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오늘 스케쥴이 좀 비어서,
차의 엔진오일을 갈아주고(모튤 300v 5w40), 클러치도 제 스타일에 맞게 조정해주고,
타이어 공기압도 제 취향에 맞게 고치고, 하이패스 달고 등등 몇가지를 해준 다음에,
예전에 아수라를 타던 시절에 종종 다니던 인천의 모 샵으로 놀러갔습니다.
(사실 오랫만에 외곽순환 북부노선을 타보고 싶었다는건 부정 못합니다)
아니 그런데..
180에서 멈춰버리는 속도계..
허억!!! 이게 말로만 듣던,
일본차의 180km 의 저주!!!!
좌절하며 악셀을 떼고.. 살살 휘발유 아끼며 샵에 가서 잠시 놀다가,
(다이노를 올려볼까 했지만 샵이 바빠서 다이노는 무리)
다시 외곽순환서킷 북부노선을 타고 돌아오는데..
다시 180에 걸렸는데.. 순간 이상한 점을 발견..
보통 퓨얼컷에 걸리면 뒤에서 뭐가 당기듯이 잡아당기면서,
엔진에서 퓨퓨퓨퓨 하는 퓨얼컷의 반응이 있어야 하는데 없더군요.
어 뭐야 이거.. 설마 그대로 나가고 있는건가???
하면서 속도계를 봤지만 여전히 180..
아니 대체 이건 무슨 조화가...
그러니까.. 왠지 퓨얼컷에 걸린 느낌은 없는데 속도계는 180에서 멈춰있더군요.
..설마 이 차의 ECU가 리밋이 해제되어 있는데, 계기판은 강제로 180에서 멈추는걸까?
(아니 ECU따로 계기판 따로라는 피곤스러운 구조의 시스템을 만들리가???)
등등 고민하면서 몇가지를 더 체크해봤습니다.
사실 이걸로 고속도로를 달려보니,
예전의 제 아수라 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피곤하더군요..
전해져오는 RPM에 따른 엔진의 진동이 장난이 아니라..
(6단인데도 100km/h 에서 3000RPM이 넘습니다 -_-)
이걸로 앞으로 출퇴근 하면 꽤 피곤하겠는데.. 등의 고민을 하는데,
집에와서 이것 저것 검색해보니..
ECU가 리밋이 해제되어있더라도 계기판은 180에서 멈추나보더군요 -_-
(별도의 파츠를 달아야 계기가 올라가는 듯 한데..)
그래도 뭐.. 어차피 이걸로 고속도로를 달려제낄건 아니라고 생각하니,
그대로 180계기판 리밋 걸린채로 다니렵니다.
(와인딩 하는데에는 상관없다 생각해서요)
그리고 또 하나 잠깐 당황한건..
찾아낸 S2000의 기어비와 제 차의 기어비가 좀 다른 느낌입니다 -_-
원래 순정 기어비로 6단 3000RPM이 100km를 넘어가게 되어있는듯 한데..
설마 이 차 종감속도 손댄..걸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물론 저야 땡큐지만요)
다시 내일 오늘 제가 기억하는 RPM과 속도의 매칭이 정확한지 확인해야할 듯 합니다.
하기야.. 180에서 멋대로 멈추는 계기판을 믿어야 하나 의심스럽긴 합니다만 -_-
..그나저나.. 이 차(S2000) 파워펌프가 안보이는데..
설마 노파워..는 아닐거고 전자식 스티어링인걸까요?
99년에도 전자식 스티어링이 적용된 차가 있었나요?
P.S.
확실히 차라는건 여기저기 열어제끼면서 확인하고 만져주고,
간단하나마 직접 정비해보면서 점점 정이 들어가는건 틀림없는듯 합니다.
이제야 제 차라는 느낌이 조금 실감이 가기 시작했달까요
차의 엔진오일을 갈아주고(모튤 300v 5w40), 클러치도 제 스타일에 맞게 조정해주고,
타이어 공기압도 제 취향에 맞게 고치고, 하이패스 달고 등등 몇가지를 해준 다음에,
예전에 아수라를 타던 시절에 종종 다니던 인천의 모 샵으로 놀러갔습니다.
(사실 오랫만에 외곽순환 북부노선을 타보고 싶었다는건 부정 못합니다)
아니 그런데..
180에서 멈춰버리는 속도계..
허억!!! 이게 말로만 듣던,
일본차의 180km 의 저주!!!!
좌절하며 악셀을 떼고.. 살살 휘발유 아끼며 샵에 가서 잠시 놀다가,
(다이노를 올려볼까 했지만 샵이 바빠서 다이노는 무리)
다시 외곽순환서킷 북부노선을 타고 돌아오는데..
다시 180에 걸렸는데.. 순간 이상한 점을 발견..
보통 퓨얼컷에 걸리면 뒤에서 뭐가 당기듯이 잡아당기면서,
엔진에서 퓨퓨퓨퓨 하는 퓨얼컷의 반응이 있어야 하는데 없더군요.
어 뭐야 이거.. 설마 그대로 나가고 있는건가???
하면서 속도계를 봤지만 여전히 180..
아니 대체 이건 무슨 조화가...
그러니까.. 왠지 퓨얼컷에 걸린 느낌은 없는데 속도계는 180에서 멈춰있더군요.
..설마 이 차의 ECU가 리밋이 해제되어 있는데, 계기판은 강제로 180에서 멈추는걸까?
(아니 ECU따로 계기판 따로라는 피곤스러운 구조의 시스템을 만들리가???)
등등 고민하면서 몇가지를 더 체크해봤습니다.
사실 이걸로 고속도로를 달려보니,
예전의 제 아수라 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피곤하더군요..
전해져오는 RPM에 따른 엔진의 진동이 장난이 아니라..
(6단인데도 100km/h 에서 3000RPM이 넘습니다 -_-)
이걸로 앞으로 출퇴근 하면 꽤 피곤하겠는데.. 등의 고민을 하는데,
집에와서 이것 저것 검색해보니..
ECU가 리밋이 해제되어있더라도 계기판은 180에서 멈추나보더군요 -_-
(별도의 파츠를 달아야 계기가 올라가는 듯 한데..)
그래도 뭐.. 어차피 이걸로 고속도로를 달려제낄건 아니라고 생각하니,
그대로 180계기판 리밋 걸린채로 다니렵니다.
(와인딩 하는데에는 상관없다 생각해서요)
그리고 또 하나 잠깐 당황한건..
찾아낸 S2000의 기어비와 제 차의 기어비가 좀 다른 느낌입니다 -_-
원래 순정 기어비로 6단 3000RPM이 100km를 넘어가게 되어있는듯 한데..
설마 이 차 종감속도 손댄..걸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물론 저야 땡큐지만요)
다시 내일 오늘 제가 기억하는 RPM과 속도의 매칭이 정확한지 확인해야할 듯 합니다.
하기야.. 180에서 멋대로 멈추는 계기판을 믿어야 하나 의심스럽긴 합니다만 -_-
..그나저나.. 이 차(S2000) 파워펌프가 안보이는데..
설마 노파워..는 아닐거고 전자식 스티어링인걸까요?
99년에도 전자식 스티어링이 적용된 차가 있었나요?
P.S.
확실히 차라는건 여기저기 열어제끼면서 확인하고 만져주고,
간단하나마 직접 정비해보면서 점점 정이 들어가는건 틀림없는듯 합니다.
이제야 제 차라는 느낌이 조금 실감이 가기 시작했달까요
2009.03.25 19:16:26 (*.140.145.201)

