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푸시로드 방식의 서스펜션이 일반적인 로워암에 꽂히는 서스펜션보다 좋은점이 궁금합니다.
질량 중심화 말고 다른 장점이 있을까요? 동역학적인 측면에서 알려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아 그리고 서스펜션이 누워있는 각도 (캐스터각이 아닌 차량 정면에서 보았을때 누워있는 각도)에 따라
차량 움직임에 어떠한 변화가 있나요??
2018.04.22 09:57:48 (*.78.210.105)
인보드 타입의 장점은 윗 댓글처럼 질량중심화 및 저중심화, 현가 하질량 감소로 보실 수 있겠고
쇽 장착 각도에 따른 차량 움직임 변화는 첫번째로, 쇽이 누울수록 쇽이 부드러워집니다. 힘의분산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번째로 쇽의 전후방/좌우 각도에 따라 피칭과 롤링시의 차량 거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여러 자료에서 쇽의 각도는 최대 30도를 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자세한 부분은 https://www.speedwaymotors.com/tech/shocks-mounting-tips-installation-procedure 에서 보시면 이해가 더 쉬우실것 같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세팅시 쇽의 마운트 각도를 조절하기보다는 각도는 하나로 설정하고 감쇠력 및 스프링 장력조절이 가능한 쇽으로 세팅하는것이 여러모로 효율적이라 생각합니다...
쇽 장착 각도에 따른 차량 움직임 변화는 첫번째로, 쇽이 누울수록 쇽이 부드러워집니다. 힘의분산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번째로 쇽의 전후방/좌우 각도에 따라 피칭과 롤링시의 차량 거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여러 자료에서 쇽의 각도는 최대 30도를 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자세한 부분은 https://www.speedwaymotors.com/tech/shocks-mounting-tips-installation-procedure 에서 보시면 이해가 더 쉬우실것 같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세팅시 쇽의 마운트 각도를 조절하기보다는 각도는 하나로 설정하고 감쇠력 및 스프링 장력조절이 가능한 쇽으로 세팅하는것이 여러모로 효율적이라 생각합니다...
2018.04.22 19:22:39 (*.236.204.252)

최근엔 푸쉬로드보다 풀로드 방식으로 바뀌는듯 하더군요.. 아무래도 rod 형상의 부품이라면 미는작용보다 당기는 작용이 더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위의 장점 이외에 레이스라는 특수한 상황이라면 공기저항 감소도 중요한 요인이 되리라 봅니다.. 오픈휠 F1머신을 앞에서 보면 로워암, 어퍼암, 풀로드(푸쉬로드) 이렇게 3개의 부품만 보이죠.. 스테빌라이저도 인보드 타입에선 내장되고..
인보드 댐퍼의 장점으로는 현가 하질량을 줄여서 고주파 진동에서의 로드홀딩력을 높이는것과
설계 시 스트럿 타워를 없애서 일부 슈퍼카들이나 레이스카들처럼 노즈를 낮출 수 있다는 점 정도 되겠네요...
서스펜션 지오메트리는 간단하게 댓글 몇 줄로는 설명이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