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가입하고 글 처음쓰는 가난한 학생입니다
학교에서 자작자동차를 만들면서 공부한 얄팍한 지식을 제차에도 한번 적용해보고자
정비지침서+실측 으로 2D 로 간략하게 지오메트리를 그려봤습니다
정밀장비를 사용하지않아서 약간의 오차는 있지만 모델링을 치수 구속으로 그려서 아마 대충 맞을거라 생각합니다
제 차는 구형 액센트 3도어구요, 네오테크 9/7 에 차체쪽 조인트 기준으로 지상고가 127mm 나오고 필로볼을 이용해서
캠버조절이 된 상태입니다
휠은 7J +11 (순정급의 옵셋이 좋다는건 알고있는데 어린마음에 자세때문에..ㅜㅜ) 이고 195/50/15 타이어를 사용하고
캠버 -2.5 입니다
글을 올리게 된 계기는 섀시관련서적, 인터넷 글을 보면 과도한 로워링으로 인해 로워암이 만세를 부르는 형상이 되면
롤센터가 땅으로 박히고 (맥퍼슨 스트럿 방식의 특성상) 범프 시에 캠버가 +로 변한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직접그려보고 최적의 지상고를 찾아보려고 했는데 막상 그리고 범프 시켜보니 캠버도 -로 변하고 롤커플(롤센터와 무게중심 사이 거리)의 변화가 있긴하지만 워낙에 스트로크도 짧고 롤강성도 큰편이라..무시할수 있을거 같기도하구요
필로볼 마운트를 이용해 캠버를 주어서 지오메트리가 수정되었기 때문이 아닐까하는데.. 여튼 생각보다 나쁘지 않은 변화라서 조금 당황스럽습니다.. 차고를 순정차고로 돌리면 롤센터가 좀더 좋은 위치에 놓이긴하지만 무게중심도 같이 높아져버리니.. 전문가분들의 여러가지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같은 차종 타시던분 계시면 경험도 좀 듣고싶구요..
아 그리고 범프는 30mm 까지 재보았고 편집하다보니 0mm.10mm.20mm 까지밖에 없네요 범프 30mm 일때의 변화량도 비슷했었습니다

화자가 정확히 요구하는 부분이 좀 당황스럽지만 위 댓글처럼 만세를 하고있는 암의 위치는 당현 핸들링이나 차의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못하죠 현 CJ SUPER RACE 전 KGTC에 참가했던 차량의 경우 차고가 심하게 낮춰있으나 암 설계는 다시 합니다 공학적 성능으로 타고 싶으시면 과도하지 않는 부분에서 차고를 조정하시거나 뽀대?로 타시려면 지금처럼 타시면 됩니다 학술적으로 이부분은 답이 나와 있거니와 섀시 담당 교수님께 여쭙는 편이 확실히 옳은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굳이 도면을 올리실 필요 없이 서술으로서 표현이 되는데 고생많으셨네요

아마추어 레이스이긴 하지만... 예전에 DDGT레이스에서 GT100클래스 의 주류가 엑센트인데....
차고가 가장 높은 차가 코스레코드[클래스기준]를 갖고있습니다.

정리하면
지금은 낮은 지상고에서도
1.롤링시 외륜의 캠버나 트랙체인지가 순정대비 비슷한 수준이고
2.하드한 서스로인해 스트록이 매우적기때문에 롤센터의 위치가 낮아도 체감이나 기록에 큰영함을 줄런지..
입니다

만세 이런건 잘 모르겠고 ...
차고 1센티 변화에 롤커플이 2~3센티씩 변하는데 그게 큰 변화가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무게중심이 낮아지는 것보다 롤커플이 더 길어지잖아요. 롤의 양이 더 늘어날텐데, 각 차고별로 같은 횡G가 걸렸을 때 대지캠버 변화를 한 번 시뮬레이션해보세요.
서스펜션 셋팅이 엑센트에 9/7이면 롤이 거의 없다고도 말씀드리긴 어려울것같은데요,
숏스트록 제품이라면 범프시에 일반 댐퍼보다 캠버변화량에선 유리하다해도
FF특성상 차고를 올리면 모든일은 간단하게 해결될듯합니다.
시합차량처럼 대대적인 수정이 이루어지지않고서야
타기 힘든차량밖에 되지않는다는걸 본인도 저보다 잘알고계신듯합니다^^
질문에 답변해결을 위해선 로워암과 조인트 bush 엔진미션의 위치까지 모두 로워링에
맞춰가야한다는것 또한 답이라는걸 잘알고계신것같습니다만,^^
근본적인 것을 수정하지않는한 해결하기 어려운부분이죠,,
그림으로 보시다 시피 롤센터는 땅속으로 점점 더 들어가고 있습니다
게다가 로워암이 만세를 부르고 있는 상황에서 범프를 하면 캠버는 +쪽으로 움직이는게 정상입니다
실측이 그러하시다니 좀 당황스럽습니다만...
그리고 모든 하드포인트를 3차원 정밀측정기 없이 줄자로 대충 측정해서 그리면 많이 틀린 결과가 나오게됩니다
게다가 쇼크업소버에 해당하는 실린더리컬 조인트와 로워암 끝부분의 볼조인트 그리고 차체쪽의 레볼류트 조인트가 모델링 되어있고 부싱의 XYZ방향 강성 및 각방향의 비틀림강성을 입력할 수있는 프로그램 없이는 캠버 각도가 얼마 변한다...는건 사실상 정확하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