아.. 속도값을 가로채는거군요!
일단은 이 차는 고속을 쏠건 아니니까 딱히 추가 장치를 달 필요는 없을듯 한데..
그래도 RSM같은걸 하나 달아놓을까요?
일단은 이 차는 고속을 쏠건 아니니까 딱히 추가 장치를 달 필요는 없을듯 한데..
그래도 RSM같은걸 하나 달아놓을까요?
2009.03.25 19:30:00 (*.14.37.47)

S2000 은 전자식 파워스티어링 입니다. 99년도 식이라 하여도.. 그러게요.. 그시절에. 이미 기본으로 HID도 적용되어 있고... 속도계는 계기판상으로 속도를 다 올리시려면.... 흠. 계기판을 교체하시는 방법이...
즐거운 S2000 라이프 부럽습니다... 2달째 시동도 못걸고 있습니다. 시동걸기전에.. 이슈 빼고 오일 순환이라도.. 시켜야 할듯 합니다..
즐거운 S2000 라이프 부럽습니다... 2달째 시동도 못걸고 있습니다. 시동걸기전에.. 이슈 빼고 오일 순환이라도.. 시켜야 할듯 합니다..
2009.03.25 22:54:18 (*.214.62.154)

일본내수용의 비애랄까요ㅠㅠ 저도 리미트 걸려있습니당.
저도 그닥 최고속엔 감흥이 없어서.. 별신경은 안쓰이네요
조금 족쇄 채워진 기분이 들지만서도..;;
저도 그닥 최고속엔 감흥이 없어서.. 별신경은 안쓰이네요
조금 족쇄 채워진 기분이 들지만서도..;;
2009.03.25 23:01:14 (*.203.42.254)
안녕하세요 광삼님^^
S2000선배(?)로써 말씀드리자면 어떠한 방법을 써서 리밋해제를 하든간에
내수용은 계기판 상 180에서 더 이상 올라가지 않습니다^^
(제 차는 울트라미터 장착으로 리밋해제와 아울러 180오버 영역에서의 속도표시,
8,500rpm에서의 시프트알림음 등 3마리의 토끼를 잡았습니다. ㅋ)
180이상을 순정계기판에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은 없구요........사제 풀스케일
계기판으로 교체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수출사양 계기판과의 호환 여부는 잘^^)
참고로 순정이랑 똑같이 생긴 풀스케일 계기판은 일본에서 소비자가 138,000엔
이라는 무시무시무시한 가격을 자랑합니다.(차라리 2,000엔 더 보태어 스푼의
아날로그식 계기판으로 바꾸고 말지요^^)
그리고 제 차의 경우는 6단 100km/h에서 3,400~3,500rpm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순정은 결코 3,000rpm이 아닙니다^^(제 차는 순정 4.1 종감속~)
참고로 S2000의 속도계 오차는 거의 없는 편인데 230오버의 영역에서도
1~2km/h 정도의 오차만이 존재할 뿐입니다........
S2000선배(?)로써 말씀드리자면 어떠한 방법을 써서 리밋해제를 하든간에
내수용은 계기판 상 180에서 더 이상 올라가지 않습니다^^
(제 차는 울트라미터 장착으로 리밋해제와 아울러 180오버 영역에서의 속도표시,
8,500rpm에서의 시프트알림음 등 3마리의 토끼를 잡았습니다. ㅋ)
180이상을 순정계기판에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은 없구요........사제 풀스케일
계기판으로 교체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수출사양 계기판과의 호환 여부는 잘^^)
참고로 순정이랑 똑같이 생긴 풀스케일 계기판은 일본에서 소비자가 138,000엔
이라는 무시무시무시한 가격을 자랑합니다.(차라리 2,000엔 더 보태어 스푼의
아날로그식 계기판으로 바꾸고 말지요^^)
그리고 제 차의 경우는 6단 100km/h에서 3,400~3,500rpm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순정은 결코 3,000rpm이 아닙니다^^(제 차는 순정 4.1 종감속~)
