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 다 제 차들은 아닙니다. ※
장문 귀찮으면 굵은 글씨만 보셔도 됩니다~ ^^
자동차 매니아의 입장에서 두 차종을 비교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안타까운 점은 포르쉐가 하이 엔드 버젼이 아닌 Cayman S 뿐이라는 것입니다.
2차종 모두 서킷 주행을 해보았고(앞으로도 자주 할 예정이며), 심지어는 하루에 차이점을 느끼기 위해 번갈아서 타보기도 했습니다. 또한 직접 소유하고 있으므로 워런티와 정비 비용에 대해서도 아는 대로 설명 해 보겠습니다.
Porsche : Cayman S PDK (2009) + PCCB + PASM + LSD + 스포츠 버켓 시트 -> 144,000,000원
가장 가벼운 포르쉐차에서 순수 스포츠카를 원했고 거기에 서킷을 타기 위한 옵션만 추가하였음.
Nissan : GTR (2010) 노옵션 -> 147,000,000원
서킷에서 빠른 차를 원했고 옵션 선택이 아예 불가능하였음(나름 풀옵션)
A. ESP 개입 정도와 기준
-Cayman S PDK-
PSM Off 스위치가 있음. Sport 모드에서의 PSM 작동은 일반 상태에서의 작동과 다름. 그러나 ABS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킹(코너 진입) 다시 PSM이 몇초간 작동하게 됨. 정말 완전 Off는 차를 개조해서(더불어 워런티도 버리지 않으면) 불가능함. 허나, 차를 즐기는데 방해 되지 않음.
(Sport + PSM off) 로 ABS 걸리게 브레이킹 이후 코너 탈출시 PSM 이 재작동을 하면서 깜빡깜빡. 즉 다시 살아 난 것임.
여기서 웃긴 것은 2가지인데,
1. PSM Off 스위치는 여전히 점등되어 있으며 다음 코너에서 ABS 작동 안 하게 브레이킹을 하고 탈출을 하면 완전히 스핀을 할 수 있음(해봤음 ㅋㅋ). ->결국 재작동을 하긴 하는데 ABS 작동 이후 몇초간(?)만 재작동 하는 것이고 스위치의 상태가 변하는 것은 아님.
2. 위의 1번 상황에서의 Sport + PSM Off 상황에서의 코너탈출시의 PSM 개입은 PSM on 상태의 코너탈출시의 개입과 많이 달라서 최고랩을 뽑는데 있어서의 위화감은 전혀 없음. 되리어 미세한 슬립제어로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을까 정도의 단계임.
-Nissan GT-R-
VDC Race 또는 Off가 가능함. Off하고 서킷주행등 빡쎈 주행을 할 시 파워트레인 워런티 취소가 된다고 하여 내심 걱정하고 엔진 미션 Assy 가격을 물어보기도 하였음. 그러나 완전히 쓸모 없는 걱정이였음.
VDC 일반 시 -> PSM Sport 정도로 개입함 일반적인 드드득 위화감 VDC보다 훨씬 깔끔함.
VDC Race 시 -> 헤어핀 탈출 같은 곳에서 핸들이 90도 정도로 돌아갈 카운터스티어가 들어 갈 수 있을만큼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며, 개입을 전혀 느낄 수 없음. 최적으로 달리는데 필요한만큼의 non-개입보다 더 풀어주기 때문에 사실상 Off와 전혀 다를 바가 없음(원돌이가 안된다는 정도)
VDC Off 시 -> 험로 탈출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면 워런티 취소 됨(블랙박스로 기록됨)
-결론-
포르쉐는 완전한 PSM Off가 불가능. GTR 의 RACE 모드는 포르쉐의 PSM Off 모드보다 오히려 더 관용적이라서 GTR-OFF 하면 안된다고 하는 논쟁은 무의미 함.
GTR-OFF 가 워런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사기 싫다는 사람들은 포르쉐는 아예 불가능하니 사면 안됨.
B. 워런티
-Porsche-
융통성도 있으며, 매우 좋은 서비스를 보여줌. 말만 하면 렉카가 실으러 오고 대차도 해주며 거의 완벽한 서비스를 보여줌. 포르쉐 분당 서비스 센터 기준. 포르쉐 '베'사장과 친분이 있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주위 말을 들어도 대체로 매우 좋다는 평.
PSM OFF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니 역시 워런티 면에서도 논쟁은 무의미 함.
-Nissan-
융통성도 없으며 차를 서킷에서 주행 한 이후에는 셀프카로 운반해와야 함. 그렇지 않고 주행해서 오다가 퍼지면 워런티 적용 안됨. VDC-OFF 하고 빡쎈 주행하면 역시 워런티 취소 됨.
오늘 전화 온 것이 있는데 조금 황당한 내용임 : 태백 서킷에서 닛산/인피니티 를 위한 무언가를 마련해봐야겠으니 이번 주말에 같이 가자는 것. 사실 전에 이런 얘기를 닛산 이사한테 들었는데 그냥 하는 소리인 줄 알았는데 다시 전화가 와서 같이 가자고 하는 것을 보면 정말로 무언가 마련 하려는 듯.
-결론-
워런티나 서비스나 포르쉐의 압승, 다만 닛산도 의외로 놀라운 노력을 하고 있어서 놀랬음.
C. 정비 비용
-Porsche-
타이어 개당 약 55만원, 브레이크 1800만원(빡쎈 주행 1년 사용 - pccb), 이외의 정비 비용은 서로 비슷함. 기타 부품값 등등 비슷함.
-Nissan-
타이어 개당 약 55만원(상대적으로 매우 쌈 , 20인치 RE070), 브레이크 700만원(서킷 3~4번 타면 교체 해야 함), 이외의 정비 비용은 서로 비슷하나 서킷 타고 올 때마다 점검료를 내고 점검을 받아야 함. 또 캐리어를 이용해서 이동시켜야 함으로 렉카 비용 40~60만원 추가 됨
다만 닛산에서는 타이어와 브레이크 값을 되리어 인하한다고 하였음.
-결론-
서킷주행을 자주 하지 않으면 포르쉐 Cayman S 나 GT-R이나 사실상 유지 비용 비슷함. 서킷 주행을 하게 되면 캐리어 이용료와 점검비, 브레이크 교체비용으로 GT-R 정비 비용이 늘어남. 허나 GT-R이 상대적으로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님.
허나 사실상 Cayman S는 First 또는 Second Car 일 수 있지만, GT-R 같은 경우는 Second 또는 Third Car 일 것 같음. 포르쉐 GT 시리즈도 마찬가지로 Second 또는 Third Car 임. GT 시리즈는 정비 비용 사실상 GT-R과 별반 차이 없고 주인들은 신경 쓰지 않음. 게다가 대부분의 GT-R 주인들은 포르쉐를 가지고 있거나 소유한 적이 있음. 고로, 따지고 보면 GT-R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다른 고성능 세단 같은 것들이 다 있을 것이므로 실제로 2개의 정비 비용이나 워런티 시스템이 영향을 구매자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 같음.
집으로 렉카 타고 가야하고 서비스 센터에 맡겨야 한다고 해서 실구매자들에게는 사실상 별로 영향이 없는 것이 , 어차피 GT-R나 포르쉐나 평소에 타는 차가 아니라 '즐기는 장난감'임. 지금 나의 GT-R 도 1주일째 입고되어 있는데 전혀 불편하지 않음. 게다가 거기서 '서킷 별' 얼라인먼트 밑 클러치, 뱅크별 흡기량 조절까지 가능하니 오히려 게임에서 튜닝하는 것 마냥 재밌기만 함.
사실 대부분의 GT-R 이든 포르쉐 GT 시리즈이든 주인들이 입고해야 한다고 해서 불편하지 않은 이유는 '어차피 평소에 타라고 해도 불편해서 안 탐' 이라고 봐야 함. 집에 갈 때도 GT-R 타고 집에 안 가도 되서 오히려 안도하게 됨. GT3RS 같은 차들의 중고차들이 왜 이렇게 주행거리가 적은지만 봐도 뻔함.
결국 불편도면에서는 데일리카로 쓸 것이면 포르쉐가 덜 불편하고, 서킷용으로 사용 할 것이면 별 차이 없음.
다음 글은 드라이빙을 비교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명쾌한 글이네요.
두차량 다 소유하신 오너 입장에서 쓴글이라 선입견 없이 읽을 수 있던 글이었습니다.
사실 두 차종의 차이를 잠깐의 시승으로 평가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 했었거든요.

