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언제나 테드에서 대단한 내공을 가진 회원님들에게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저는 애정이 조금 모자란 관계로 별다른 지식이 없네요, 평소 늘 궁금했던 점이 있어 질문해 봅니다.
얼마전까지 94년식 쏘나타2 1.8 수동을 몰다가 친척분께 96년식 쏘나타3 gold를 받아서 타고 있는데 시내 정체 구간(잦은 주행과 정지, 저속구간이 많은 곳)에서 차량이 멈출때 자동기어를 D에 놓아야 할 지 N에 놓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주로 정차시엔 N으로 놓는데 물론 연료를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서 놓는 편입니다. 모 자동차잡지에서도 봤는데 3분 이상의 정차시엔 기어를 N에 두는게 좋다고 하고 그 미만일 경우에는 오토미션의 보호를 위해 그냥 D에 두는게 차량을 위해서 좋다고 하는데 사실 3분이상 가만히 있을 경우는 드물거든요, 대부분 2분~30초 가량 멈췄다가 가기를 반복하는게 시내도로인데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N에 기어를 놓고 기름값을 아끼고 나중에 미션을 교체하는 부담을 지느냐, 그냥 정차시엔 D에 놓고 미션에 무리를 덜 주고 사소한(?) 기름값 정도는 신경을 쓰지 않던가, 솔직히 어떻게 해야할지 많이 궁금합니다.
4만원 주유하고 160km 밖에 달리지를 못하는데(초절정 연비 모드입니다, RPM 2500이하, 거의 2000에 놓죠, 시내에서 어지간하면 70이상 과속은 하지 않습니다. 출발/멈춤시 스무스하게 해서 뒷차들에게 욕도 좀 많이 먹죠) 벌이가 시원찮아 압박이 너무 심합니다.
테드 회원님들의 의견 기다리겠습니다. 굽신굽신...
얼마전까지 94년식 쏘나타2 1.8 수동을 몰다가 친척분께 96년식 쏘나타3 gold를 받아서 타고 있는데 시내 정체 구간(잦은 주행과 정지, 저속구간이 많은 곳)에서 차량이 멈출때 자동기어를 D에 놓아야 할 지 N에 놓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주로 정차시엔 N으로 놓는데 물론 연료를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서 놓는 편입니다. 모 자동차잡지에서도 봤는데 3분 이상의 정차시엔 기어를 N에 두는게 좋다고 하고 그 미만일 경우에는 오토미션의 보호를 위해 그냥 D에 두는게 차량을 위해서 좋다고 하는데 사실 3분이상 가만히 있을 경우는 드물거든요, 대부분 2분~30초 가량 멈췄다가 가기를 반복하는게 시내도로인데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N에 기어를 놓고 기름값을 아끼고 나중에 미션을 교체하는 부담을 지느냐, 그냥 정차시엔 D에 놓고 미션에 무리를 덜 주고 사소한(?) 기름값 정도는 신경을 쓰지 않던가, 솔직히 어떻게 해야할지 많이 궁금합니다.
4만원 주유하고 160km 밖에 달리지를 못하는데(초절정 연비 모드입니다, RPM 2500이하, 거의 2000에 놓죠, 시내에서 어지간하면 70이상 과속은 하지 않습니다. 출발/멈춤시 스무스하게 해서 뒷차들에게 욕도 좀 많이 먹죠) 벌이가 시원찮아 압박이 너무 심합니다.
테드 회원님들의 의견 기다리겠습니다. 굽신굽신...
2009.03.15 19:15:35 (*.55.130.135)
N과 D에 있을 때의 연료소모 차이가 별로 없다는 의견에 한 표 추가입니다.
rpm 미터를 보시면 N과 D에 있을 때의 연료소모량을 대충 가늠할 수 있겠네요. 100% 정확하진 않습니다만...
도로에서 2분이상 정차해있을 경우 시동 끄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독일 운전자들은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라 하던데 확인은 못해봤습니다만,
시동을 하루에 몇 번 더 건다고 해서 손상될 부분은 시동모터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서지로 인한 전기부품류의 손상, 시동시의 연료 분사량 등은 무시해도 될 수준이라고 봅니다.
