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아래에 오토밋션의 아쉬움을 올리신글 보면서, 이런저런 생각이 나 정리해 봅니다.
저또한 새로운 차 입양을 앞두고, 밋션방식땜에 살짝 고민했던 터라..
길에서 고성능 차량이나 그럴듯하게 튜닝된 차를 만나면, 상대오너에게 부러운 시선을 들키지않게 슬쩍 훔쳐 보고 지나치게 되는데.. (GTR35 나 무르쉬, 카레라GT 를 만나도 무관심한 척 ㅋ) 그다음에 쭈욱~ 달리는 상대차의 배기음이, 웅우웅~ 하면서 오토밋션 변속음이 들리면 실제로 확~무관심해지기 일쑤입니다. 애초에 오토방식이라도 안정적인 토크와 출력에 대응한 모델의 경우는 다르지만.. 수동이 활성화되어있는 차종임에도 밍기적 거리는 변속음이 들리면, 일단..오너의 수준을 좀 아래로 보게 된다는 거죠.^^
동료들에게는 오토방식도 나름 재미있으니 만족함서 타~" 라 말하긴 하지만, 솔직히.. 한대만을 선택해야 하는 입장에 자신을 대입해보면, '어우..니글니글해..' 란 느낌이 망설이게 합니다만.. 근간의 고성능 오토방식 차는 좀 다른거 같습니다. 몰아본 차들로 보면, 200 마력대 크로스파이어, A4, A6, 베엠베, 벤츠C클과 SLK, 엑시지, 렉서스나 인피니티 각 차종들이 있고.. 300 마력대 E46M3 나 G35/37 란에보, 젠쿱, 포르쉐/박스터/카이맨 등등.. 400 마력대, RS4, 콰트로포르테나 E92M3, SRT 시리즈, XF, 760 등등.. 500 마력대 이상은, S600 과 신형760, RX7 튠카와 컨티넨탈GT, AMG 시리즈,포르쉐와 카이엔터보 정도 경험해 봤습니다. 나열하다 보니 그래도 꽤 타봤네욤.ㅎ
통상적으로 200 마력대 부근까지는 스틱이 우월하고, 효율성과 감성이 우위라는 생각이고.. 250 마력대부터는 오토방식이 여러모로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팁트로닉(통상의 오토스틱방식을 말함) 업다운시프트의 다이나믹한 느낌이나 코너직전의 감속안정감 등등을 보면.. 고성능으로 갈수록 집중하기가 좋고, 토탈 드라이빙 효율성으로 볼때 실보다 득이 많은 듯 합니다. 300 마력 이상의 차를 업다운 시프팅 하면서, 적절한 액셀링과 레브매칭을 활용한다는게.. 일반적인 잠깐 드라이빙에선 가능하지만, 지구력을 필요로하는 서킷이나 와인딩에선 실수율이 높아진다는 것이죠. 토크가 높은 400 마력 이상에선 한방에 클러치셋이 가버릴수도 있고..
요즘의 200 마력 이하 차량에 적용되는 오토방식 밋션도, 5단 6단이 적용되고 합리적인 로직이여서 수동에 별 부러움없이 운전할 수 있게 점점 진화되는듯 합니다. 수동밋션의 원초적인 기계감은, 저 출력 차량들을 통해 즐기는게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E46 M 을 타던 후배(제자 이곳회원)하나가.. 제가 시운전 하는동안 옆에서 하는 말이, " 이 차 수동으로 타는 사람들 옆에서 보면 안쓰러워요. 빠른 속도 감속하느라 스티어링 허우적거리면서 매번 힐앤토는 꼭 쓰려고 버벅거리는게.. 하나도 멋있어 보이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전 SMG 로.."
물론.. 이러한 생각의 변천과정은 풍부한 직간접 경험을 필요로 한다고 봅니다.
수동을 능숙하게 운전하는 능력은, 드라이버 지향의 모터라이프에 로망이긴 하지만.. 합리적인 로직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있는 시점에서 어찌보면.. 밋션방식에 절대적인 집착은 과연 필요할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레이스에서만은 끝까지 수동으로 가겠지..라 생각했지만, 요즈음 대부분의 투어링카와 랠리카, 포뮬라머쉰들은 거의 다 시퀀셜이나 오토방식으로 하고있습니다. 꼭 빠른 운전만을 추구하지 않더라도, 오토와 수동의 구분은 절대적인 영역에서 조금씩 오버랩 되는게 자연스럽다는 생각을 합니다.
얼마전 수동만 운전해봤던 국민마력(300 마력대) 국산 쿱을 오토로 시운전 해봤는데.. 우려했던 바와 달리, 스트레스 없이 나름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을거 같아, 오토로 결정하고 계약 했습니다. 좋은 가격메리트가 있어서이기도 했지만.. 구린 이엡S 가 있으니 갈증해소엔 문제없을 듯 한게 위안도 되어 그런거도 있지만..ㅋ 암튼..이러한 선호도가 억지로 설득이나 공감될 수 없다는 사실은 당연하다 보는데, 절대적인 펀드라이빙의 기준으로 보진않아도 되지않겠나..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가끔.. '수동=드라이버의 우월성'이 넘 강조되다보니, 오토드라이버 분들이 회의나 위축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합리화 시켜 봤습니다.ㅎ 결론은.. 오토방식 밋션도 충분히 재미있고, 가치있는 놀잇감(?) 이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깜장독수리..
젠쿱을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저는 생각할것도 없이 수동을 골랐습니다만 난이도가 상당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 차를 3번정도 타니까 시동 안 꺼트리고 출발하는게 가능 했었죠. 미션 자체는 오토 미션이 더 좋더라구요. 제 스킬 부족인지 모르겠지만 퀵 쉬프팅이 잘 안되고 정지시 클러치 밟을때 간혹 충격도 생기고... 달리면 하자 있는건지 확인 할수 있다는데 조만간 확인 해볼 생각입니다.

