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투스카니 2.x 를 타고 있습니다.^^
- 순정 타이어로 16,17인치가 있는데,
현재 215/45/17 순정 규격의 V4ES를 쓰고 있습니다.
- 휠은 순정
- 서스는 빌스타인오리지널+아이박스포츠스프링 입니다.
앞서 몇차례.. UHP 타이어의 공기압 관련된 몇몇 분의 질문이 있었으나,
시원하게 풀린 상태는 아닌 것 같아서..다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질문: 순정 215/45/17의 공기압은 30이 메이커 권장치 입니다.
저는 35정도로 넣다가... 31~32 정도로 맞추었습니다만...
타이어 가게 에서는 그러다가는.. 타이어 벗겨진다고.. 그럽니다.
(약간초보 직원이라서.. 100% 믿고.. 따르지는 않았습니다..ㅋ)
저는 승차감 측면에서.. 31~32 정도의 셋팅에 만족하는 편입니다.
순정타이어의 권장치보다 더 넣었고,
튜닝 서스의 딱딱함에 대한 부담도 덜 수 있는 상태이고 해서요.
1. 더 넣어야 할까요? ^^
2. (아마 더 넣는다는 분이 많으실 것 같아서..)얼마나 더 넣고 타세요? (같은 규격/차종 쓰시는 분들께..^^)
3. 써킷가면 얼마나 넣으면 될까요? (같은 규격/차종 쓰시는 분들께..^^)
미리 감사드리면서~~
좋은 주말 되시길 빕니다.^^
- 순정 타이어로 16,17인치가 있는데,
현재 215/45/17 순정 규격의 V4ES를 쓰고 있습니다.
- 휠은 순정
- 서스는 빌스타인오리지널+아이박스포츠스프링 입니다.
앞서 몇차례.. UHP 타이어의 공기압 관련된 몇몇 분의 질문이 있었으나,
시원하게 풀린 상태는 아닌 것 같아서..다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질문: 순정 215/45/17의 공기압은 30이 메이커 권장치 입니다.
저는 35정도로 넣다가... 31~32 정도로 맞추었습니다만...
타이어 가게 에서는 그러다가는.. 타이어 벗겨진다고.. 그럽니다.
(약간초보 직원이라서.. 100% 믿고.. 따르지는 않았습니다..ㅋ)
저는 승차감 측면에서.. 31~32 정도의 셋팅에 만족하는 편입니다.
순정타이어의 권장치보다 더 넣었고,
튜닝 서스의 딱딱함에 대한 부담도 덜 수 있는 상태이고 해서요.
1. 더 넣어야 할까요? ^^
2. (아마 더 넣는다는 분이 많으실 것 같아서..)얼마나 더 넣고 타세요? (같은 규격/차종 쓰시는 분들께..^^)
3. 써킷가면 얼마나 넣으면 될까요? (같은 규격/차종 쓰시는 분들께..^^)
미리 감사드리면서~~
좋은 주말 되시길 빕니다.^^
2009.03.13 14:35:01 (*.12.196.93)

평소에 하시는 과격한 주행수준에서 타이어 어깨선이 마모가 됩니까? 혹은 타이어 측면까지 닿은 흔적이 있습니까?
하나의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하나의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2009.03.13 14:40:00 (*.248.62.128)

일반 주행에 적합한 공기압은 다음 식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적정 공기압 = 최대 허용 공기압 X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 / 타이어의 최대 하중
참고로, 타이어의 최대 하중은 하중 지수에 따릅니다.
(예, 88 = 560kg, 89 = 580kg, 90 = 600kg 등)
적정 공기압 = 최대 허용 공기압 X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 / 타이어의 최대 하중
참고로, 타이어의 최대 하중은 하중 지수에 따릅니다.
(예, 88 = 560kg, 89 = 580kg, 90 = 600kg 등)
2009.03.13 14:41:47 (*.107.33.194)

같은 타이어 사이즈의 투카입니다. 30에 맞추면 차가 너무 주저앉고 순발력이 나빠지더군요..
36 정도로 맞추고 다닙니다.. 개인적으론 이 정도 공기압이 가장 느낌이 좋아요..
근데 2주정도 타면 한 32정도로 4바퀴 모두 통일되게 줄어들더군요 (더 빠지진않음) -_-;;
그래서 2-3주에 한번식 36정도로 맞춰둡니다...
36 정도로 맞추고 다닙니다.. 개인적으론 이 정도 공기압이 가장 느낌이 좋아요..
근데 2주정도 타면 한 32정도로 4바퀴 모두 통일되게 줄어들더군요 (더 빠지진않음) -_-;;
그래서 2-3주에 한번식 36정도로 맞춰둡니다...
2009.03.13 15:07:22 (*.254.218.61)

