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흐음...
2007.10.26 13:39:03 (*.161.149.70)

좋은 내용이네요..저도 예전에 일본 자동차 메이커 홈피들을 보다가 차 값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싼 걸 보고 놀라고, 부러워 했더랬죠.
2007.10.26 13:59:30 (*.255.84.174)

닛산 마치를 길가다가 우연히 봤는데 제 배우자하고 보고 너무 이쁘다.
와.귀엽다~ 감탄사 남발이었습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차 팔고서 한대 사고싶더군요.
패밀리카로는 닛산 큐브나 닛산 마치정도가 딱 좋을듯 싶어요.
와.귀엽다~ 감탄사 남발이었습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차 팔고서 한대 사고싶더군요.
패밀리카로는 닛산 큐브나 닛산 마치정도가 딱 좋을듯 싶어요.
2007.10.26 14:27:39 (*.196.244.64)

전 딱히 공감가진 않네요...
일본의 연비 측정 방식이 한국보다 더 느슨하다는 현실도 외면하고, 저 주차장을 위해 유지비가 꽤 나간다는것도 무시하고요. (차고지 면제가 경차의 장점이죠?)
일본 기름값이 한국보다 싸다는것도 피하고... '-' 색이 강한건지...
일본의 연비 측정 방식이 한국보다 더 느슨하다는 현실도 외면하고, 저 주차장을 위해 유지비가 꽤 나간다는것도 무시하고요. (차고지 면제가 경차의 장점이죠?)
일본 기름값이 한국보다 싸다는것도 피하고... '-' 색이 강한건지...
2007.10.26 14:56:36 (*.128.96.9)

이분이 그린 만화가 여러곳에서 상당히 논란이 많더군요.(친일 논란도 많고요) 대충 봐서 50%는 공감갈만하고 50% 는 편견에 묻혀있는...연비비교만 해도 일본기준과 국내기준이 다르다는애기 없이 비교하고... 경차가 많은것에 대해서는 주변의 제반 환경이나 법률기준 등에 대해 설명없이 단순히 '국민성'으로 몰아가는 분위기...(철저한 차고지증명제에 경차는 제외라는거나..솔직히 자기 집에 전용 차고 만들지 않으면-혹은 차고지확보- 경차 이외에는 차를 살 수 없게 만들어버렸으니 당연히 경차가 많을 수 밖에요)...갓길주차 없는 철저한 주차장 주차는....'주차단속' 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심하다는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엄청난 자전거주차/도난 대란에대해서는 언급이 없고...등등등
아무튼 다른 커뮤니티에서의 많은 논란이 인 것을 보니 이분 쓴 글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한번 걸러내서 읽어야 할 것 같더라고요...
아무튼 다른 커뮤니티에서의 많은 논란이 인 것을 보니 이분 쓴 글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한번 걸러내서 읽어야 할 것 같더라고요...
2007.10.26 15:16:46 (*.120.134.232)

연비에 대해서는 동경10MODE라고 하던가 하는 기준으로 측정하는 걸로 알고있었는데... 우리나라보다 더 느슨한가요?? 연비측정방식에 대해서 설명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제가아는 좁은지식으로는 우리나라는 LA4MODE, 일본은 동경10MODE라고만 알고있었는데...
제가아는 좁은지식으로는 우리나라는 LA4MODE, 일본은 동경10MODE라고만 알고있었는데...
2007.10.26 16:31:02 (*.240.144.199)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9&dir_id=90602&eid=LUPEcNkxy1uOD3pGv48ZEPq/pVXHCxn1&qb=wM+6u8L3IL+suvGx4sHY 를 보시면 토요타 알리온의 LA-4 변환 연비가 나옵니다. LA-4기준으로
아반떼는 13.8km/l, 알리온은 13.2km/l가 나온답니다.
디자인 쪽 사람들이 일본에 자주 가더군요. 아기자기한 볼거리가 많아서 일본에 호감을 가질 수는 있겠으나, 브로셔 몇 장 가지고 일본차 전문가처럼 하면 안되죠. 한국도 Infra에 많은 비용을 쏟으면 일본처럼(또는 더 좋게) 가능할 것입니다. 일본은 그간 부어놓은 게 많으니까 저러고 사는 것이고요
아반떼는 13.8km/l, 알리온은 13.2km/l가 나온답니다.
디자인 쪽 사람들이 일본에 자주 가더군요. 아기자기한 볼거리가 많아서 일본에 호감을 가질 수는 있겠으나, 브로셔 몇 장 가지고 일본차 전문가처럼 하면 안되죠. 한국도 Infra에 많은 비용을 쏟으면 일본처럼(또는 더 좋게) 가능할 것입니다. 일본은 그간 부어놓은 게 많으니까 저러고 사는 것이고요
2007.10.26 17:01:21 (*.146.233.20)

