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루마니아 정부 대우車매각 추진… GM 인수 유력
한국 공장은 수출 없는 '반조립' 생산 기지 가능성
미국 GM 본사가 한국의 GM대우를 유럽, 아시아 등 해외공장의 하청 기지로 활용하는 것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루마니아 정부가 추진하는 현지 대우자동차에 대한 공개 매각에 GM과 포드 등 2개사가 구매 의향서를 제출했으며, GM이 가장 유력한 인수자로 떠오르고 있다.
GM은 루마니아 대우차 인수시 GM대우가 한국에서 만드는 경차 마티즈의 시보레 모델인 ‘스파크’와 ‘칼로스’를 비롯 유럽 공략용 ‘오펠’ 설비를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GM은 특히 루마니아 공장에서 생산중인 마티즈와 시엘로, 누비라 등 3개 모델을 GM대우의 라세티, 토스카, 윈스톰 차종으로 교체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이 같은 방안이 현실화할 경우 GM대우는 GM의 글로벌 공장 전략에 따른 단순 하청기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 경우 GM대우는 아시아, 남미 등등
신흥시장을 겨냥한 중·소형차 생산기지로 국한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GM대우는 내수 시장에서만 대우차로 판매될 뿐 해외에선 GM 브랜드인 시보레 등으로 판매되며, 그나마 완성차 형태가 아닌 반조립생산(KD) 방식으로 수출되고 있다.
KD 수출차량의 제조지역은 현지 국가명을 따서 표기되며 GM대우 생산차량에서 ‘메이드 인 코리아’는 국내에서 생산된 완성차에만 붙여진다.
즉 한국에서 만들어 놓고도 메이드 인 코리아를 붙이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GM대우의 2006년 수출물량 139만7,487대 중 KD방식의 수출은 75만8,658대로 국내에서 완성차 형태로 수출한 63만8,829대를 앞질렀다.
전체 수출량 중 KD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54%로 KD 수출이 절반을 넘기기는 처음이다. 2005년에는 전체 수출량 104만9,833대 중 완성차가 54만2157대, KD가 50만7676대로 KD비중은 48%에 그쳤었다.
이는 중국계가 대주주인 쌍용자동차와 비교할 때도 차이가 많다. 쌍용차는 2006년 수출물량 6만5,249대중 8%인 5,214대만 KD로 수출했었다. 르노삼성은 KD수출물량이 거의 없다.
현대차도 지난해 전체 수출물량 178만3,291대에서 KD비중은 9.25%인 16만5,023대에 불과했다. GM대우의 완성차와 KD 물량의 역전 현상은 한국을 기반으로 한 GM대우의 생산기지 역할이 크게 축소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GM은 아예 GM대우에서 대우 브랜드를 없애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GM은 국내에서 대우브랜드가 차량 판매에 도움을 주지않는다고 판단, 사내외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결정할 방침이다.
GM대우 관계자는 이에대해 “GM이 루마니아 대우차 인수를 추진하고 있지만 국내 생산시설 이전 등의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확정치 않은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
출처: 한국일보
------------------------------------------------------------------------------
삼성브랜드도 없어진다 하고 대우브랜드도 없어질거 같고....곧 삼성, 대우, 쌍용 공장 옮기겠구.....
현대가 과점이 아닌 독점을 할 날도 멀지 않았군요.....
그 현대마저 일본과 유럽차에 치여서 인수합병당한다면........
영국처럼 되겠군요; 문제는 영국처럼 모터리제이션이 발달되지 않았으니...차값의 대폭인상...
앞으로 2~30년후에는 차를 가지고 다니는게 다시금 사치가 되는 날이 올거 같습니다....더더더덜
한국 공장은 수출 없는 '반조립' 생산 기지 가능성
미국 GM 본사가 한국의 GM대우를 유럽, 아시아 등 해외공장의 하청 기지로 활용하는 것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루마니아 정부가 추진하는 현지 대우자동차에 대한 공개 매각에 GM과 포드 등 2개사가 구매 의향서를 제출했으며, GM이 가장 유력한 인수자로 떠오르고 있다.
GM은 루마니아 대우차 인수시 GM대우가 한국에서 만드는 경차 마티즈의 시보레 모델인 ‘스파크’와 ‘칼로스’를 비롯 유럽 공략용 ‘오펠’ 설비를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GM은 특히 루마니아 공장에서 생산중인 마티즈와 시엘로, 누비라 등 3개 모델을 GM대우의 라세티, 토스카, 윈스톰 차종으로 교체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이 같은 방안이 현실화할 경우 GM대우는 GM의 글로벌 공장 전략에 따른 단순 하청기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 경우 GM대우는 아시아, 남미 등등
신흥시장을 겨냥한 중·소형차 생산기지로 국한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GM대우는 내수 시장에서만 대우차로 판매될 뿐 해외에선 GM 브랜드인 시보레 등으로 판매되며, 그나마 완성차 형태가 아닌 반조립생산(KD) 방식으로 수출되고 있다.
KD 수출차량의 제조지역은 현지 국가명을 따서 표기되며 GM대우 생산차량에서 ‘메이드 인 코리아’는 국내에서 생산된 완성차에만 붙여진다.
즉 한국에서 만들어 놓고도 메이드 인 코리아를 붙이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GM대우의 2006년 수출물량 139만7,487대 중 KD방식의 수출은 75만8,658대로 국내에서 완성차 형태로 수출한 63만8,829대를 앞질렀다.
전체 수출량 중 KD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54%로 KD 수출이 절반을 넘기기는 처음이다. 2005년에는 전체 수출량 104만9,833대 중 완성차가 54만2157대, KD가 50만7676대로 KD비중은 48%에 그쳤었다.
이는 중국계가 대주주인 쌍용자동차와 비교할 때도 차이가 많다. 쌍용차는 2006년 수출물량 6만5,249대중 8%인 5,214대만 KD로 수출했었다. 르노삼성은 KD수출물량이 거의 없다.
현대차도 지난해 전체 수출물량 178만3,291대에서 KD비중은 9.25%인 16만5,023대에 불과했다. GM대우의 완성차와 KD 물량의 역전 현상은 한국을 기반으로 한 GM대우의 생산기지 역할이 크게 축소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GM은 아예 GM대우에서 대우 브랜드를 없애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GM은 국내에서 대우브랜드가 차량 판매에 도움을 주지않는다고 판단, 사내외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결정할 방침이다.
GM대우 관계자는 이에대해 “GM이 루마니아 대우차 인수를 추진하고 있지만 국내 생산시설 이전 등의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확정치 않은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
출처: 한국일보
------------------------------------------------------------------------------
삼성브랜드도 없어진다 하고 대우브랜드도 없어질거 같고....곧 삼성, 대우, 쌍용 공장 옮기겠구.....
현대가 과점이 아닌 독점을 할 날도 멀지 않았군요.....
그 현대마저 일본과 유럽차에 치여서 인수합병당한다면........
영국처럼 되겠군요; 문제는 영국처럼 모터리제이션이 발달되지 않았으니...차값의 대폭인상...
앞으로 2~30년후에는 차를 가지고 다니는게 다시금 사치가 되는 날이 올거 같습니다....더더더덜
2007.06.19 04:27:55 (*.208.83.240)