감사하다는 말씀을 빠뜨렸네요..^^
윤명근 님, 정한조 님, 김지환 님, 김주영 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다른 분들의 답변 계속~~~~ 환영합니다^^
윤명근 님, 정한조 님, 김지환 님, 김주영 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다른 분들의 답변 계속~~~~ 환영합니다^^
2009.03.13 15:13:20 (*.67.101.80)

BF굿리치의 타이어 엔지니어는 차량중량을 파운드로 계산, 100으로 나눈 것을 기준으로 차량 하중이 무거운 곳엔 +2psi정도 하는 것을 제시하기도 하더군요. 예를들어 제시한 순정 포르쉐 911의 경우 3천파운드이기 때문에 나누기 10한 값에 +2psi를 하고 무거운 쪽에 다시 +2psi를 하라고 조언합니다. 따라서 앞 32psi 뒤 34psi정도를 기준으로 하면 좋다고 합니다. 물론 서스펜션이나 휠 얼라이먼트 등 다양한 조건의 변화에 따라 또 적절한 psi가 달라지겠지요. 이 또한 절대적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제시한 공식)
(Vehicle Weight in lb/100) + 2 psi at heavier end + 2 psi all around if suspension and alignment are stock.
최종적으로 결국 타이어나 자동차회사의 엔지니어가 가장 주장하는 것은 타이어공기압에 왕도는 없다는 것입니다. 각자 운전하는 스타일이 다르고 차량이 다르고 또한 주행하는 길도 다르고 전부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다못해 차종을 달리해서 기아 프레지오~. 이녀석은 권장 공기압이 50을 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 따라서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직접 테스트 해보고 고르라"는 것이었습니다. 메뉴얼 상의 권장 부터 시작하여 직접 스키드 패드 위에서 차를 돌려보고 미끌어트려 보면서 원하는 접지력 수준을 정하고 찾아나가는 것입니다. 무턱대고 이게 맞다더라 저게 맞다더라 하는 것 보다 나은 방법이겠지요? ^^
(제시한 공식)
(Vehicle Weight in lb/100) + 2 psi at heavier end + 2 psi all around if suspension and alignment are stock.
최종적으로 결국 타이어나 자동차회사의 엔지니어가 가장 주장하는 것은 타이어공기압에 왕도는 없다는 것입니다. 각자 운전하는 스타일이 다르고 차량이 다르고 또한 주행하는 길도 다르고 전부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다못해 차종을 달리해서 기아 프레지오~. 이녀석은 권장 공기압이 50을 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 따라서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직접 테스트 해보고 고르라"는 것이었습니다. 메뉴얼 상의 권장 부터 시작하여 직접 스키드 패드 위에서 차를 돌려보고 미끌어트려 보면서 원하는 접지력 수준을 정하고 찾아나가는 것입니다. 무턱대고 이게 맞다더라 저게 맞다더라 하는 것 보다 나은 방법이겠지요?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http://asieml.tistory.com/entry/타이어-공기압-관리 라는 제 블로그 포스트에 달린 댓글과 제 댓글로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
동일 차종도 제가 운행중에 있고, 사이즈도 동일하네요 ^^ 전 (냉간시) 32~34psi 사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스펜션은 투스카니 GTS 용 순정 하드형 서스펜션 및 요코하마 s드라입, k104 혼용 중입니다.
2009.03.13 15:30:37 (*.36.230.139)

본문과 같은 조건이라면 일상생활에서 저는 35 정도로 넣습니다. 그렇다고 35 정도를 가장 선호하는 것은 아니고...자주 넣기 귀찮아서리...카센터 가서 아무것도 안 하면서 공기압만 좀 봐달라고 하는 것도 눈치가 보여서요...그래서 기압계 달린 발펌프는 얼마 못가 게이지가 고장나서 집에 펌프만 세 개...T T...메이드 인 차이나 이제 좀 지겹습니다. 돈 좀 주더라도 제대로 된 걸 사고 싶은데 그런 물품들은 저가공세에 밀려 이미 고사해 버린게 현실이네요.
누가 게이지 정확하고 고장 잘 안나는 프리미엄 발펌프 추천하실 분~
혹은 차량용 저소음 컴프레셔 펌프도 괜찮습니다. 전에 샀던 건 도저히 시끄러워서...
누가 게이지 정확하고 고장 잘 안나는 프리미엄 발펌프 추천하실 분~
혹은 차량용 저소음 컴프레셔 펌프도 괜찮습니다. 전에 샀던 건 도저히 시끄러워서...
2009.03.13 15:45:51 (*.134.203.61)