참고로 S2000의 속도계 오차는 거의 없는 편인데 230오버의 영역에서도
1~2km/h 정도의 오차만이 존재할 뿐입니다........
2009.03.26 02:11:18 (*.140.145.201)

제 계산법이 틀렸더군요.
잘 확인해보니 종감속 전에 Secondary Reduction Gear가 1.160 로 있었습니다.
이걸 넣고 다시 계산을 해보니, 대충 정확히 맞는듯 합니다.
대충 제가 공부하기 위해 표를 만들고 보니,
이건 뭐 레드존 가까이 돌리면서 변속해야 VTEC영역대를 유지하며 달리겠더군요
즉, 100Km/h 이하에선 2단으로 밀어붙이다가 100오버에서 3단으로 변속(하면 6000정도),
다시 거기서 140정도까지 밀어붙인후 4단변속(하면 대충 6500), 170에서 5단변속..
6단은 쓸데없음(200 이후에나 사용)
RPM대비 속도표를 만들어놓고 머릿속으로 변속 시뮬레이션을 하다보니,
60km이하로 감속해야하는 상황에선 심지어 1단까지 낮춰야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어서..
2단 정도가 아니라 아예 1단까지도 써야하나 싶은 생각마저 드네요 -_-
3->2단도 그리 익숙치 않는데, 2->1 단까지 연습해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예전엔 고속도로가 주종목이라선지, 6->4, 5->4 와 4->3 에 익숙한데요..)
역시나 이전에 익숙하던 베타엔진 6단미션의 변속패턴과는 사뭇 다르군요.
잘 확인해보니 종감속 전에 Secondary Reduction Gear가 1.160 로 있었습니다.
이걸 넣고 다시 계산을 해보니, 대충 정확히 맞는듯 합니다.
대충 제가 공부하기 위해 표를 만들고 보니,
이건 뭐 레드존 가까이 돌리면서 변속해야 VTEC영역대를 유지하며 달리겠더군요
즉, 100Km/h 이하에선 2단으로 밀어붙이다가 100오버에서 3단으로 변속(하면 6000정도),
다시 거기서 140정도까지 밀어붙인후 4단변속(하면 대충 6500), 170에서 5단변속..
6단은 쓸데없음(200 이후에나 사용)
RPM대비 속도표를 만들어놓고 머릿속으로 변속 시뮬레이션을 하다보니,
60km이하로 감속해야하는 상황에선 심지어 1단까지 낮춰야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어서..
2단 정도가 아니라 아예 1단까지도 써야하나 싶은 생각마저 드네요 -_-
3->2단도 그리 익숙치 않는데, 2->1 단까지 연습해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예전엔 고속도로가 주종목이라선지, 6->4, 5->4 와 4->3 에 익숙한데요..)
역시나 이전에 익숙하던 베타엔진 6단미션의 변속패턴과는 사뭇 다르군요.
2009.03.26 00:15:19 (*.140.145.201)

아흑.. 계기판.. 그렇군요..
나중에 그냥 타코미터나 커다란거 하나 박아서,
속도대신 RPM만 보며 다녀야겠네요..
(뭐 어차피 고속 뛸게 아니니 180오버는 의미없기도 하구요)
나중에 그냥 타코미터나 커다란거 하나 박아서,
속도대신 RPM만 보며 다녀야겠네요..
(뭐 어차피 고속 뛸게 아니니 180오버는 의미없기도 하구요)
일본차들의 속도 리밋이 대부분 속도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ECU에서 속도계로 전달되는 차속 신호를 가로채서 180 이상의 값을 보내지 않도록 하는게 일반적인 (가장 싼) 리밋 해제 방법이지요.
적어도 년식이 좀 된 일본차들은 거의 이런 방식일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