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그동안 레간자에 투카 엘리사 시트를 이식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본격적인 버켓시트는 너부 부담스러워 하는 분들에 쵝오의 인기를 누리는게 투스카니 시트죠... ^^
디자인도 이쁘고, 서킷이나 와인딩시에는 부족하지만 일상 스트리트용으로서 세미버켓 역활에는
나름 역활을 해주기도 하고... 무엇보다...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그러다가... 난생처음 접해본 bmw의 스포츠 시트... 그것도 10년도 넘은 구형... 를 접해보고 나자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에 매료되서... 동호회에서 e36 m3의 시트를 구해 레간자에
이식해 줬습니다.
장장 8시간의 다이끝에 다이할뻔 하다가.... 작업을 끝내고...
이제 몇일동안 타고다녀보니... 시트포지션 조절기능때문에 바꿨는데...
덤?으로 다른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시트포지션과 쿠션... ^^
레간자의 서스펜션은 빌스타인 스포츠에 아이박 프로킷 조합입니다.
그다지 하드한 세팅이 아니죠. 그런데 투카시트시절에는 일체형 못지 않은 승차감이었습니다.
빌스+아이박 조합 이전에 티앤피 일체형이었는데... 거의 차이가 없었거든요.
서스 교체하고... 아차 실수했는가 싶을 정도로... 승차감 때문에 종발이로 바꾼것인데...
시트를 m3용으로 교체하고... 승차감이 확- 변했습니다. 단순히 엉덩이에서 느끼는 쿠션이 아니라 온몸으로
느껴지는 승차감... 조금 확대해석하자면 몸으로 느껴지는 차량의 움직임까지... ^^ 이 변하더군요.
부드러워졌지만 결코 쇼퍼처럼 모든걸 흡수해버리는 부드러움이 아니라... 노면의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까지
묻어버리는 말랑말랑함이 아니라서 드라이버의 긴장감은 유지가 됩니다.
그리고 시트포지션... 투카시트는 다른 차종에 이식하면 시트포지션이 굉장히 낮아지죠... ^^
예전 티뷰론 시트보다는 아주 약간 덜하지만... 뭐... 거의 비슷합니다. ^^
역시나 몰랐는데... 이번 m3 시트로 교체하면서 시트포지션이 거의 순정으로 혹은 약간이지만 그 이상
올라와 버렸습니다. 첨에는 마치 suv 운전석에 앉은 듯한... ^^
그런데... 페달 조작이 굉장히 편해졌다는걸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악셀페달 조작이 편해졌다는...
투카시트에서는 풀악셀이 아닌 이상... 악셀 밟는 양에 맞춰 발의 각도를 제 발목힘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 각도유지에 들어가는 힘이 많았고 발의 피로도가 굉장히 컸습니다.
비엠이나 벤츠같이... 일부러 악셀페달의 답력을 높여서 발목각도를 '유지'하는게 아니라...
힘으로 누르고 있는 편이 수월할 듯 해서... 알셀케이블에 스프링을 달던가...
악셀페달에 판스프링이라도 달아서 답력을 높여줄 생각도 했었습니다. ㅡ.ㅡ
압력판을 눌러야 하는 왼발보다... 오른발의 고통이 더 컸죠... 특히나 교통정체시에는 왼발보다
오른발의 피로도 상승이 장난이 아니었습니다. ㅡ.ㅡ
오른발의 악셀만큼은 아니더라도... 클러치와 브레이크 페달 모두... 시트교환 후 한결 편해진 조작성에
요즘은 레간자 타는 일이 즐거워졌습니다. ^^
즉, 차량의 순정시트포지션에 맞춰진 각종 페달의 조작각도를 깨버리는 심한 시트포지션의 변경이
있을시에는 각종 페달의 조작편의성이 굉장히 떨어진다는 걸 이번에 깨달았습니다.
시트교환전에는... 사실 레간자 타기가 고역?이었습니다. 그래서 세컨카를 메인카처럼 타고다니곤 했죠....
훨씬 더 편했기에... ㅡ.ㅡ
시트교환후... 이제야 데일리카로써 용도가 살아나는 듯 합니다. 좋아진 승차감 + 편해진 페달조작... ^^
그리고... 넓어진 시야... ^^ 담배 필때 재떨기 용이해진 창문높이... ^^
투카시트로 교환할때...
시트포지션이 낮아짐으로 인해 차량 무게중심도 낮아지고 어쩌고... 하는 그런건 생각도 나지 않습니다. ㅎㅎ
그저... 신체구조가 특이해서... 보다 세밀한 시트조절이 가능하다는거 하나보고 교체한 시트에서...