저는 그냥 발펌프는 싼것 아무거나 쓰고 펜타입으로 맞춥니다. 절대적인 수치는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대적인 수치는 정확도가 매우 뛰어난 것 같습니다.
상대적인 수치는 정확도가 매우 뛰어난 것 같습니다.
2009.03.13 15:51:30 (*.12.196.93)

펌프로 넣는 중에 펌프의 게이지를 본 값과, 펌프를 분리하고 공기압 게이지만으로 잰 값이 다르게 나옵니다. 후자의 값을 기준으로 해야할 겁니다.
저는 일단 좀더 밀어넣은 다음, 게이지로 빼가면서 맞춥니다. 공기압 34로 안산을 타도 접지면이 트레드 패턴을 넘지는 않더군요. 물론 타이어도 XL(extra load)인 215/40R17이라서 사이드월이 강한 편입니다.
저는 일단 좀더 밀어넣은 다음, 게이지로 빼가면서 맞춥니다. 공기압 34로 안산을 타도 접지면이 트레드 패턴을 넘지는 않더군요. 물론 타이어도 XL(extra load)인 215/40R17이라서 사이드월이 강한 편입니다.
2009.03.13 16:19:53 (*.241.151.50)

공기압은 자동차 무게와 관련이 있기에 BF Goodrich 엔지니어의 공식이 마음에 들기는 합니다만, 역시나 타이어의 폭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엔지니어 말대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일단 제일 낮은 온도에서 (주행한 후 적어도 6시간 주차후, 그리고 제일 기온이 낮은 시간/장소 기준으로) 측정을 하고 메이커 권장 기준치가 최소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보통 외부보다 온도가 높은 지하주차장에서 주로 측정을 하기 때문에 메이커 권장치 기준 32psi/29psi인데, 보통 35psi/32psi로 맞춥니다. Tirerack에 따르면 190km/h 이상으로 주행할 경우는 10km/h 증가시마다 1.5psi 압력증가를 하지만 최대 7.5psi까지만 증가시키므로 초고속주행인 경우에는 최대 39.5psi/36.5psi까지도 증가시켜야되네요. 하지만 초고속주행 안하기 때문에 ^^, 그리고 주행을 하면 온도가 올라가면서 압력도 증가하므로 처음부터 아주 높은 압력을 유지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너무 높은 압력이면 다들 잘 아시겠습니다만, 접지력 저하, 타이어 편마모 (중간쪽), 소음/승차감 악화 등등의 문제가 있으니깐요. ^^
2009.03.13 16:22:32 (*.205.3.195)

정비소에 가면 무조건 35로 맞추어 줍니다. 이경우 노면이 조금이라도 안 좋으면 잔진동도 심하고 통통 튀어서,
승차감을 위해서 항상 32로 낮추곤 합니다..^^;
(투스카니 2.0 GTS 순정, 타이어는 17인치 V12evo 입니다.)
승차감을 위해서 항상 32로 낮추곤 합니다..^^;
(투스카니 2.0 GTS 순정, 타이어는 17인치 V12evo 입니다.)
2009.03.13 16:45:42 (*.131.231.68)

요즘 같은 날씨라면 프론트 34 리어 32 정도면 적당할듯 합니다.
어느정도 고속과 와인딩도 받혀주고 승차감도 그나마 좀 살고 말이죠 ^^:;
어느정도 고속과 와인딩도 받혀주고 승차감도 그나마 좀 살고 말이죠 ^^:;
2009.03.13 19:00:14 (*.177.96.161)

승차인원이 많거나 무거운 적재물을 싣지 않은 이상 순정 휠타이어에 메이커 권장 공기압으로 넣으셨을 때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권장 공기압과 타이어 규격을 준수했을 때 순정 휠에서 타이어가 빠지는 일은 생기지 않습니다.
권장 공기압이 30 이라면 30-35psi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혼자 타면서 운행하는 경우 극도로 과격한 스포츠 주행이나 장시간 최고속 주행을 하지 않는다면 공기압을 30으로 맞춰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고속 주행을 하시거나 승차인원이 많을 경우는 34-35psi 면 족할 것입니다.
권장 공기압과 타이어 규격을 준수했을 때 순정 휠에서 타이어가 빠지는 일은 생기지 않습니다.
권장 공기압이 30 이라면 30-35psi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혼자 타면서 운행하는 경우 극도로 과격한 스포츠 주행이나 장시간 최고속 주행을 하지 않는다면 공기압을 30으로 맞춰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고속 주행을 하시거나 승차인원이 많을 경우는 34-35psi 면 족할 것입니다.
2009.03.13 21:00:51 (*.229.107.156)