다음편이 무척 기대됩니다.
개인적으로 유럽의 자동차문화와 역사가 오랜시간 거쳐 숙성시킨 레이스카 혹은 스포츠카의 최종 형태는 MR 이라고 생각합니다. (Jaguar XJ220 이나 카레라 GT, 엔초 페라리, 테스타로싸, F40 등) 출력이 타이어의 그립에 비해 커지는 시점에서는 미드십 AWD 가 최종 진화판이구요. (959, R8 등의 양산차 뿐 아니라 다수의 랠리머신들) 터보를 못 쓴 것은 아니지만 NA의 특성을 선호해 왔구요.
Nissan 의 GT-R 은 전혀 다른 접근으로 프런트엔진의 AWD로 불과 4세대만에 스피드라는 면에서 MR 이나 Midship AWD를 뛰어넘는 결과를 이루었다고 봅니다. 전자장비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지만 (그것은 그 유명한 959 역시 마찬가지) 그것 역시 Fuel Injection 이나 ECU 처럼 그냥 기술의 발전에 따른 변화로 볼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런 모든 것으로 나온 결과겠죠. Performance 뿐이 아닌 드라이빙의 즐거움이나 직관적인 man-machine의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본격적으로 서킷의 랩타임을 추구하면서도 6기통의 터보엔진을 고집해왔다는 것도 신선합니다.
Cayman S 는 어떻게 다듬었든 유러피언 계보를 잇는 포르쉐의 미드십 모델. 오랫동안 레이스와 스포츠카의 개발을 해온 유럽 방식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구요. Nissan GT-R 은 (비록 20여년간 혹독하게 노력을 해왔다고 해도 그 양이나 기간이 훨씬 오래된 유럽의 브랜드들에 비하면) 짧은 기간에 전혀 다른 방식의 접근으로 나름 결과를 얻었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두 차량을 소유한 행복한 사람의 이야기가 듣고 싶네요.