+a로 너무나 많은 걸 얻었기에... 기쁜? 마음에 몇자 적어봅니다. ^^
본격적인 버켓시트는 너부 부담스러워 하는 분들에 쵝오의 인기를 누리는게 투스카니 시트죠... ^^
디자인도 이쁘고, 서킷이나 와인딩시에는 부족하지만 일상 스트리트용으로서 세미버켓 역활에는
나름 역활을 해주기도 하고... 무엇보다...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그러다가... 난생처음 접해본 bmw의 스포츠 시트... 그것도 10년도 넘은 구형... 를 접해보고 나자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에 매료되서... 동호회에서 e36 m3의 시트를 구해 레간자에
이식해 줬습니다.
장장 8시간의 다이끝에 다이할뻔 하다가.... 작업을 끝내고...
이제 몇일동안 타고다녀보니... 시트포지션 조절기능때문에 바꿨는데...
덤?으로 다른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시트포지션과 쿠션... ^^
레간자의 서스펜션은 빌스타인 스포츠에 아이박 프로킷 조합입니다.
그다지 하드한 세팅이 아니죠. 그런데 투카시트시절에는 일체형 못지 않은 승차감이었습니다.
빌스+아이박 조합 이전에 티앤피 일체형이었는데... 거의 차이가 없었거든요.
서스 교체하고... 아차 실수했는가 싶을 정도로... 승차감 때문에 종발이로 바꾼것인데...
시트를 m3용으로 교체하고... 승차감이 확- 변했습니다. 단순히 엉덩이에서 느끼는 쿠션이 아니라 온몸으로
느껴지는 승차감... 조금 확대해석하자면 몸으로 느껴지는 차량의 움직임까지... ^^ 이 변하더군요.
부드러워졌지만 결코 쇼퍼처럼 모든걸 흡수해버리는 부드러움이 아니라... 노면의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까지
묻어버리는 말랑말랑함이 아니라서 드라이버의 긴장감은 유지가 됩니다.
그리고 시트포지션... 투카시트는 다른 차종에 이식하면 시트포지션이 굉장히 낮아지죠... ^^
예전 티뷰론 시트보다는 아주 약간 덜하지만... 뭐... 거의 비슷합니다. ^^
역시나 몰랐는데... 이번 m3 시트로 교체하면서 시트포지션이 거의 순정으로 혹은 약간이지만 그 이상
올라와 버렸습니다. 첨에는 마치 suv 운전석에 앉은 듯한... ^^
그런데... 페달 조작이 굉장히 편해졌다는걸 깨달았습니다. 특히나 악셀페달 조작이 편해졌다는...
투카시트에서는 풀악셀이 아닌 이상... 악셀 밟는 양에 맞춰 발의 각도를 제 발목힘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 각도유지에 들어가는 힘이 많았고 발의 피로도가 굉장히 컸습니다.
비엠이나 벤츠같이... 일부러 악셀페달의 답력을 높여서 발목각도를 '유지'하는게 아니라...
힘으로 누르고 있는 편이 수월할 듯 해서... 알셀케이블에 스프링을 달던가...
악셀페달에 판스프링이라도 달아서 답력을 높여줄 생각도 했었습니다. ㅡ.ㅡ
압력판을 눌러야 하는 왼발보다... 오른발의 고통이 더 컸죠... 특히나 교통정체시에는 왼발보다
오른발의 피로도 상승이 장난이 아니었습니다. ㅡ.ㅡ
오른발의 악셀만큼은 아니더라도... 클러치와 브레이크 페달 모두... 시트교환 후 한결 편해진 조작성에
요즘은 레간자 타는 일이 즐거워졌습니다. ^^
즉, 차량의 순정시트포지션에 맞춰진 각종 페달의 조작각도를 깨버리는 심한 시트포지션의 변경이
있을시에는 각종 페달의 조작편의성이 굉장히 떨어진다는 걸 이번에 깨달았습니다.
시트교환전에는... 사실 레간자 타기가 고역?이었습니다. 그래서 세컨카를 메인카처럼 타고다니곤 했죠....
훨씬 더 편했기에... ㅡ.ㅡ
시트교환후... 이제야 데일리카로써 용도가 살아나는 듯 합니다. 좋아진 승차감 + 편해진 페달조작... ^^
그리고... 넓어진 시야... ^^ 담배 필때 재떨기 용이해진 창문높이... ^^
투카시트로 교환할때...
시트포지션이 낮아짐으로 인해 차량 무게중심도 낮아지고 어쩌고... 하는 그런건 생각도 나지 않습니다. ㅎㅎ
그저... 신체구조가 특이해서... 보다 세밀한 시트조절이 가능하다는거 하나보고 교체한 시트에서...
