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미국 중부에도 드디어 봄이 와서 오토크로스 경기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에 시카고 근교의 오토크로스에 참가하여 오랜만에 재밌게 놀다 왔네요;; 여긴 겨울이 6개월이라는;;
귀차니즘의 발동으로 자동차 사진은 전혀 찍지 않고 마음에만 담아왔습니다;; 막상 글을 올리려고 보니 좀 찍어둘걸 싶네요; 어린 아이들 카트 부터 어른들도 직접 만든 포뮬러 틱한 자동차등등 재밌는 차가 많았습니다. 단일 차종으론 콜벳이 단연 제일 많아서 역시 미국이구나라고 생각 하게 되고, Z06는 양산차 중에선 최고 기록을 냅니다. NSX와 911도 한대씩 참가했는데, 운전자가 안전운행;;을 하느라 기록은 좋지 못하더군요.
사진이 없으니 제차 주행 영상이라도 올립니다.
차량은 2003년식 S2000 순정인 상태고.. 휠만 AP2 용으로 지난 겨울 구입했습니다. 어차피 겨울용 타이어세트가 필요한 상황이라 AP1 용 16인치는 타이어 선택의 폭이 너무 좁아 AP2 용 17인치로 구입했고, 전륜 215/45/17 후륜 245/40/17 이 들어갑니다. 휠을 살때 끼워져서 온 타이어를 그대로 쓰고 있고, 첨들어보는 Sumitomo HTR Z라는 타이어가 끼워져 있습니다. 전륜은 약 50%남았고, 후륜은 거의 다 닳은 상황입니다.
약 180대 가량의 차량이 참가했고, 오전엔 비.. 오후엔 맑은 날씨였고, 오전에 3번, 오후에 3번 탈 기회가 있어서 빗길, 마른길 모두 타볼수 있었습니다. 타이어 특성인지, 후륜이 다 닳아서 그런지 빗길 그립은 아주 욕이 절로 나왔지만, 마른길에서 타이어가 열을 조금 받으니 꽤 재밌게 탈만했습니다. 코스는 그다지 복잡하지 않고, 헤어핀 1개, 슬라럼 2번 정도로 구성되어 있고, 50~60초 정도의 코스 입니다.
2009.04.28 23:05:07 (*.160.123.46)

이제 AutoX 한창 할때네요. 미국에 있을때 이벤트 있을때마다 나갔었는데, 제가 있는 동네에선 $30 정도에 평균 3번정도 할 수 있었습니다. 차 없으면 한 이벤트에 5번까지도 뛰어본적 있고요. 처음엔 주차장에 차보느라 '헤벌레' 하지만 차례 기다리는 시간은 지루하지요. 그래도 오토크로스에서 이 사람 저 사람 만나보면서 이차 저차 빠르다는 차들도 동승해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그 중에서도 터보 + 돌서스 + 슬릭타이어로 무장한 깡통 Miata 동승이 제일 기억에 남네요.
2009.04.29 00:18:19 (*.11.134.122)

영상으로 보기전까진 간단한 코스 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복잡하네요 ㅋ 무지 즐거우셨을꺼 같습니다 어서 저도 애마랑 이런 놀이하고 픈데.. 할때도 없고.. ㅜ 국내는 뭐 소식 없나요?? 태백 트랙데이가 5월 말에 잡혔다고는 들었습니다만..
2009.04.29 08:02:21 (*.87.60.118)

확실히 첫번째보다 두번째가 빠른 듯합니다. 기어는 1,2단만 쓰신것 맞죠? 재미가 전달이 잘돼서 제가 화면에 얼굴이 붙었습니다.
2009.04.29 08:05:34 (*.251.201.18)

오토크로스에 관심이 많은 회원이라... 올려주신 동영상 잘 보았습니다.
지난주말에 있던 저희 로컬 지역 PCA 행사에 참석 못해 아쉬움이 많았는데.. 대리만족했습니다. 감사합니다. 1단-2단 병행과 2단주행의 차이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일반차들은 대게 2단으로 그 주행을 마치는데 반해 S2000들은 과감히 1단을 사용하던 기억에 운전자의 판단이 참 궁금했었거든여.. ^^=b
2009.04.29 10:47:50 (*.212.28.41)

1단 병행과 2단 주행의 득실이 코스마다 다른것 같습니다. 직선이 거의 없는 코스 특성상 1단 풀악셀이 가능한 곳이 몇군데 없고, 변속이 잦으면 그만큼 가속에서 손실이 와서.. 1단을 병행하며 가속을 살릴건지.. 토크에서 조금 손해보더라도 2단 위주로 주행하여 악셀에 발을 대고 있는 시간을 늘릴건지 결정이 저는 힘들더군요. 그래서 늘 1단 병행과 2단 위주 주행을 해보며 결정하게 됩니다. 특히 그립이 약한 타이어를 끼면 2단 주행이 나은것 같습니다.
동영상의 코스는 기어변속 지점도 매우 애매해서, 첫번째 비디오에서도 첫 슬라럼까진 계속 1단 주행인데, 그 사이에도 퓨얼컷이 몇번 걸립니다. 또 변속도 슬라럼 중간에 해야 해서.. 첫번째 비디오에서도 변속으로 인해 슬라럼의 라인을 한번 놓쳐서 이후에 좀 이상하게 되더라구요.
저곳 코스에서는 2단 위주로 주행하되, 헤어핀 진입시에 1단 넣어주고 2번째 슬라럼 전에 2단을 다시 넣어주는게 제일 괜찮지 않을까.. 생각만 해봅니다;;
2009.04.29 11:56:04 (*.232.171.240)

"Sumitomo 고무" 에서 만드는 타이어의 brand name 이 Dunlop 아니던가요?
Sumitomo 자체 이름으로 타이어도 나오는건지...
Sumitomo 자체 이름으로 타이어도 나오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