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제가 가장 저주하고 싶은 상황입니다.
물론 국도건 고속도로이건 ...
아래 사진 한장에서 뭔가를 느끼지 못하시면 문제가 있는 겁니다. ^^
작은 차들은 비켜달라고 하거나, 비켜가기라도 쉽지만 저런 덩어리들은 정말...
2007.10.30 10:17:37 (*.134.225.3)
지난주에 중부 고속도로에서 관광버스 10대 가량이 줄지어 1차선을 점령하고 가기에 부득이하게 2차선으로 추월에 추월을 거듭하여 그줄을 다 추월하고 나니 곤지암을 지나 이천근처...
2007.10.30 10:39:22 (*.251.208.154)

삐쭉 나온 개구리(?) 왼쪽 눈언저리 아릅답습니다!!
그나저나.. 공사차량들의 청소상태가 아주 안 좋습니다.
먼지로 봐서는 며칠 물구경도 못한듯 합니다. 뒤에 붙었다가는 돌맹이 무지 맞겠습니다.
조심하세여!! ^^
그나저나.. 공사차량들의 청소상태가 아주 안 좋습니다.
먼지로 봐서는 며칠 물구경도 못한듯 합니다. 뒤에 붙었다가는 돌맹이 무지 맞겠습니다.
조심하세여!! ^^
2007.10.30 10:54:25 (*.148.159.138)

수학여행철이면 고속도로에서 더욱 난감하게 떼빙을 하는 관광버스들도 요주의 대상이죠...
저 덩어리들도 좀 심하네요...
물론 무겁고 큰 차로 차선 바꾸는게 쉽지는 않겠지만...
저렇게 떼빙을 하고 다니면 좀 밉상입니다...
요즘 거의 CB 등을 통한 교신을 하면서 서로서로 길을 막아(?)주기도 하더군요...
사이가 매우 좋은가봅니다... ㅡ.ㅡ;;
저러면 안된다에 한표...꽝~~!!
저 덩어리들도 좀 심하네요...
물론 무겁고 큰 차로 차선 바꾸는게 쉽지는 않겠지만...
저렇게 떼빙을 하고 다니면 좀 밉상입니다...
요즘 거의 CB 등을 통한 교신을 하면서 서로서로 길을 막아(?)주기도 하더군요...
사이가 매우 좋은가봅니다... ㅡ.ㅡ;;
저러면 안된다에 한표...꽝~~!!
2007.10.30 11:12:38 (*.162.58.146)

고속도로 정체 구간의 전형적인 모습이네요..
저런 상황에서 전,,행렬 맨 앞으로 날라가서
어버버버 되는 운전자의 뒷통수를 살짝 만져주고 싶어 집니다.
저런 상황에서 전,,행렬 맨 앞으로 날라가서
어버버버 되는 운전자의 뒷통수를 살짝 만져주고 싶어 집니다.
2007.10.30 11:24:46 (*.133.99.181)

전 이게 다 98년인가 규제개혁위원회에서 규제를 개혁한답시고 화물차 1차선 주행금지를 풀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물론 몇년 뒤에 사고유발 등의 위험때문에 3톤 이상 화물차만 주행금지를 다시 시행했지만 경찰도 단속하지 않고 대형화물차도 지키는 차 없습니다.
규제를 개혁했으면 어기는 것도 확실히 처벌해야지 뭐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규제를 개혁했으면 어기는 것도 확실히 처벌해야지 뭐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2007.10.30 11:59:01 (*.231.19.9)

옛날에는 승합차도 1차선에 거의 안들어왔었죠..그
때가 참 좋았습니다..
선팅한 차도 없던 시절이라 1차선으로 가면 앞의 도로 상황이 훤히 파악됐었죠..
1차선 진입허용된 날 도로 나가서 얼마나 짜증이 나는지 모르겠더군요..
이젠 시내,국도,고속도로 할것 없이 대형 트럭들이 마구 들어오니...
제가 존경하던 형님도 갑자기 1차선으로 끼어든 트럭때문에 사고당하셔서 고인이 되셨습니다..강력히 규제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때가 참 좋았습니다..
선팅한 차도 없던 시절이라 1차선으로 가면 앞의 도로 상황이 훤히 파악됐었죠..
1차선 진입허용된 날 도로 나가서 얼마나 짜증이 나는지 모르겠더군요..
이젠 시내,국도,고속도로 할것 없이 대형 트럭들이 마구 들어오니...
제가 존경하던 형님도 갑자기 1차선으로 끼어든 트럭때문에 사고당하셔서 고인이 되셨습니다..강력히 규제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2007.10.30 12:12:46 (*.106.78.136)

사진만으로 보면, 대략 저런 중차들은 1차선 주행중일 경우에 '좌회전 방향지시등'이나 '비상등'을 켜고 주행합니다. (주행중인 본인도 1차선 주행이 잘못된 것임을 아는 상황입니다.)
또한 배지운님 말씀처럼, 규제개혁 차원에서 완화시켜준 1차선 주행관련 내용이 해당되는 집단에게는 기분이 좋았을리 모르나, 전반적인 도로주행 여건에는 도움이 되어지지 않았습니다.
더불어 백운재님 말씀처럼, 차량의 유리 선팅 (틴트) 마저 앞차량의 주행상황 파악을 할 수 없어 위험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배지운님 말씀처럼, 규제개혁 차원에서 완화시켜준 1차선 주행관련 내용이 해당되는 집단에게는 기분이 좋았을리 모르나, 전반적인 도로주행 여건에는 도움이 되어지지 않았습니다.
더불어 백운재님 말씀처럼, 차량의 유리 선팅 (틴트) 마저 앞차량의 주행상황 파악을 할 수 없어 위험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2007.10.30 13:44:49 (*.159.251.151)