+a로 너무나 많은 걸 얻었기에... 기쁜? 마음에 몇자 적어봅니다. ^^
2009.03.16 11:53:41 (*.254.112.153)

저도 시트 알아보니까..시트 교환은 추천하지 않더군요. 포지션 변화가 추돌 사고 시의 안전성까지 위협할 수 있어서요. 기본 시트에 맘에 드는 시트의 프레임만 옮겨가지고 와서 작업하는 경우가 가장 만족도(?)가 높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드는데.. 문제는 돈이겠지요.^^;;
2009.03.16 12:12:54 (*.211.206.27)

재미있는 내용 잘 읽었습니다.
다른 내용은 다 좋은데, 창문에 재를 터는 거 같아서 조금 불편하네요.
자동차 매니아로서, 앞차에서 창문열고 재를 털는 모습은 참 보기 안 좋아 보입니다.
담배재도 일종의 쓰레기라고 생각됩니다.
다른 내용은 다 좋은데, 창문에 재를 터는 거 같아서 조금 불편하네요.
자동차 매니아로서, 앞차에서 창문열고 재를 털는 모습은 참 보기 안 좋아 보입니다.
담배재도 일종의 쓰레기라고 생각됩니다.
2009.03.16 13:29:32 (*.117.121.44)
제가 경험해본 몇몇 국산차들은 무조건 시트를 낮춰야만 편안한 자세가 나오던데 역시 사람마다 다 틀린가봅니다.
(..특히 클릭은 최악이었네요; 핸들은 멀고 페달은 가깝고 시트는 높아서 30분 운전하면 허벅지나 허리에 염이 생길정도였으니-_-)
(..특히 클릭은 최악이었네요; 핸들은 멀고 페달은 가깝고 시트는 높아서 30분 운전하면 허벅지나 허리에 염이 생길정도였으니-_-)
2009.03.16 14:34:00 (*.227.254.91)

상당히 만족 하시나보네요....작업기까지....ㅎㅎ 단순하게 시트 포지션만 낮추는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신트높이 때문에 모든것이 불편해지게 되버리죠....트랙을 탄다면 헬맷이 천장에 닿지 않을 정도라면 충분 하다고 봅니다만은...^^
2009.03.17 14:01:24 (*.61.18.103)

버킷(풀버킷은 아니고 조절식이긴 하지만)시트로 바꾸고 나서...
좌우로의 몸쏠림을 잡아줘서 좋은것은 고작 10% 정도.
무엇보다도 올바른 자세를 잡아주는 것이 너무나도 좋았습니다.
장거리 운전시에도 너무나도 편하구요.
(그에 비해 순정시트가 너무나도 불편했던 것도 한몫 했겠지만요.)
좌우로의 몸쏠림을 잡아줘서 좋은것은 고작 10% 정도.
무엇보다도 올바른 자세를 잡아주는 것이 너무나도 좋았습니다.
장거리 운전시에도 너무나도 편하구요.
(그에 비해 순정시트가 너무나도 불편했던 것도 한몫 했겠지만요.)
2009.03.17 22:19:03 (*.143.59.62)
자동차 실내에서 가장 비싼 장치가 시트라고 합니다. 또한 승객의 안전도를 크게 좌우하는 장치 이기도 하지요. 그래서 OEM의 경우 NCAP 점수를 잘 받기 위해 Seat의 Cushion 및 Frame을 mm단위로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만큼 안전도에 미치는 영향이 많습니다.
돈 안들이고 안전도를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 조수석의 경우 시트를 제일 낮게 그리고 뒤쪽으로 옮겨 놓습니다. 그러면 정면 충돌시 무릅이 글로브박스에 충돌하는 것과 머리가 선바이져쪽에 충돌하는 확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물론 안전벨트가 헐렁할 정도로 뒤로 옮기시거나 시트백을 눕이시면 곤란합니다.
돈 안들이고 안전도를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 조수석의 경우 시트를 제일 낮게 그리고 뒤쪽으로 옮겨 놓습니다. 그러면 정면 충돌시 무릅이 글로브박스에 충돌하는 것과 머리가 선바이져쪽에 충돌하는 확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물론 안전벨트가 헐렁할 정도로 뒤로 옮기시거나 시트백을 눕이시면 곤란합니다.
온라인 구매했다가 허벅지를 밀어올리는 쿠션 때문에 발에 피가 안 통해서 고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억지춘향으로 오히려 시트를 더 낮춰서 압박을 줄이긴 했으나, 불편함에 결국 순정으로 돌아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