타시다보면 클러치도 적당히 마모되면서 그런 현상 많이 감소합니다.
물론 몸이 적응되는 이유가 가장 크겠지만요.
그리고 퀵쉬프팅은 앞서드린 이유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각 부품들이 마모(?)가 좀 되면, 무난히 됩니다.
1단을 제외하고는 클러치 페달은 진짜 살짝만 걸치듯이 밟으시면 되구요.(대신 2단은 왠만해서 좀 깊게 밟는편이 변속 충격 덜합니다.)
정지시 클러치 밟을때 간혹 충격이 생기는건, 제 경험상 젠쿱이외의 다른 후륜 수동차도 마찬가지였던 것 같습니다.
(특히 FR차의 엔진과 미션의 배치상 기어 레버가 케이블 타입이 아닌 로드(직결)타입인 점을 상기하시면 작게나마 도움이 되실듯..)
헉...
수동의 우수함을 드높이고 오토는 아줌마나 줘버려라...는
조목조목 논증으로 강력하게 설파하셔야할 분께서...
마른하늘에 오토예찬?...이시라뇨!!!

요즘같이 미션의 기술이 발달된 시기에 수동은 기술적으로 이미 옛것이 되어버린 거 같네요. 변속속도도 수동보다 시퀙셜이 빠르고 레브 매칭도 tcu가 똑똑해 져 정말 적절히 잘 맞춰주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변속이 조금 느릴지라도 힐앤토 실수로 변속미스가 나더라도 다이나믹한 운전 감성은 수동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 아마 먼 미래에 동공의 초점을 감지해 자동 핸들링해 주는 시스템이 나오더라도 아날로그적 행위의 감성이 만들어 주는 부분은 계속 매니아들의 사랑을 받을 것 같네요.^^