잘 봤습니다.
실제 서킷에서 두 대를 모두 타고 다니시는 오너의 입장을 들어 보니, 포르쉐의 랩타임이 조금 딸린다고 해서 부족하다 할 것도, 닛산의 워런티 문제가 테클걸릴 것도 전혀 없어 보인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 소유자가 느끼게 되는 비교 관점은 두 차종이 이렇다 저렇다 갑론을박하는것과는 문제가 완전히 다르고 매우 실질적인 주제들이 새롭게 튀어나오게 되는군요..!!^^
포르쉐 역사니 닛산의 뭐니 하는 뜬구름잡는 글보다 훨씬 재밌고 유익한 글이네요! 현실적인 측면을 다룬 글인데 왜이리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는이유는?? ^^; 추천 꽝꽝 ㅋ

매번 논쟁이 생길때마다 다들 막연한 느낌이나 저 먼곳의 데이터만으로 얘기했던것 같은데
직접 오너의 글을 보니 한방에 정리가 되는것 같네요. ^^
구입 축하드려요~!

명쾌한 글 잘봤습니다. 다음편이 무척 기대됩니다. d=(^.^)
ps> 맨 왼쪽에 있는 차도 새로 구입하신줄 알았네요. ㅋㅋ
원돌이가 안 된다는 정도로 끝일 것이라면 그런 웃기는 정책은 어따 쓸라고 만들었는지 궁금하네요.
원돌이 하면 차가 퍼지나? ㅋ 아니면 그냥 개그일려나..? 아무리 봐도 좋은 차 만들어 놓고도 차 이외의
부분에서 오버액션 한다는 생각 뿐이 안 드네요. 오두방정.

명차 2대를 한꺼번에 소유하고 계시다니 참 부럽네요.
좋으시겠습니다.
실제 오너의 이야기야말로 가치있지요.
벌써 VDC 이야기부터 명쾌하고 재미있습니다.
다음 편도 기대합니다.


어후... 더욱더 쥐티아르35를 몰아보고 싶게 만드는 뽐뿌십니다. ㅠㅠ
개인적으로 PCCB정비에 필요한금액이나 주기등이 궁금해지네요..