광삼님이 위에서 이야기 하신 대로 주행 중 예측에 의한 브레이킹 줄이기도 연비운전에 굉장히 도움이 되겠죠.
내리막에서의 퓨얼컷 사용도 좋구요.
제 경우엔 인젝터에서의 연료분사 상황을 볼 수 있는 LED를 달아놓았습니다.
악셀오프 시 퓨얼컷을 확인하면서 나름 만족하고 있는데, 워낙 출퇴근 거리가 짧고 오래된 차라서 시내연비가 9KM를 넘기가 힘드네요. 지방 중소도시인데도 말이지요.
출발할 때 천천히 출발하는 것은 연비운전에 큰 도움은 안된다고 봅니다.
뒷차가 답답해 할 수도 있고 교차로에서는 한 두대가 신호를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과도한 악셀링만 아니라면 RPM 2500정도까지는 출발시에 괜찮을 것 같네요.
rpm 미터를 보시면 N과 D에 있을 때의 연료소모량을 대충 가늠할 수 있겠네요. 100% 정확하진 않습니다만...
도로에서 2분이상 정차해있을 경우 시동 끄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독일 운전자들은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라 하던데 확인은 못해봤습니다만,
시동을 하루에 몇 번 더 건다고 해서 손상될 부분은 시동모터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서지로 인한 전기부품류의 손상, 시동시의 연료 분사량 등은 무시해도 될 수준이라고 봅니다.
광삼님이 위에서 이야기 하신 대로 주행 중 예측에 의한 브레이킹 줄이기도 연비운전에 굉장히 도움이 되겠죠.
내리막에서의 퓨얼컷 사용도 좋구요.
제 경우엔 인젝터에서의 연료분사 상황을 볼 수 있는 LED를 달아놓았습니다.
악셀오프 시 퓨얼컷을 확인하면서 나름 만족하고 있는데, 워낙 출퇴근 거리가 짧고 오래된 차라서 시내연비가 9KM를 넘기가 힘드네요. 지방 중소도시인데도 말이지요.
출발할 때 천천히 출발하는 것은 연비운전에 큰 도움은 안된다고 봅니다.
뒷차가 답답해 할 수도 있고 교차로에서는 한 두대가 신호를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과도한 악셀링만 아니라면 RPM 2500정도까지는 출발시에 괜찮을 것 같네요.
2009.03.16 02:15:28 (*.123.179.161)

음...우선 D / R 모드시 100~150RPM 정도 회전보정을 위한 연료를 추가분사를 합니다... 보통은 1분이상은 정차시 N모드이지만...개인적으로는 10초 이상 정지시에는 바로 N 으로 체인지 합니다.... 불필요한 연료와 제동력이 필요 없기때문입니다.... 또한 적지만 추가적인 연료분사량이 있고.... 이렇게 아끼고 운영해봐야.... 고회전 한두번이면 창이가 없기에 개인스타일에 맞게 운영을 하시면 됩니다...
2009.03.16 14:39:08 (*.110.101.205)

폭스바겐 페이튼 4.2 LWB 트립으로 확인 결과 D 정지시 시간당 3.1L 소모, N 정지시 2.4L 소모.
%로 본다면 꽤 큰 차이라고 할 수 있고, 절대량으로 본다면 그렇게 큰 차이가 아니라고 할 수 있네요.
%로 본다면 꽤 큰 차이라고 할 수 있고, 절대량으로 본다면 그렇게 큰 차이가 아니라고 할 수 있네요.
2009.03.17 11:45:59 (*.106.65.125)

연료소모량에 대한 내용은 윤정준님께서 말씀하신대로 N이 D에 비해 많은 퍼센티지 차이로 기름을 적게 먹습니다.
다만 DSG는 그 차이가 거의 미미합니다.
D와 N 사이로 자주 바꾸는 것이 변속기에 좋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택시 운전사들과 이야기를 해보면 오히려 반대의 이야기를 많이 듣는 요즘입니다.