이탈리아에서 MATIZ 는 이미 Chevolet의 마크를 달고 판매 티비 광고 까지 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 동네 환경 기준때문에 GPL 까지 달아서 판매가 시작 되었습니다.
이탈리아 북부쪽의 도시는 매달 마지막 주는 아예 자동차가 시내 주행이 금지 됩니다.
한국과는 도시의 형성이나 규모가 틀려서 가능한 일이지만 한국도 한번 생각해 봐야 되지 싶습니다. 앗.. 얘기가 옆으로 샜네요..
하여튼 더 이상 이탈리아 시장에서 DAEWOO 자동차는 없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이 동네 환경 기준때문에 GPL 까지 달아서 판매가 시작 되었습니다.
이탈리아 북부쪽의 도시는 매달 마지막 주는 아예 자동차가 시내 주행이 금지 됩니다.
한국과는 도시의 형성이나 규모가 틀려서 가능한 일이지만 한국도 한번 생각해 봐야 되지 싶습니다. 앗.. 얘기가 옆으로 샜네요..
하여튼 더 이상 이탈리아 시장에서 DAEWOO 자동차는 없다는 것입니다.
2007.06.19 08:24:30 (*.195.20.252)

저희 회사와 연관이 있는내용이군요..
다른곳을 찾아봐야 하나....ㅡ.ㅡ;;;
GMDAT의 경우 소형차 세그먼트 개발본부로 만든다고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대형에 비해 소형쪽이 대우에서 제작한 제품들이 반응이 괜찮았던 모양이더군요.
칼로스나 마티즈 후속을 GMDAT에서 개발하는걸로 압니다.
물론 구매를 결정하는 바이어는 오펠이나 GM에서 오더군요.
다른곳을 찾아봐야 하나....ㅡ.ㅡ;;;
GMDAT의 경우 소형차 세그먼트 개발본부로 만든다고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대형에 비해 소형쪽이 대우에서 제작한 제품들이 반응이 괜찮았던 모양이더군요.
칼로스나 마티즈 후속을 GMDAT에서 개발하는걸로 압니다.
물론 구매를 결정하는 바이어는 오펠이나 GM에서 오더군요.
2007.06.19 09:29:45 (*.149.162.28)