같은 카이맨이지만 제차는 초창기 모델로 직수입 수동입니다.
서킷주행을 염두에 두고 PCCB 생각도 했지만 독일현지에 맞는차가 없어서 PASM과 스포츠 시트정도의 옵션으로 들여온차구요.(제 선배가 수입했고 저한테 넘기셧죠..) 제게 온지 2년정도 되가지만 오일교환과 브레이크 패드 교환정도로 수차례(?)의 서킷나들이를 무리없이 치룰정도로 탄탄한 내구성을 가진것 같습니다. 잔고장도 거의 없었구요. 제가 직접 경험한 폴쉐 내구성은 정말 좋습니다. 포르쉐를 가지고 계신 주변 지인분들 말씀도 그렇구요.(주로 987과 997의 경우입니다.. 그 이전 모델은 잘 모르겠습니다..) 4년에 무한Km의 워런티가 괜히 있는게 아닌것같습니다.
저도 구입시 정식모델과 이차 가지고 고민했었는데.. 다들 내구성 좋으니 정식의 의미가 크게 없다고 하셔서..(물론 가격차이도 났었죠..^^;;)
제 경우는 두세트의 휠로 공도용 PS2와 서킷용 네오바를 각각 운용하는데.. 공도주행은 많이 하지 않고 서킷은 네오바의 질긴(가혹상황에서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입니다.)성격 덕분에 타이어 압박은 크지않은 편입니다. 네오바의 경우 서킷데이 기준으로 3회정도 탈수 있었습니다. PASM이 적용된 카이맨의 경우 노말시 승차감은 비교적 무난합니다. 하드하게 하면 정말 서킷아니고서는 타기 힘들 정도로 단단해지구요.(방지턱에서 쿵~하고 떨어질 정도입니다.) PDK의 경우는 자동처럼 타면 되니 말할것도 없지만 수동의 경우도 전세대에 비해 가벼운 클러치 덕분에 시내주행에서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즉 퍼스트카로도 충분히 쓸수 있다는거죠. 일상에서 충분히 쓸수 있으면서도 서킷에서 정말 재미있게 탈수 있는 그런차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제차에는 크라이직 가변 배기가 되어있는데.. 실내에서 버튼 하나로 순정 배기음 흡사한 상태와 GT카와 비스무리한 배기음 상태를 만들수 있습니다. 역시 일상생활과 서킷에서 유용한 기능이죠. 리스폰스도 상당히 달라지구요. LSD가 없는 모델이지만 미드쉽후륜때문인지 원돌이와 8자 그리고 단 코너에서의 드리프트도 어느정도는 가능합니다. 향후 LSD를 득템하면 밀어주는 힘이 생길지.. 기대를 해봅니다. GT-R의 경우는 윤정준님이 잘 써주시리라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PSM OFF시 PSM이 살아나는 경우는 제 경험으로는 아직 없었습니다. 수동이라 스포츠 모드는 없고 서킷에서는 주로 PSM OFF + PASM ON상태로 타는데 스핀하거나 오버가 나서 카운터로 잡아야 하는 경우는 있지만 PSM이 살아나서 잡아주는 경우는 못봤던것 같은데.. 아마도 말씀하신 것처럼 ABS가 작동할정도로 브레이크를 하지 않아서인지도 모르겠네요.(저는 브레이크시 좀 일찍 밟기 시작해서 힐앤토로 제동을 약간 돕는 스타일이라 ABS가 거의 작동하지 않거든요.) ABS가 작동한다음 PSM이 살아나는지 담에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공도에서는 PSM덕분에 몇번 고비를 넘긴이후로 절대 PSM OFF를 하지 않습니다.

정도의 차이는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차종은 심한 푸쉬 언더 등으로 앞바퀴가 그립을 잃게되면 ESP를 끄더라도 앞바퀴에 ABS 트랙션 컨트롤이 개입하게 되지요. ( 브레이킹 상황이 아니더라도)
이 경우 드라이버가 원치 않는 상황으로 간주하고 ESP( PSM)를 액티베이션 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앞바퀴 그립을 잡고 의도적으로 뒤를 돌리는 테크닉을 쓰면 허용하되 앞바퀴가 슬립하면 비상 상황으로 간주하는 것 같습니다.
ABS만 개입해서 조향이 된다면 좋겠지만 앞 바퀴가 그립을 심하게 잃을 때는 조향을 돕기 위해선 뒷 바퀴의 어느 한 쪽에 제동을 가해줘서 yaw 모멘텀을 제어해야하는데 그러려면 조향각 센서 뿐 아니라 yaw rate 센서가 개입해야하니 필히 ESP를 액티베이션 시켜줘야겠지요.
비슷한 차량이 드래그할때 고만고만한 상황에서 한차량이 니트러스 분사하고 시원하게 튀어나가는듯한 느낌의 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