떱.. 어찌보면.. 변속이라는 행위를 드라이빙 행위로 포함하지 않는다면 오토또한 즐거운 드라이빙 느낌을 주는데는 손색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변속 및 동력 전달의 시점 등등을 드라이빙의 즐거움 중에 하나의 행위로 본다면. 역시나 약간의 손해나는 느낌은 지울 수 없긴 하더군요.
저는 S2000 수퍼차져 300 마력 중급, 수동에서 400 오버 오토, 콜벳 C6 로 넘어왔는데.. 거의 일상적인 펀 드라이빙은 만족합니다만. 가끔 수동의 다이나믹함이 좀 떨어지는 느낌이 들어서 쉬프트 레버를 만지작 거리기는 합니다.
오토도 즐겁기는 합니다만, 차의 성격 차이인지 아니면 오토와 수동의 차이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다이나믹한 느낌은 사실 S2000 수동이 훨씬 좋았던거 같습니다. 요즘은 다이나믹한 운전보다는 언제나 튕겨나갈 수 있는 엄청무식한 힘에서 비롯되는 여유로움을 즐긴달까... 그래서 그런지 손에 땀을쥐는 드라이빙은 이제 저 넘어로...
이상하게도 바디의 움직임이나 무게이동 이런 측면은 S2000 만큼이나 날카롭고 정돈된 느낌이 분명히 나는데.. 다이나믹한 느낌이 좀 약합니다. 분명 몸놀림에는 불만이 없는데 말이죠... 이게 아마 수동레버를 조작하던 손이 자유로와지면서 생기는 공허함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250마력 대 부터는 진짜로 오토가 효율 적입니다. 저도 S4를 모는데 출력이 270마력입니다. 역시 수동은 승용차가 아니라 스포츠에 중점을 둔 차에 달아야 한 다는 생각이 듭니다. 맨 처음에 클러치 적응 훈련 힘들었죠. 클러치가 뻑뻑해서 불편하기도 했는데, 이제 익숙해 지고 잇습니다.
음. 아우디 클러치가 뻑뻑한가요. 편한편이던데말이죠.
전 300마력대 차 두대 200마력대 차 한대 모두 수동을 탔습니다만
그정도의 마력에 오토가 효율적인지는 전혀모르겠네요.
편함을 이야기 하자면 당연히 오토지만
효율성을 이야기 하자면 과연 무엇이 효율적인가에 대해선 판단할수 없습니다.
300마력이라면 충분히 빠르고 게다가 충분히 콘트롤할수 있는 마력이라 생각합니다.
허둥대지 않아도 충분히 업시프트 다운시프트 원하는대로 빨리할수 있는정도의, 딱 그정도의 가속력입니다.
500마력대는 솔직히 변속이 버겁다고 느꼈지만 270마력정도는 수동이
궂이 효율이 떨어진다고 말할수 없는 정도의 가속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수동을 제대로 몬다는 전제 하의 이야기 입니다만^^
수동미션을 포기하기 힘든 이유는 빠른 가속을 위함이 아니라...
직결감과 rpm을 원하는 상황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즐거움 때문이지요.
출력과 관계없이 수동이 즐거운 이유는 그것에 있다고 여겨서.. 수동이 없어지면 어떡하나 노심초사 하고 있습니다.

전에는 수동이 성능도 좋고, 재미도 재미지만
가격, 정비, 연비의 경제적인 측면이 우위에 있었는데
몇년전부터 이미 수동T/M은 그나마 장점이던 경제성도 별로 없고, 성능도
토크컨버터 기반의 오토매틱 대비 떨어지는 경우도 생긴데다가....
DCT 계열 미션의 양산화로....거의 이성적으로는 사장 되어야 하는 아이템이 된것 같습니다.
카메라는 수동이 사진이라도 잘 나오는데 말이죠....ㅡ.ㅡ+
그래도 아주 좋은 오토매틱을 운전하더라도 수동 T/M을 제대로 다룰줄 알았던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기계적인 이해도에서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며
결정적으로 재미라는 측면에서는....넘사벽이란 생각입니다....^^;

움.. 약은 취침전, 아침 식전, 매끼니 후.. 중간에 알마겔등의 액체약을 꾸준히 챙겨먹는데요.
얼마전 기사중.. 협심증이나 미만성식도염(비슷한 증상의)통증시.. 니트로글리세린을 공동 복용하기도 한다..는 정보를 보고, 아침 출근때 운전중 통증이 심하면 혀밑에 하나씩 녹여 섭취합니다. 신기한건.. 세브란스의 주치의와 동네 주치의 선생이 니트로글리세린이 심혈관계 뿐 아니라, 역류성 식도염에 완화효과가 있다는걸 모르고 계시더군요. 심한 통증시 혀밑에 넣음.. 두시간 정도 지속적으로 통증이 사라집니다. 갸우뚱 하면서 처방해 주더라는요..
용준님이 제약회사쪽에 근무하시는가봐요?
처방전 보고 공부좀 해볼게요~ 관심 고맙고..^^

아... 드리프트 연마하시기엔 안 되는 테크닉들이 많아서 만족 못하실 듯합니다. 쉬프트 락으로 미끄러트리는 거나 사이드 땡길 때 클러치 끊어주는 것 등등
그래도 깜독님 출중한 실력에 젠쿱 3.8 오토면, GT-R이고 포르쉐고 다 이기실 겁니다. ^^
이엡군에 비해서 가속 능력이 크게 차이나니깐 꼭 앞 브레이크 패드는 옐로스텁 같은 거 쓰세요~