제가 매일 아침에 보는 것과 같은 사진이네요.
100% 동감합니다...허허
덤프트럭 운전자들 정말 대책이 없더군요.
스톤칩은 덤입니다... T-T
100% 동감합니다...허허
덤프트럭 운전자들 정말 대책이 없더군요.
스톤칩은 덤입니다... T-T
2007.10.30 15:34:56 (*.120.134.232)

저는 조심스럽게 다른 의견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물론 저런 차량들이 고속도로등에서 1,2차선을 느린속도로 가면 짜증이 많이나는건 맞습니다.
하지만, 저는 위의 사진처럼 차량의 진출입이 잦은 (물론 주정차도 포함하여) 4차로이상의 도로에서는 개인적으로는 큰 차량이 1차선주행하는데는 크게 나쁘다고 생각하지않습니다.
대형트럭들이 적재를 한 상황에서 2차로(바깥차로)를 고집하다보면 소형차탈때 느끼지 못한 위험을 많이 느낄수있습니다.. 주.정차차량정도도 아닌 진입할려고 슬금슬금 나오는 차들을 피할려고만 해도 차선을 넘나드는 경우도 많이 있구요... 상대적으로 급감속을 해야하는 경우도 많이 생깁니다..
즉, 소형차는 큰 어려움없이 피할수있는 상황도 대형차량의 경우에는 더 큰 위험으로 1차로로 침범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는거죠...
물론 그렇지않은데... 오르막이나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굳이 1차선을 확보하여 전체주행속도를 늦게만든다면 잘못된거겠지요...
하지만, 저는 위의 사진처럼 차량의 진출입이 잦은 (물론 주정차도 포함하여) 4차로이상의 도로에서는 개인적으로는 큰 차량이 1차선주행하는데는 크게 나쁘다고 생각하지않습니다.
대형트럭들이 적재를 한 상황에서 2차로(바깥차로)를 고집하다보면 소형차탈때 느끼지 못한 위험을 많이 느낄수있습니다.. 주.정차차량정도도 아닌 진입할려고 슬금슬금 나오는 차들을 피할려고만 해도 차선을 넘나드는 경우도 많이 있구요... 상대적으로 급감속을 해야하는 경우도 많이 생깁니다..
즉, 소형차는 큰 어려움없이 피할수있는 상황도 대형차량의 경우에는 더 큰 위험으로 1차로로 침범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는거죠...
물론 그렇지않은데... 오르막이나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굳이 1차선을 확보하여 전체주행속도를 늦게만든다면 잘못된거겠지요...
2007.10.30 16:06:45 (*.150.199.100)

98년 이전에도 대형차량이 추월을 위해 잠시 1차선 주행하는 것은 허용이 됐습니다. 경찰도 물론 그런 경우는 단속하지 않았습니다. 1차선으로 계속 주행하는 것을 단속했죠. 저 같은 경우는 편도 2차선 국도에서 1차선으로 달리던 중 맞은편 1차선에서 달려오는 15톤짜리 덤프에서 돌이 떨어져 운전석쪽 헤드라이트 옆 펜더가 돌에 맞아 파였을 정도의 피해를 입었지만 그 속도에서 갑자기 유턴해서 쫓아갈 수도 없고..만약 2차선에서 그 덤프가 달렸다면 그런 피해는 없었겠죠.
이런 불상사를 위해서도 대형차 1차선 주행을 고집하는 것은 막아야 합니다. 더불어 시내버스도 이젠 맘대로 1차선으로 갔다가 좌회전차선으로 직진했다가 그야말로 난리를 쳐도 경찰은 내버려 둡니다. 예전에는 버스 역시 단속대상이라 그 정도까지는 아니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이런 불상사를 위해서도 대형차 1차선 주행을 고집하는 것은 막아야 합니다. 더불어 시내버스도 이젠 맘대로 1차선으로 갔다가 좌회전차선으로 직진했다가 그야말로 난리를 쳐도 경찰은 내버려 둡니다. 예전에는 버스 역시 단속대상이라 그 정도까지는 아니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2007.10.30 18:15:06 (*.159.251.151)

남경희님 말씀도 이해하지만,
상대적으로 속도가 높은 1차선 에 저런 대형차량이 있는것 자체가
바로 시야확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1차적인 위험요소가 되며,
2차적으로 추월차선인 1차선이 아닌, 2차선을 이용한 역추월 상황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여러모로 봤을때, 좌회전 할 경우 외에 1차선에 대형 차량 집입자체는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경험상 1차선에 발을 들이는 덤프트럭의 경우, 잠시 추월하기 위한 경우와 대놓고 1차선 주행을 위한 2가지였습니다. 단순히 좌회전만을 위해 1차선을 이용한 경우는 드물었던것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높은 1차선 에 저런 대형차량이 있는것 자체가
바로 시야확보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1차적인 위험요소가 되며,
2차적으로 추월차선인 1차선이 아닌, 2차선을 이용한 역추월 상황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여러모로 봤을때, 좌회전 할 경우 외에 1차선에 대형 차량 집입자체는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경험상 1차선에 발을 들이는 덤프트럭의 경우, 잠시 추월하기 위한 경우와 대놓고 1차선 주행을 위한 2가지였습니다. 단순히 좌회전만을 위해 1차선을 이용한 경우는 드물었던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