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며칠전 w124 엔진을 오버홀을 해봤습니다.
w124는 mb의 구형 모델로 e클래스입니다. 인류가 만든 차종중
가장 튼튼한 샤시를 가지고 있는 차종입니다.
2.0 엔진에서 부터 7.3 브라부스 골리앗 엔진까지 모두 소화해 내는
태생 부터가 남다른 녀석입니다.
제가 타고 있는 차종이기도 해서 관심을 가지고 진행을 했습니다.
엔진을 열면서 계속되는 감탄사가 다시금 녀석의 매력에 빠지게 하더군요
일전에 w140 모델을 오버홀 하면서도 역시 mb 구나 하는 생각에
놀랐는데 94년식 30만을 바라보는 키로수임에도 불구하고
해드에서의 가이드고무에서의 누유는 하나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세월의 흔적에 검게 눌러붙은 오일 슬러지는 많았죠
해드를 분해하는데 다시금 놀란점은 그 키로수에도 불구하고
hla 유압타펫이 하나도 손상입은것 없이 모두가 완벽한 상태인것입니다.
과거 mb의 엔지니어들이 100만키로 운운하던 호언장담이 결코
헛된 소리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윽고 분해후 세척과정에서 다시금 놀란점은..., 그 육중하고
둔하고 무식하리 만큰 튼튼해 보이는 캠이 중...공...캠이라는 데에
다시 한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물론 캠의 리프트도
메뉴얼에 나와 있는 수치에서 전혀 마모도 없을뿐더러 그 당시에
레이싱스팩에나 볼 수 있는 중공캠까지 들어간 엔진일줄이야...,
더더욱 놀란점은 흡기밸브가 모두 제가 튜닝할때 가공하는것처럼
그렇게 가공이 되어 있고 시트링의 침하나 마모 또한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거기에 더 한번 제 눈을 의심하게 만든건 배기밸브였습니다.
배기밸브에 덮여있는 저 회색빛의 정체는???? 바로 세라믹코팅이었습니다.
그런것들을 보면서 저는 장탄식을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근 13년의 세월에도 불구하고 이미 양산에서 그와 같은 퀄리티를
뽑아내고 요즘도 시도하기 힘든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쓴 유럽의 메이커들이
새삼 부러웠습니다. 물론 흡기포트 입구는 수가공으로 단차가공이
되어 있었고 이는 가스켓과 인매니써지와의 단차를 없애고 공기의 유동성을
개선 하는데 그 주안점이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일전에도 mb 엔진들 오버홀 하면서 느낀건 피스톤링은 찌들은 때만
벗겨주면 다시금 텐션이 살고 압축압력도 제대로 나오는것을
경험한지라 1번 4번의 피스톤이 유격이 생긴 상태인 엔진에
저만의 방법으로 피스톤링 재생에 들어갔습니다.
만 이틀만의 공정후에 신품의 그것처럼 생생하게 살아난 피스톤을
느끼며 모든 크리닝작업을 종료후 조립에 들어갔고
오늘 드디어 파이어링에 이은 시운전을 마치고 세차를 보냈습니다.
명품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 오랜시간의 숙성과도 같은건가 봅니다.
시간이 허락하는데로 제 엔진도 내려서 리빌트 해보고 싶어지는군요....,
밀려드는 작업만 아니라면 말입니다....,
며칠전 w124 엔진을 오버홀을 해봤습니다.
w124는 mb의 구형 모델로 e클래스입니다. 인류가 만든 차종중
가장 튼튼한 샤시를 가지고 있는 차종입니다.
2.0 엔진에서 부터 7.3 브라부스 골리앗 엔진까지 모두 소화해 내는
태생 부터가 남다른 녀석입니다.
제가 타고 있는 차종이기도 해서 관심을 가지고 진행을 했습니다.
엔진을 열면서 계속되는 감탄사가 다시금 녀석의 매력에 빠지게 하더군요
일전에 w140 모델을 오버홀 하면서도 역시 mb 구나 하는 생각에
놀랐는데 94년식 30만을 바라보는 키로수임에도 불구하고
해드에서의 가이드고무에서의 누유는 하나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세월의 흔적에 검게 눌러붙은 오일 슬러지는 많았죠
해드를 분해하는데 다시금 놀란점은 그 키로수에도 불구하고
hla 유압타펫이 하나도 손상입은것 없이 모두가 완벽한 상태인것입니다.
과거 mb의 엔지니어들이 100만키로 운운하던 호언장담이 결코
헛된 소리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윽고 분해후 세척과정에서 다시금 놀란점은..., 그 육중하고
둔하고 무식하리 만큰 튼튼해 보이는 캠이 중...공...캠이라는 데에
다시 한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물론 캠의 리프트도
메뉴얼에 나와 있는 수치에서 전혀 마모도 없을뿐더러 그 당시에
레이싱스팩에나 볼 수 있는 중공캠까지 들어간 엔진일줄이야...,
더더욱 놀란점은 흡기밸브가 모두 제가 튜닝할때 가공하는것처럼
그렇게 가공이 되어 있고 시트링의 침하나 마모 또한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거기에 더 한번 제 눈을 의심하게 만든건 배기밸브였습니다.
배기밸브에 덮여있는 저 회색빛의 정체는???? 바로 세라믹코팅이었습니다.
그런것들을 보면서 저는 장탄식을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근 13년의 세월에도 불구하고 이미 양산에서 그와 같은 퀄리티를
뽑아내고 요즘도 시도하기 힘든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쓴 유럽의 메이커들이
새삼 부러웠습니다. 물론 흡기포트 입구는 수가공으로 단차가공이
되어 있었고 이는 가스켓과 인매니써지와의 단차를 없애고 공기의 유동성을
개선 하는데 그 주안점이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일전에도 mb 엔진들 오버홀 하면서 느낀건 피스톤링은 찌들은 때만
벗겨주면 다시금 텐션이 살고 압축압력도 제대로 나오는것을
경험한지라 1번 4번의 피스톤이 유격이 생긴 상태인 엔진에
저만의 방법으로 피스톤링 재생에 들어갔습니다.
만 이틀만의 공정후에 신품의 그것처럼 생생하게 살아난 피스톤을
느끼며 모든 크리닝작업을 종료후 조립에 들어갔고
오늘 드디어 파이어링에 이은 시운전을 마치고 세차를 보냈습니다.
명품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 오랜시간의 숙성과도 같은건가 봅니다.
시간이 허락하는데로 제 엔진도 내려서 리빌트 해보고 싶어지는군요....,
밀려드는 작업만 아니라면 말입니다....,
2007.05.14 16:57:48 (*.192.187.141)