정기적으로 나오는 '하청공장 전락' 뉴스가 이번에도 잊지않고 보배드림에 뜨더군요. 회사의 장기 계획을 조목조목 밝혀서 한가지면만 보는 사실적이지 못한 기사라고 얘기하고 싶지만, 회사 보안규정에 걸려 짤리기도 싫고... 직장인은 답답합니다.
GM은 항상 GMAP, GMNA, GME, GMLAAM의 각 지역별 포트폴리오를 유기적으로 변화시킵니다. 이러한 포트폴리오 변화 중에서 물량을 줄이는 것만 쉽게 노출되니 수출이 사라질 것이다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다른 제품으로 다른 곳에 수출을 계속 하게되는 것은 관련된 부서에서만 업무를 진행하고 있기때문에 많은 직원들도 모를 수가 있기때문이지요. 예를 들어, 유럽 이머징 마켓 포션을 줄인다면 그만큼 유럽의 선진 시장 포션이 늘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사람들에게는 네가티브한 것이 임팩트가 더 있다보니 안 좋은 면을 부각시키기가 더 쉽다고 보네요. 한가지를 덧붙이자면, 새턴 스카이에 GM대우 엠블렘과 G2X 레터링을 붙여 한국으로 수출하는 GMNA나 스테이츠맨을 수출하는 홀덴을 GM대우의 하청업체라고 부르지는 않지요. 오펠에서 홀덴에 수출한다고 오펠이 하청업체겠습니까? GM 내부의 방식이 다른 곳과 다른 것을 기자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현재 GM대우는 주문량이 생산량을 넘쳐나서 저같은 엔지니어나 현장의 생산직 모두가 죽어나고 있습니다. 집에 가고 싶어요... 엔지니어들은 어떻게던 생산량을 늘리려고 밤늦게까지 고민하고 생산직분들은 야근과 주말특근에 쉴 쉬간도 없이 일을 하고 있지요. (현대 노조에서 방문한 노조 대표들이 우리 회사 노조 대표들 보고 왜이렇게 열심히 일을 해주냐 물었다고 노조에서 유인물도 만들더군요) 생산뿐만이 아니라 GM대우가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신규 아키텍쳐(플랫폼보다 광의의 개념)도 여러 세그먼트가 있으며,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왠만하면 이곳 테스트드라이브에서만큼은 어디가 좋네마네하는 편파적인 얘기는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자기가 일하는 회사에 자부심을 갖고 있는 엔지니어의 한명으로서 세상의 작은 편견을 바꾸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글을 올리니 회원분들의 많은 양해를 구합니다.
GM은 항상 GMAP, GMNA, GME, GMLAAM의 각 지역별 포트폴리오를 유기적으로 변화시킵니다. 이러한 포트폴리오 변화 중에서 물량을 줄이는 것만 쉽게 노출되니 수출이 사라질 것이다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다른 제품으로 다른 곳에 수출을 계속 하게되는 것은 관련된 부서에서만 업무를 진행하고 있기때문에 많은 직원들도 모를 수가 있기때문이지요. 예를 들어, 유럽 이머징 마켓 포션을 줄인다면 그만큼 유럽의 선진 시장 포션이 늘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사람들에게는 네가티브한 것이 임팩트가 더 있다보니 안 좋은 면을 부각시키기가 더 쉽다고 보네요. 한가지를 덧붙이자면, 새턴 스카이에 GM대우 엠블렘과 G2X 레터링을 붙여 한국으로 수출하는 GMNA나 스테이츠맨을 수출하는 홀덴을 GM대우의 하청업체라고 부르지는 않지요. 오펠에서 홀덴에 수출한다고 오펠이 하청업체겠습니까? GM 내부의 방식이 다른 곳과 다른 것을 기자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현재 GM대우는 주문량이 생산량을 넘쳐나서 저같은 엔지니어나 현장의 생산직 모두가 죽어나고 있습니다. 집에 가고 싶어요... 엔지니어들은 어떻게던 생산량을 늘리려고 밤늦게까지 고민하고 생산직분들은 야근과 주말특근에 쉴 쉬간도 없이 일을 하고 있지요. (현대 노조에서 방문한 노조 대표들이 우리 회사 노조 대표들 보고 왜이렇게 열심히 일을 해주냐 물었다고 노조에서 유인물도 만들더군요) 생산뿐만이 아니라 GM대우가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신규 아키텍쳐(플랫폼보다 광의의 개념)도 여러 세그먼트가 있으며,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왠만하면 이곳 테스트드라이브에서만큼은 어디가 좋네마네하는 편파적인 얘기는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자기가 일하는 회사에 자부심을 갖고 있는 엔지니어의 한명으로서 세상의 작은 편견을 바꾸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글을 올리니 회원분들의 많은 양해를 구합니다.
2007.06.19 10:18:08 (*.227.22.57)