써스셋이랑 타이어수치로 보니 딱알맞아 보입니다.
절대 안벗겨지리라 봅니다.^^ UHP 타이어 쓰시는 분들은 트레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보이는 사이드월 두께땜에 자세를 위해 단딴하게 공기압을 넣는데, 튠써스의 경우 30 초반정도 psi 가 일반도로에선 적당히 부드러워 좋습니다.ㅋ
에보v12 사이드월이 좀 단단한 편이라면 타시는데 아무이상 없어보입니다. 같은 사이즈에 35 정도 넣고 타보면 조금 단단하게 느껴집니다. 그리고..서킷서 탈때는 40 전후까지 올려주시는게 좋습니다.
절대 안벗겨지리라 봅니다.^^ UHP 타이어 쓰시는 분들은 트레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보이는 사이드월 두께땜에 자세를 위해 단딴하게 공기압을 넣는데, 튠써스의 경우 30 초반정도 psi 가 일반도로에선 적당히 부드러워 좋습니다.ㅋ
에보v12 사이드월이 좀 단단한 편이라면 타시는데 아무이상 없어보입니다. 같은 사이즈에 35 정도 넣고 타보면 조금 단단하게 느껴집니다. 그리고..서킷서 탈때는 40 전후까지 올려주시는게 좋습니다.
2009.03.14 00:21:10 (*.105.193.23)

spt쓰다가 v12로 옮겨왔는데 생각보다 사이드월이 무르네요. spt때는 30~32정도 넣었는데 v12는 35정도로 넣고 있습니다. 조금조금씩 변화를 주어가면서 좋은느낌을 찾아보셔요 ^^
2009.03.15 02:10:01 (*.158.228.2)

2.0 엘리박, 룩손 보강 풀킷, 금호 spt 16"로 하체세팅하며 타고있습니다.
40으로 1년 정도 타고 다니다가(--:) 얼마전부턴 38로 낮춰타고있습니다...
여러 회원분들을 댓글을 보니 제가 약간 오버스럽게 타고 다니는거 같군요..^^;
40으로 1년 정도 타고 다니다가(--:) 얼마전부턴 38로 낮춰타고있습니다...
여러 회원분들을 댓글을 보니 제가 약간 오버스럽게 타고 다니는거 같군요..^^;
2009.03.15 11:18:16 (*.11.225.200)

제경우는 님들이 들으면 뭐라할 공기압 45를 넣고 타고 다녔습니다.써스는 예전 퀘스트 일체형이었습니다.양에 탈을 쓴 늑대를 만들어본다고 순정 스틸휠에 순정타이어만 고집하던 시절 이었습니다.타면서 타이어 이상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항상 정비소 아저씨들이 야단이였죠.그렇게 타다보니 순정타이어를 2만,또는 6개월에 교환하게 되더군요.그시절 같이 드라이빙스쿨하시던분들이 징하다고 했습니다.그덕에 공로에서 재미있는 배틀도 여러건 있었지만요.사실 즐겼던것 같습니다.
2009.03.16 10:35:37 (*.217.77.54)

제 생각엔 답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타이어마다 공기압 세팅이 다르고 본인의 운전스타일에 따라 또 다르기 때문에
가장 좋은 것은 45psi까지 넣어보시고 운전하시면서 조금씩 빼보세요.
그럼 딱 맞는 세팅값이 나올때가 있습니다.
조금은 뻘짓거리 같지만 이게 저는 제일 낫더군요.
타이어마다 공기압 세팅이 다르고 본인의 운전스타일에 따라 또 다르기 때문에
가장 좋은 것은 45psi까지 넣어보시고 운전하시면서 조금씩 빼보세요.
그럼 딱 맞는 세팅값이 나올때가 있습니다.
조금은 뻘짓거리 같지만 이게 저는 제일 낫더군요.
2009.03.16 13:31:04 (*.87.60.117)

공기압비교는 승용차 수준을 가정하고 비교하셔야 합니다. 대형트럭은 120 psi에 맞추고 다닌답니다. (프레지오 말씀때문에 써봤습니다.)
다만 메이커 권장치가 30이고 허용공기압이 51이라면
30이상은 넣어주셔야 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