비싸다 거품이 많다..하는것도 다 일리가 있는 말이지만 명품이 비싼 이유는 또 나름대로 보이지않는 차이가 있기 마련이죠.. 그걸 알아볼수있는 사람이 얼마 안될뿐이지 ^^
2007.05.14 18:44:58 (*.195.20.252)

역시 재질의 차이는 못따라가는가 봅니다..
요즘 재질을 보면서 국산재질과 유럽 재질의 차이에 놀랍니다...
같은 등급이라도 현미경으로 보니 천지 차이더군요...ㅡ.ㅡ;;;
그렇게 보면 "중국산도 국산과 비교를 해보면 그만큼 차이날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 재질을 보면서 국산재질과 유럽 재질의 차이에 놀랍니다...
같은 등급이라도 현미경으로 보니 천지 차이더군요...ㅡ.ㅡ;;;
그렇게 보면 "중국산도 국산과 비교를 해보면 그만큼 차이날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2007.05.14 19:25:57 (*.114.62.68)

제가 구형 독일차를 좋아하는 이유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그 무식함과 무지막지함을 이미 수십년전에 갖추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작업하신 엔진이 몇기통 사양의 엔진이었는지 궁금합니다.
그 무식함과 무지막지함을 이미 수십년전에 갖추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작업하신 엔진이 몇기통 사양의 엔진이었는지 궁금합니다.
2007.05.14 20:23:10 (*.210.165.142)

영주님 4기엔진이었습니다. 구형 독일차들을 보면 엔지니어가
최고 경영진이었던 시절의 차들이 정말로 독일다운 감성을 가진
차들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마치 기계화사단의 일부인듯
오랜세월에도 변하지 않는 감성으로 다가오는 그 느낌이 정말로
감동을 줍니다. 영국의 하이테크와 예술성과 또 다른 우직하고
오직 한 방향으로만 갈줄아는 그러한 남성다운 감성이 늘 저를
감동으로 몰고 갑니다.
그러한 독일다움은 mb든 비머든 아우디든 폭스바겐이든 간에
같은 감성이라고 생각됩니다. 저 역시 그러한 올드카에 매료되서
제차를 팔라는 (그것도 시세의 거의 두배를 부르는데도 불구하고)
팔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최고 경영진이었던 시절의 차들이 정말로 독일다운 감성을 가진
차들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마치 기계화사단의 일부인듯
오랜세월에도 변하지 않는 감성으로 다가오는 그 느낌이 정말로
감동을 줍니다. 영국의 하이테크와 예술성과 또 다른 우직하고
오직 한 방향으로만 갈줄아는 그러한 남성다운 감성이 늘 저를
감동으로 몰고 갑니다.
그러한 독일다움은 mb든 비머든 아우디든 폭스바겐이든 간에
같은 감성이라고 생각됩니다. 저 역시 그러한 올드카에 매료되서
제차를 팔라는 (그것도 시세의 거의 두배를 부르는데도 불구하고)
팔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가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2007.05.15 11:40:56 (*.211.109.189)

최근의 독일차들도 저때와같이 우직하게 만들지 궁금하네요..
왠지 최근에와서는 '장인정신' 보다는 '장사'에 더 신경을쓰는듯한 느낌이 들어서요...
왠지 최근에와서는 '장인정신' 보다는 '장사'에 더 신경을쓰는듯한 느낌이 들어서요...
2007.05.15 20:50:13 (*.115.56.150)
역시 쇳덩이는 독일이 최고라는 찬사가 맞는것 같군요 특히 열처리는 최고라 들었습니다
참행복한 소중한 경험을 하셨군요 돈주고도 못하는건데,,,
참행복한 소중한 경험을 하셨군요 돈주고도 못하는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