김태환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제반 조건이 똑같다는 전제하에 더 좋고 여유로운 생활을 누리려는 것은 인지상정입니다.
일본 사람들은 국민성이 좋아서 나라를 생각하고, 미래를 생각해서 경차를 탄다.
한국 사람들은 나만 아는 이기적인 국민성이라서 큰차만 선호한다는 것은 우리민족을
스스로 깍아 내리는 것이라 여겨집니다.
법률과 제도, 환경이 사람을 그렇게 만들지 않을까요?
미국 사람들이 "아앰쏘리" 자주 하는 것도 하도 변호사가 많아진 탓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
제반 조건이 똑같다는 전제하에 더 좋고 여유로운 생활을 누리려는 것은 인지상정입니다.
일본 사람들은 국민성이 좋아서 나라를 생각하고, 미래를 생각해서 경차를 탄다.
한국 사람들은 나만 아는 이기적인 국민성이라서 큰차만 선호한다는 것은 우리민족을
스스로 깍아 내리는 것이라 여겨집니다.
법률과 제도, 환경이 사람을 그렇게 만들지 않을까요?
미국 사람들이 "아앰쏘리" 자주 하는 것도 하도 변호사가 많아진 탓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
2007.10.27 13:20:31 (*.45.168.89)

대부분 일본에 잠깐 들렀다 가신 분들이 쓰신 감상문(?)과 비슷한 스타일이군요.
정작 살고 있거나 혹은 오래 살아보신 분들과는 조금 다른..
저만 해도 벌써 1년 반 정도 살았는데 공감되지 않는 내용이 많으니..
정작 살고 있거나 혹은 오래 살아보신 분들과는 조금 다른..
저만 해도 벌써 1년 반 정도 살았는데 공감되지 않는 내용이 많으니..
2007.10.27 13:35:18 (*.73.37.26)

그 이유야 어떻던 간에 일본 뿐만 아니라 다른 선진국과 한국은 분명히 가시적인 문화 현실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대안을 세우는 것이 우리 나라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규제 엄격한 나라기 때문에 처벌이 두려워서 그렇다는 것도 일리가 있습니다만, 국민 스스로 지키려는 마음이 따라줘야만 엄격한 규제도 성공할 수 있는 것겠지요.
행동하기에 앞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먼저 생각하는 습관은 규제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배우고자하는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닐까요.
주먹구구식 행정에 일관성 없는 처벌과 비효율적인 교통 시스템은 사람을이 법을 지키는 것이 불편하고 어렵다고 느끼게 합니다.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문화 역시 선진국에서 오래 전에 거쳐간 것이라고 합니다.
미국도 70년대엔 돈만 알던 시절이 있었다지요.
그 이후 타인에 대한 배려나 복지의 개념이 생겼다고 합니다.
우리는 뒤쳐져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속성으로 뭐든 하려고 하니 대충 대충.. 그럴듯하게.... 결국 이 것도 저 것도 안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규제 엄격한 나라기 때문에 처벌이 두려워서 그렇다는 것도 일리가 있습니다만, 국민 스스로 지키려는 마음이 따라줘야만 엄격한 규제도 성공할 수 있는 것겠지요.
행동하기에 앞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먼저 생각하는 습관은 규제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배우고자하는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닐까요.
주먹구구식 행정에 일관성 없는 처벌과 비효율적인 교통 시스템은 사람을이 법을 지키는 것이 불편하고 어렵다고 느끼게 합니다.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문화 역시 선진국에서 오래 전에 거쳐간 것이라고 합니다.
미국도 70년대엔 돈만 알던 시절이 있었다지요.
그 이후 타인에 대한 배려나 복지의 개념이 생겼다고 합니다.
우리는 뒤쳐져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속성으로 뭐든 하려고 하니 대충 대충.. 그럴듯하게.... 결국 이 것도 저 것도 안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07.10.27 22:16:29 (*.205.59.186)

그 배려심 높은 사람들이 하시리야 같은 단어를 만들어내며 불법행동을 하는 현실도 있지요.
문화는 문화이고 현실을 겸허히 인정하는 자세도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드라이빙을 즐기시는 분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회 (기름값 싸고, 백야드 빌더가 활발하며, 준법정신 투철하고 짭새들 단속 잘 안하는...) 곳 은 있지 않다는걸 다들 잘 아실터인데 말이지요. 어디에도 이상은 없고 다른 형태의 현실만 존재할 따름입니다.
문화는 문화이고 현실을 겸허히 인정하는 자세도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드라이빙을 즐기시는 분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회 (기름값 싸고, 백야드 빌더가 활발하며, 준법정신 투철하고 짭새들 단속 잘 안하는...) 곳 은 있지 않다는걸 다들 잘 아실터인데 말이지요. 어디에도 이상은 없고 다른 형태의 현실만 존재할 따름입니다.
2007.10.28 01:27:15 (*.202.99.57)

