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그제 한 달여를 고르고 골라서 후배님에게 e39 530i 를 골라줬습니다.
히스토리도 다 알고 또 친한 딜러가 좋은 가격에 양도를 해줘서
2003년 11월식(e39 의 막차죠 ㅠ.ㅠ) 7만키로도 주행안한 차를 딱 2천에
인수를 했습니다. 엔진은 사정상 새로 리빌트된 엔진으로 올라갔고
라디에이터를 비롯 많은 부분이 리뉴얼 되어 있었고 GT1 스캔결과
단 하나의 폴트도 없는 차였습니다만 뒷타이어가 상태가 별로라서
타이어를 구매를 해주게 되었습니다. 제 차에도 장착이 되어 있는 브릿**
아드레날린 모델입니다. 리어는 255/40/17 싸이즈였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시작됩니다. 나름 제가 최저가 구매를 한다고 생각했는데
작년 가을에 제차에 장착할때 보다 한 짝당 3만원 정도의 가격인상이
있었습니다. 한 대분이면 12만원 불과 6개월도 안돼서 이 정도라면
정말 굉장한 가격 인상폭이더군요 캐미컬류도 마찬가지구요
그러다 보니 최저가 구매가 무색한 결과가 되버리더군요(물론 기준이 작년대비)
각종 경제지표는 바닥을 달리고 물가는 계속 올라가고
아내와 마트에 가서 잠깐 장을 봐도 기십만원 훌쩍...,(두 식구 살림에 ㅠ.)
주말여행을 이제는 뗨뗨 가게 되더군요 그러고도 생활의 질이 윤택하다는
느낌이 안들 정도로 물가는 치솟는데 자동차용품중 특히나 수입품의 경우는
너무 상승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그래도 일반유저 보다도
싸게 구매를 하는 편인데도 휘청이니 일반 소비자들이 느끼는 용품의
가격상승은 정말 저보다 훨씬 크게 느껴질듯 합니다.
회원 여러분 모두 힘내십시요 머 살다보면 좋은 카라이프 할날도
오지 않겠습니까?
그제 한 달여를 고르고 골라서 후배님에게 e39 530i 를 골라줬습니다.
히스토리도 다 알고 또 친한 딜러가 좋은 가격에 양도를 해줘서
2003년 11월식(e39 의 막차죠 ㅠ.ㅠ) 7만키로도 주행안한 차를 딱 2천에
인수를 했습니다. 엔진은 사정상 새로 리빌트된 엔진으로 올라갔고
라디에이터를 비롯 많은 부분이 리뉴얼 되어 있었고 GT1 스캔결과
단 하나의 폴트도 없는 차였습니다만 뒷타이어가 상태가 별로라서
타이어를 구매를 해주게 되었습니다. 제 차에도 장착이 되어 있는 브릿**
아드레날린 모델입니다. 리어는 255/40/17 싸이즈였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시작됩니다. 나름 제가 최저가 구매를 한다고 생각했는데
작년 가을에 제차에 장착할때 보다 한 짝당 3만원 정도의 가격인상이
있었습니다. 한 대분이면 12만원 불과 6개월도 안돼서 이 정도라면
정말 굉장한 가격 인상폭이더군요 캐미컬류도 마찬가지구요
그러다 보니 최저가 구매가 무색한 결과가 되버리더군요(물론 기준이 작년대비)
각종 경제지표는 바닥을 달리고 물가는 계속 올라가고
아내와 마트에 가서 잠깐 장을 봐도 기십만원 훌쩍...,(두 식구 살림에 ㅠ.)
주말여행을 이제는 뗨뗨 가게 되더군요 그러고도 생활의 질이 윤택하다는
느낌이 안들 정도로 물가는 치솟는데 자동차용품중 특히나 수입품의 경우는
너무 상승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그래도 일반유저 보다도
싸게 구매를 하는 편인데도 휘청이니 일반 소비자들이 느끼는 용품의
가격상승은 정말 저보다 훨씬 크게 느껴질듯 합니다.
회원 여러분 모두 힘내십시요 머 살다보면 좋은 카라이프 할날도
오지 않겠습니까?
2009.03.28 09:32:09 (*.22.241.129)

환율영향이 가장 크죠, 수입관련일을 하는데, 환율이 오르면 구매할때가격이 오르고, 들어올때 오른 환율만큼 또 관세 등의 세금이 붙고...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수입품들은 그래도 마진폭이 작지만 그렇지 못한 제품들은 마진폭이 클 수 밖에 없으니 그런게 아닐까 합니다.
2009.03.28 09:37:15 (*.254.107.61)

요즘 환율상승으로 인해 용품의 가격이 너무 올라버렸더군요..
그래서 한동안 상태좋고 검증된 중고용품을 구하는게 나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한동안 상태좋고 검증된 중고용품을 구하는게 나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2009.03.28 11:19:16 (*.137.131.118)

한번 올라가면 안내려오죠. 이미 환율이 1300원대까지 내려왔는데 다시 내려올지 궁금합니다. 60만원 하던 모차량 전용 드라이빙 램프가 지금은 90만원대인걸 보고 깜짝 놀랬습니다. 주유소 같은 곳들도 작년에 꽤 재미가 좋았다는 후문을 들었습니다. 기름 도매값 올라갈때 소매값도 바로바로 같이 올리고 내려갈때는 최대한 천천히 내려서 꽤 재미가 좋았다는 믿거나 말거나 한 얘긴데 저는 믿기더군요.
2009.03.28 12:31:40 (*.152.207.117)

일부품목 가격은... 무역 개념이 아니고..구매대행 개념으로 설정 된 것 같았습니다.^^
오를때 가격 탄력성은 너무 뛰어난 듯...^^ (이참에 한목 잡아 보자는 분들도 꽤 있는 것 같구요...)
(그나저나 급하게 내린 환율 때문에..중소수출 업체는 또 고민중이더군요...--;;;
무슨 원환율만 전쟁중인 것 같이 널뛰고.. 변동폭이 너무 크네요..)
오를때 가격 탄력성은 너무 뛰어난 듯...^^ (이참에 한목 잡아 보자는 분들도 꽤 있는 것 같구요...)
(그나저나 급하게 내린 환율 때문에..중소수출 업체는 또 고민중이더군요...--;;;
무슨 원환율만 전쟁중인 것 같이 널뛰고.. 변동폭이 너무 크네요..)
2009.03.28 12:45:51 (*.166.134.85)

제가 물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e39 530 최종년식에 7만 미만에 2천이면..... 아 눈물이 날거 같네요.. 부럽습니다..ㅠㅠ
e39 530 최종년식에 7만 미만에 2천이면..... 아 눈물이 날거 같네요.. 부럽습니다..ㅠㅠ
일본에서의 구매는 엄두를 못 내고 있습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