대우 공장 앞 아파트에 삽니다;
잠안오는 밤에 끊임없이 생산라인에서 나오는 차량 댓수며
아침에 일어나 뒷베란다에서 보이는 공장내의 넓은 주차장에 꽉찬 자동차를
보면 저런 기사는 함부로 쓰진 못하지 않나 합니다.
주헌님 좋은 글 잘봤습니다 ^^
잠안오는 밤에 끊임없이 생산라인에서 나오는 차량 댓수며
아침에 일어나 뒷베란다에서 보이는 공장내의 넓은 주차장에 꽉찬 자동차를
보면 저런 기사는 함부로 쓰진 못하지 않나 합니다.
주헌님 좋은 글 잘봤습니다 ^^
2007.06.19 13:53:45 (*.35.74.68)

KD는 물류비 절감이나 관세장벽 타개를 위한 수단으로 많이 쓰입니다. KD 수출도 엄연히 수출이고, KD 생산을 위해 만들어지는 차들도 모두 GM대우에서 설계한 차들입니다. GM대우의 한국내 공장이 다른 나라 GM 계열사에서 개발된 차를 KD 생산한다면 모를까, 하청공장 운운 하는 것은 지나친 과장입니다. 기사대로라면, 루마니아 현지공장(구 로대)의 GM매각은 'GM의 루마니아 현지 하청공장화'가 포인트가 되어야겠지요. 그리고 자동차 산업기반이 부족한 나라에서 KD생산은 산업발전과정의 필수적인 수순입니다. 글로벌 메이커인 GM이 루마니아에 투자를 하는 셈인데, 아마 루마니아 정부는 오히려 이런 과정을 반길 것입니다. 그래서 한국의 GM대우의 기술력이 유출되나요? 생산효율이 떨어지나요? 브랜드 가치가 떨어지나요? '반조립 하청공장화'라는 이론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이야기입니다. 결론적으로, 짧은 식견으로 쓴 기사이거나, 광고가 관련된 '기획'기사입니다.
2007.06.19 15:14:48 (*.208.83.240)

GPL 은 LPG 를 얘기하는 겁니다. 이탈리아어 어순 때문에 GPL 로 표기 됩니다..
한국에서도 경차에 LPG 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던데 이미 이탈리아에서는 시판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경차에 LPG 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던데 이미 이탈리아에서는 시판되고 있습니다.
2007.06.21 12:08:58 (*.64.62.191)

하청업체로 전락하든 하지않든 소비자들에게 별 상관 있을까요?
연장선상에서 생각하면 '자국 브랜드의 자동차 회사가 없어도 괜찮다'가 제 생각입니다.
자국 메이커가 없는 이곳 캐나다에서 소비자 주권중의 하나인 선택의 자유를 한국보다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데서 오는 회의감입니다.
도로위에서 언제나 똑같은 차들만 보는데 지친 분들이라면 동감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가는곳마다 소나타, 현대차 지겹지 않나요?
국내에서는 고가 승부를 펼치는 현대가 해외에서는 저가에 거의 무제한에 가까운 워런티를 보장하는 모습을 보면서, 말레이시아보다 못한 모터스포츠 현실을 보면서
차라이 메이커가 없었더라면 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연장선상에서 생각하면 '자국 브랜드의 자동차 회사가 없어도 괜찮다'가 제 생각입니다.
자국 메이커가 없는 이곳 캐나다에서 소비자 주권중의 하나인 선택의 자유를 한국보다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데서 오는 회의감입니다.
도로위에서 언제나 똑같은 차들만 보는데 지친 분들이라면 동감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가는곳마다 소나타, 현대차 지겹지 않나요?
국내에서는 고가 승부를 펼치는 현대가 해외에서는 저가에 거의 무제한에 가까운 워런티를 보장하는 모습을 보면서, 말레이시아보다 못한 모터스포츠 현실을 보면서
차라이 메이커가 없었더라면 이라고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