진짜..안되는게 줌 있겠네요. 다행이 퍼포먼스 개념 드리프트는 관심이 없습니다. 김연아 피규어스케이팅을 넘넘 좋아하지만.. 제가 스케이팅 할땐 스피드스케이트만 탈것 같아요. 타이어 아까워서..ㅋ FF 잔재주 경우는 90~180도 스핀턴이나 360 도 720 도 회전때 잠시도 동력을 끊지 않는데.. FR은 동력을 끊어야 하나요?
제 배틀기에서의 표현은, 실화에 기초한 흥미위주의 에피소드와 스토리일 뿐입니다.
설마 데이타 다큐개념으로 보시는건 아니죠? ^^
브레잌 패드 정보.. 고마워요. 어떤 브레이크도 믿진 않지만.. ㅋ

낮은 스펙의 차량에서는 수동 변속기가 여러 모로 유리하죠. 사실 제가 수동을 타는 이유는 수동 차량이 지니는 더 높은 스포츠성 때문이라기 보단 최신형 자동변속기의 변속 로직과 반응을 사람이 조작하는 수동 차량과 비교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감성적으로 접근하면 볼 것도 없이 수동이죠!!
자동 산 덕분에 터보, 배기 그 어떠한 작업도 못하는 저도 있는데요 뭘~
이제 저도 정말 재미없는 카라이프 끝내야 할텐데요..
제 차를 100% 수동일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 덕분에 얼굴이 붉어질 때가 한 두번이 아니랍니다.
자의 반/타의 반 매니아라고 인식되는 사람들(저는 아닌 듯^^)은 앞뒤 안 보고 수동을 사야 합니다!!

전 단순히 '전투력'과 '효율'측면에서만 접근해선지..
조금 더 빠를 수 있다면 오토건 수동이건 상관없다 생각합니다.
오토에서 수동으로 넘어왔던 시절도,
'파워 로스'가 조금 더 적고, '변속 속도'를 더 빠르게 가져갈수 있다는 이유라서..
(덕분에 변속 빨리 하는 것에 목 매고 연습했던 초창기 기억이 납니다)
지금와서 만약 더 빠르게 변속해주고 파워 로스도 적은 오토가 있다면,
저라면 그냥 오토를 택할듯 합니다.. 스티어링에만 집중할수 있는 팔과,
두개의 페달에만 두 발을 집중시킬 수 있다면 아무래도 효율은 높으니까요 ^^
(젠쿱 3.8 의 오토가 수동버젼에 비해 괜찮긴 했는데요)
이익렬님은 뵌 적 없지만, 평소 쓰시던 글에서 풍기는 이미지와 달리 차량 구매는 오토를 하셨네요... **;;;
오토 대비 수동의 장점(유지비, 연비, 속도, 재미, 구입시 가격)은 점점 격차가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
이젠 수동도 기능적인 효율보다는 각각의 기호에 의하여 구입하지 않을까 합니다. 남이 만들어 준 것보다
좀 더 자신의 의지를 많이 반영할 수 있는 기계라는 측면에서요.

수동 밋션이 주는 즐거움이 있고 오토 밋션이 주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지금껏 운행한 차량중엔 오토 밋션은 포텐샤 한대 뿐이군요 아니 포텐샤만 오토 입니다..
뉴그렌져 역시2.0 이라 수동을 구입했었구요
하지만... 일상적인 드라이빙에서는 아무런 관계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수동탈때 쓰던 힐앤토 오토타니가.. 편해지더군요... 그냥 브레이크 한번에 끝 이 나니까요..
물론 배기량 증가에 인한 파워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지다보니..작은 배기량탈때와는 다르게.. 쥐어짜야만? 하는
고통이 없어지다 보니 더욱 편한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 당장 한가지 아쉬운점은...드리프트 연습때 이지만.. 워 그건 상황이 그런지라 그런가 보다 하고 패스 합니다...
하지만 저역시 2000cc 급 미만의 차량이라면 혹은 엔진마력200 미만 의 차량을 구입한다면..
다시 수동밋션을 구입할확율이....100% 입니다...
밋션 방식에 구에받지 않고.. 즐겁운 드라이빙을 한다면 그게 더 좋은 일 아닐까요? ^^
음.. 하면서 읽고 있었는데....
헛! 연두색 젠쿱 오토로 구입하셨나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