재거할 수 있도록 차체가 변형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1.png (442.5KB)(112)
- 2.jpg (71.7KB)(48)
- 3.jpg (108.9KB)(56)
- 4.jpg (102.7KB)(42)
- 5.jpg (114.1KB)(30)
- 6.jpg (120.8KB)(30)
- 7.jpg (150.7KB)(31)
- 8.jpg (133.8KB)(26)
- 9.jpg (160.9KB)(27)
- 10.jpg (86.5KB)(34)
- 11.jpg (80.1KB)(35)
- 12.jpg (190.8KB)(32)
- 13.jpg (67.0KB)(49)
- 14.jpg (59.0KB)(43)
- 15.jpg (71.4KB)(40)
- 16.jpg (237.1KB)(50)

일단 저는 대학원에서 이 이슈와 관련된 내용으로 학위를 받았습니다. 비록 현업에서는 엔진/파워트레인쪽 관련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만, 제가 비전문가라는 말은 납득하기 힘드네요.
그리고 주장하고 싶으신 것이 있으시면 동영상과 트위터 올리지 마시고 좀 더 공신력있는 reference와 이론을 갖고 오시지요.
이 Small overlap test는 철저히 공학의 영역입니다.
제가 말한 메커니즘과 reference에 반론이 있으시다면 상응하는 이론과 reference를 요청 드립니다

네. IIHS에서 관련이 없다고 합니다!
http://www.bobaedream.co.kr/view?code=national&No=1175241&cpage=2&bm=1

대충 읽어봤는데 이번 투싼 논란이랑 무슨 상관이죠?
2~3페이지 넘어가는 부분을 번역하면
"구조적 개선(보강)이 운전석 부분에만 가시적으로 되어있는 차들은 (조수석과) 결과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그런데 그 반대는 또 그렇지 않다. 양쪽이 동일하게 보강 되어있음에도 결과가 좌우 제각각인 차들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육안에 의한 분석에 의지해서는 안되고 조수석 보호에 대해 실천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4페이지
"엔지니어들이 범퍼를 제거했을때 몇몇 차들은 좌우의 구조적 차이점이 보였다. 다른 차들은 좌우대칭이긴 하지만, 좌우의 성능이(결과가) 비슷하지는 않았다"
나머지 내용들도 별 거 없고, 이 보고서(?) 인지 배포자료인지 하는 pdf에서는 결국 자기들이 "왜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해야하는가" 하는 당위에 대해서 역설하는거 외에는 아무 도움이 안되는데요? 오히려 읽어는 보셨는지 제가 반문하고 싶은 지경인데요.
하만승님 자폭용 자료로밖에 안됩니다만. (영어는 할 줄 아세요?)
그리고 소식을 들었는지 모르지만 IIHS에서 회신을 보내왔기를 "사실 우리도 저런 범퍼레일의 길이가 스몰오버랩 결과에 구조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는 잘 모른다. 단지 육안으로 보았을 때 차종별 특징점 내지 차이점을 표시하기 위해서 색칠한것 뿐이다" 라고 했습니다. (이건 뭐 ㅂㅂㄷㄹ이나 여러 매체에서 기사로 쉽게 볼 수 있으니까 알아서 보세요)
마지막으로, 뭔가 반론을 하고 싶으면 직접 번역을 해서 올리든가 설명을 하든가 하세요. 어디서 건방지게 자료 하나 던져놓고 '니들이 알아서 읽어서 해명하봐'라는 겁니까?

하만승님 이쯤되면 셀프세뇌수준 아닐런지. .
초기에 성급한 오보를 내보낸 두 매체 빼고 여타 모든 타 매체에서도 아니라고 기사를 내는 마당에.. 홀로 끝까지 장판파를 사수하는 장비와도 같은 용맹함은 따봉 한개 드리고 싶습니다만. .
각주.
답정너 : '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하면 돼' 의 준말. 또는 "답은 정해져 있고 넌 말하면 돼"로 해서 "답정넌"이라고도 한다.
타진요 : https://namu.wiki/w/%ED%83%80%EC%A7%84%EC%9A%94

표지부터 5번째 페이지까지의 내용을 어떻게 이해하시는지 여쭙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저도 보배드림에 올라온 편지를 다 읽었습니다.
보고서를 전혀 벗어나지 않는 답변이더군요.
그러나 다들 자의적인 해석을 주석으로 달아서 편지의 방향이 바뀌었습니다.
그냥 영어 원문을 보시고, 어떤 생각이 드셨는지 "자동차 안전구조 전문가"로써 부탁드립니다.
저는 아무리 생각해도 하나의 결론이거든요.
"연장된 부분은 Small Overlap Test에서 효과가 있었다고 IIHS는 생각한다. 물론 예외적인 차는 있지만!"
(이 예외는 제가 Boards에 올린 글에 다 쓰여졌기때문에 다시 언급안하겠습니다.)

하만승님의 의견과 결론을 무시하지 않습니다. 다만 이 문제는 가치판단이 아니라 사실 판단의 영역입니다. 저는 판단을 위한 충분한 근거와 그를 바탕으로 한 이론을 드렸다고 생각합니다.
반론을 하실려면 반론과 그에 따른 가설 그리고 그가설을 입증할 reference를 제시 하셔야지요.
그리고 자꾸 근거로 제시하시는 그 보고서를 직접 작성한 사람들이 '연장된 부분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합니다.
(http://www.bobaedream.co.kr/view?code=national&No=1175241&cpage=2&bm=1)
일단 이 부분부터 해명하시거나 다른 reference를 주셔야 하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요?

The point of this study is that if any designs for small overlap appear to be asymmetric, performance is different, implying even thing we cannot see might not be symmetric. The inverse is not true, when things look symmetric the vehicles did not always perform the same, suggesting things we cannot see are not equal.
이게 어딜 봐서 연장된 프론트 빔이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말하는 답신입니까?
보고서에도 이미 쓰인 내용입니다.
When engineers removed bumper covers of SUVs being tested for passenger-side small overlap protection, some had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Others looked symmetrical but didn’t always perform similarly.
그리고 심지어 왜 똑같이 연장된 빔이 있었음에도 Similar 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는지도 설명되어 있지요(CX5, Forester)
Earlier research by Mueller into how manufacturers improve
vehicle structure for small overlap protection showed that the
most common change is to strengthen the occupant compartment
(see Status Report, Dec. 23, 2014, at iihs.org). To achieve
this, manufacturers might use a different type of material or add
a few millimeters of thickness — changes that can’t be discerned
from a visual examination. It’s likely these types of modifications
were made to the Forester and CX-5, but only on the driver side.
또 추가적인 요소 또한 설명하고 있구요.
Another factor is that vehicles are to a certain extent inherently
asymmetrical. For example, structures to secure the steering
wheel and pedals may provide additional bracing around
the driver-side toepan, which prevents some intrusion. That
same toepan area on the passenger side without those structures
is where the highest intrusion measures occurred on the
passenger side of the CR-V and Tucson.
저 이메일은 읽어보시면 알겠지만 그냥 보고서의 내용의 재탕입니다.
전혀 새로울게 없는 이메일입니다.
만약 파란색으로 색칠된 부분이 Corner extension이 아닌 Extended bumper beam 일 경우.
즉, 범퍼빔이 그냥 길다란 거였으면 Overlap Test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씀하시겠습니까?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한가지 의문이 있습니다.
그냥 단순히 Corner Extension을 단 것과
그냥 길다란 Bumper Beam을 단 것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사건을 뒤져보니 2013년도에도 K5가 비슷한 사건이 있었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