택시 기사들이 말하는 변속기 오버홀 시기는 28만킬로 정도라고 합니다. D만 사용할 때와 N만 사용할 때 보통 N으로 자주 바꿔주는 것이 변속기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택시를 타면 설 때마다 변속기를 N으로 옮기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아저씨들이 기사식당에서 차에 대해 뭐가 해보니 이렇더라하면 그들 사이에서 급속도로 번져 모두 거의 동일한 습관으로 무장하는 경우라고 봅니다.
결과적으로 택시 운전사분들께서 두가지 운전법에 대해 어느정도 데이터가 축적되었다고 봐도 무방하고, 고로 정차시 D만을 고집할 이유가 거의 없다고 봅니다.
다만 DSG는 그 차이가 거의 미미합니다.
D와 N 사이로 자주 바꾸는 것이 변속기에 좋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택시 운전사들과 이야기를 해보면 오히려 반대의 이야기를 많이 듣는 요즘입니다.
택시 기사들이 말하는 변속기 오버홀 시기는 28만킬로 정도라고 합니다. D만 사용할 때와 N만 사용할 때 보통 N으로 자주 바꿔주는 것이 변속기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택시를 타면 설 때마다 변속기를 N으로 옮기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아저씨들이 기사식당에서 차에 대해 뭐가 해보니 이렇더라하면 그들 사이에서 급속도로 번져 모두 거의 동일한 습관으로 무장하는 경우라고 봅니다.
결과적으로 택시 운전사분들께서 두가지 운전법에 대해 어느정도 데이터가 축적되었다고 봐도 무방하고, 고로 정차시 D만을 고집할 이유가 거의 없다고 봅니다.
2009.03.18 22:29:00 (*.135.228.110)

쏘나타 2,3 및 마르샤라면 무조건 N에 놓습니다.
이유는 간단하죠...
D에 놓으면 차가 떨립니다.
단지 정차시 D에 놓으면 생기는 진동이 싫을 뿐입니다...ㅋㅋ
이유는 간단하죠...
D에 놓으면 차가 떨립니다.
단지 정차시 D에 놓으면 생기는 진동이 싫을 뿐입니다...ㅋㅋ
2009.03.18 23:14:39 (*.206.208.222)
아- 방장님 및 여러분들의 소중한 답변 잘 봤습니다. 두번씩 되새겼습니다.
우선 미션에 문제가 없으려니 하고 결론을 내리고 늘 하던대로 N에 놓아야겠습니다.
연료도 미션도 그렇고, 무엇보다 오른손이 노는건 언제나 심심하답니다, 그렇다고 패들시프트도 없으니... 하하하
다시 한번 답변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드라이브! 하세요
우선 미션에 문제가 없으려니 하고 결론을 내리고 늘 하던대로 N에 놓아야겠습니다.
연료도 미션도 그렇고, 무엇보다 오른손이 노는건 언제나 심심하답니다, 그렇다고 패들시프트도 없으니... 하하하
다시 한번 답변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드라이브! 하세요
옛날엔 정지시마다 N에 놓긴 했었는데 D로 해도 별 차이가 안나길래,
요샌 웬만한 잠깐 정지시엔 그냥 D로 항상 멈춥니다.
꽤 오래 멈출거라는걸 확신할때는 아예 P까지 빼놓구요..
연비는 일단 악셀을 얼마나 얇게 밟느냐.. 하고,
기어온 악셀오프상태로 얼마나 퓨얼컷 관성주행을 자주 써먹냐..가 포인트인듯 합니다.
가속시에 악셀을 한번씩 조금 깊게 밟아주면 연비가 팍 떨어지고..
항상 악셀 50%이하 개도(웬만하면 30%이하)상태로 가속하면서,
감속이나 내리막은 악셀오프..에, 브레이킹전 150미터 앞에서 예측하고 악셀오프
이런식으로 브레이크를 밟을 일을 최소화 하는 방식으로 주행해주면,
차의 공식 연비 이상으로 연비를 뽑아내주기도 합니다..
(브레이크를 얼마나 자주/깊이 밟느냐..가 간접적으로 운전습관의 연비를 보는 척도가 될수는 있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당연히 브레이크를 별로 밟을일이 없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연비가 높다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