일본의 자동차문화를 무작정 동경하는것은 잘못되었지만 경차만 하더라도 4wd도 쉽게 고를수있고 또 골라서 살수있는게 좋지 않나요?
저런 세컨드카나 저렴한 자동차가 필요할때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너무도 좁죠 우리나라....
살수있는 차가 마티즈, 모닝....클릭도 겨우 들어가려나요 프라이드도 1500만원이 넘고....
살차가 없습니다. 이건 못살겠다 기름값 너무 비싸다 ...유류세 내려라 하는 현실에서 좀 모순된 주장인듯합니다.
물론 시장규모도 4-5배이고 자동차 제조회사도 우리네 보다 많은게 현실이지만
비율대비로 따져봐도 차만드는 메이커가 시장대비 인구대비 우리네도 꽤 많습니다.현대,기아,대우,쌍용,삼성
들어와있는 수입차 판매업체도 무지많은데....그중 소형차파는 회사는 없네요
자동차를 만들어낸지 꽤 된 우리나라 역대 경차를 살펴보면 티코,아토즈,마티즈,비스토, 굳이 넣자면 모닝, 박스밴 까지겨우넣으면 타우너 다마스, 그게 답니다.
못만드는게 아니라 않만들죠 팔리지않는다는게 문제입니다. 왜 않팔리느냐....
그 인식, 어딜가나 대우....몇년전만 하더라도 봉고,밴류 화물류 타고 백화점 가면 차대기도
힘들었구요 , 경차타고 다니면 좀스럽다. 그리고 차선바꿀려고 해도 밀어내기 당하고
요새도 일부 강남 큰건물 전면 주차장엔 검은 대형세단만 앞에 세울수있습니다.
건물 경비아저씨들에 재제 엄청나죠....건물값떨어진다나 어쩐다나.......
다양한 경차를 골라서 탈수있는 환경만 하더라도 분명 다른점이 있긴 한거 같습니다.
제도도 좀 많이 달라져야하겠지요 경차를 좀더 우대해주어야 할듯합니다.
고속도로 톨비 50% .....톨비도 1km당 50원인데 50% 깍아주는거 한국소비자들이
양에 않차는 모양입니다.^^;; 50%면 상당하죠.....
주차는 않깍아주는 개인주차장도 상당하죠?
다 배우진 않아도 좋은것만 배워오면 좋을듯합니다.
일본에 경차우대에 대해선 전 잘 모릅니다.^^;;
저런 세컨드카나 저렴한 자동차가 필요할때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너무도 좁죠 우리나라....
살수있는 차가 마티즈, 모닝....클릭도 겨우 들어가려나요 프라이드도 1500만원이 넘고....
살차가 없습니다. 이건 못살겠다 기름값 너무 비싸다 ...유류세 내려라 하는 현실에서 좀 모순된 주장인듯합니다.
물론 시장규모도 4-5배이고 자동차 제조회사도 우리네 보다 많은게 현실이지만
비율대비로 따져봐도 차만드는 메이커가 시장대비 인구대비 우리네도 꽤 많습니다.현대,기아,대우,쌍용,삼성
들어와있는 수입차 판매업체도 무지많은데....그중 소형차파는 회사는 없네요
자동차를 만들어낸지 꽤 된 우리나라 역대 경차를 살펴보면 티코,아토즈,마티즈,비스토, 굳이 넣자면 모닝, 박스밴 까지겨우넣으면 타우너 다마스, 그게 답니다.
못만드는게 아니라 않만들죠 팔리지않는다는게 문제입니다. 왜 않팔리느냐....
그 인식, 어딜가나 대우....몇년전만 하더라도 봉고,밴류 화물류 타고 백화점 가면 차대기도
힘들었구요 , 경차타고 다니면 좀스럽다. 그리고 차선바꿀려고 해도 밀어내기 당하고
요새도 일부 강남 큰건물 전면 주차장엔 검은 대형세단만 앞에 세울수있습니다.
건물 경비아저씨들에 재제 엄청나죠....건물값떨어진다나 어쩐다나.......
다양한 경차를 골라서 탈수있는 환경만 하더라도 분명 다른점이 있긴 한거 같습니다.
제도도 좀 많이 달라져야하겠지요 경차를 좀더 우대해주어야 할듯합니다.
고속도로 톨비 50% .....톨비도 1km당 50원인데 50% 깍아주는거 한국소비자들이
양에 않차는 모양입니다.^^;; 50%면 상당하죠.....
주차는 않깍아주는 개인주차장도 상당하죠?
다 배우진 않아도 좋은것만 배워오면 좋을듯합니다.
일본에 경차우대에 대해선 전 잘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