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워싱턴 AP=연합뉴스) 기아자동차의 '스포티지'와 현대자동차의 '투싼'이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의 지붕 강도(Roof Strenth) 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IIHS는 소형 스포트 유틸리티 차량(SUV)을 대상으로 지붕강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동일한 언더피닝(underpinning.지지대)을 장착하고 있는 스포티지와 투싼이 최하위 등급인 '미흡(poor)' 판정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 평가는 전복 사고에서 차제 지붕이 승차자의 안전을 얼마나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에 새롭게 도입된 것이다.
IIHS는 자체 평가 기준에 따라 차체 지붕이 차량 무게의 4배를 견디면 '우수(good)', 3.25배를 견디면 '적합(acceptable)', 2.5배를 견디면 '한계(marginal)', 2.5배를 견디지 못하면 '미흡(poor)' 등급을 매겼다.
우수 등급을 받은 차량은 폴크스바겐 '티구안', 스바루 '포레스터', 혼다 '엘레멘트', 지프 '패트리엇' 등 4개 차종뿐이다.
스즈키 '그랜드 비타라', GM '시보레 에퀴녹스', 도요타 'RAV4', 닛산 '로그', 미쓰비시 '아웃랜더' 등은 적합 등급을 받았으며, 혼다 'CR-V'와 포드 '이스케이프' 등은 한계 등급으로 판정됐다.
IIHS는 기본적으로 2009년 모델 차량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지만, 스포티지와 엘레멘트에 대해서는 차체 지붕이 2009년형과 동일한 2008년형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기아차 미국 법인의 알렉스 페도락 대변인은 이번 평가에 대해 "IIHS 자체적인 것으로써 복잡한 상황에서 차량이 승차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능력을 완전히 평가하지 못했다"며 2005년 이래 모든 스포티지 차량에 차체자세제어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를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bbie@yna.co.kr




기아 스포티지 사진입니다. 스포티지와 투싼이 가장 낮은 poor 등급을 받았네요.




티구안 사진입니다.
제일 처음의 사진과 다르게 거의 부서지지 않은것은 스포티지가 부서진 강도(차량의 2.5배 무게)로 눌렀기 때문입니다.
제일 처음의 다 부서진 차량의 사진들은 임계한계까지 눌러서 부서진것이구요.
그러니까 첫 사진의 티구안은 4배 이상의 무게로 눌러서 그렇게 된것입니다.
위 사진은 테스트 사진 입니다.
2.5배의 차량 무게로 눌렀을 때의 사진입니다.
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비교 사진입니다.
Proof 강도 테스트는 내년 부터 북미에 도입을 하기로 한 테스트입니다.
기아의 스포치지가 04년에 출시 되었고 티구안이 이후에 출시된 모델이라는 사실을 보더라도..
현대 기아차가 좀 더 분발 했으면 좋겠습니다.
- 000_iihsroof.jpg (38.6KB)(3)
- 001_iihsroof.jpg (41.5KB)(3)
- 002_iihsroof.jpg (26.9KB)(3)
- 003_iihsroof.jpg (33.5KB)(2)
- 004_iihsroof.jpg (33.3KB)(2)
- 005_iihsroof.jpg (25.9KB)(2)
- 006_iihsroof.jpg (26.6KB)(2)
- 007_iihsroof.jpg (25.1KB)(2)
- 008_iihsroof.jpg (28.7KB)(2)
- 009_iihsroof.jpg (29.2KB)(3)
- compare.JPG (38.1KB)(3)
- sportage.JPG (23.2KB)(2)
- tiguan.JPG (21.2KB)(1)

저 힘으로 눌렀는데 아무 변형이 없다는것...
루프 붕괴가 안된다면 다른쪽으로 변위가 발생을 해야 할텐데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저 힘을 견딘다는건 이해가 안됩니다.
송승민님 말씀처럼 시험 전 사진이 아닐까 합니다.


투싼 타고 있는 사람으로서 좀 씁쓸한 테스트군요...롤케이지라도 해야하나....

전복시에 차대가 어느정도 먹는즉시 머리와 닿아버리니까요..
측면도 마찬가지 일거 같기도하고.. 음.. 현기차는 좀 많이 파손되긴했네요..

새로 출시되는 차량들이라도 티구안처럼 되길 바래야하나요? ㅠㅠ

하지만 NF를 시발점으로 하여 현기차그룹의 차량들이 대폭 강성의 향상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투싼, 스포티지의 경우, NF 이전세대의 말미를 장식하는 차이니만큼,
올해 중으로 출시된다는 후속모델에는 기대를 걸어볼만 하지 않을까요?

성능보다 안전이 먼저일텐데...

세단으로 전복당했던 사고가 있었는데, 정말 지붕이
종이처럼 구겨져 내려앉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붕은 절대로 구겨져 내려앉으면 안됩니다.
올바른자세(직립에 가깝게 운전자세를 잡고) 벨트를 통해
시트와 밀착된 상태에서 지붕이 구겨져 내려 앉으니,
머리가 깨지고 목이 접혀버리더군요.



작년 10월 말에 구입한, 아직 6개월/10000km도 타지 않은 투싼을 팔아버릴까 잠시 생각했습니다...
VDC, 커튼 에어백은 선택 불가(최고급 트림에 옵션으로만 선택가능...)
안전 옵션으로 선택이 가능한것이라곤 딸랑 조수석 에어백...
ABS에 운전석+조수석 에어백이 전부인 차로 주말 가족 나들이는 자제해야겠네요...
주차가 불편하더라도 매우 안전할것 같은 S를 타고다니던가, 식구들이 타고내리기 불편하더라도 A필러가 보강되있고 롤바가 튀어 나오는 4인승 컨버터블을 타야 할듯 합니다.
근데 적고나니 궁금한것이, 투싼과 컨버터블중 어떤것이 더 안전할까요? (컨버는 무게중심이 낮은데에다가, 강성 보강을 많이 했고 A필러를 보강하고 롤바가 튀어나와 전복시에도 안전하다고 들은 것 같은데...)
글자가 너무 작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나름대로 좀 충격적인 결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