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신형 GTR이 997터보보다 뉘르 기록이 빠르다는 등의 기사를 쏟아내며 화려하게 등장 했습니다.
물론 서킷 기록이 차를 평가하는 절대적 기준이 아니지만, 훨씬 저렴한 차가 훨씬 비싼 차를 앞질렀다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울만도 합니다.
일제 스포츠카를 동경해 본적이 없는 제가 보기엔 포르쉐와 비교할 때 네임밸류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주관적으로 디자인도 형편없지만 반값에 서킷 기록도 더 빠른 차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아주 매력적입니다.
게다가 GTR은 출력이 997터보와 같고 토크는 더 낮고 무게는 100킬로 가량 더 무거운데 제로백이나 쿼터 마일 기록이 997터보와 거의 유사합니다.
997터보만 해도 비슷한 출력대, 비슷한 무게의 차량 중 제로백, 쿼터마일 기록으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월등하여 그 기록을 의심하게 할 정도였는데 GTR은 무게에서 더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비슷하다니 이것 또한 놀라운 일이 아닐수 없었지요.
그런데 ㅂㅂㄷㄹ에서 본 GTR의 다이나모 사진 한 장이 확 깨게 합니다.
482 ps (475 hp) and 59.2 kg/m (428 ft-lbs) at the hubs
소위 말하는 휠마력, 휠토크가 메이커가 발표한 엔진 출력, 엔진 토크보다 더 높습니다. 출처가 분명하지 않아 말하기 조심스럽긴 하지만 닛산 측에서 일부러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게 합니다.
만약 다이나모가 순정 GTR의 것이 맞다면 GTR은 대략 출력은 550-600마력, 토크는 65-75킬로그램은 될겁니다. 이 정도면 997터보의 출력을 훨씬 능가하는 셈이지요.
그렇다면 닛산이 일부러 거짓말을 한 이유는 뻔합니다. 훨씬 고출력의 차로 더 빠르게 달려봐야 '출력이 더 높으니 더 빠른 게 당연하지'라는 소리를 듣기 싫은 그들의 자존심 때문에...
게다가 그렇게 엔진에 약간은 무리가 갈만큼 고출력을 내다보니 터무니 없이 잦은 메인터넌스와 비싼 비용을 요구하는 것이다...라는 추측도 가능하게 합니다. 닛산의 잦은 메인터넌스 스케쥴은 사실 양산차의 그것보다는 튜닝카의 그것과 더 비슷할 정도더군요.
물론 이 모든 것은 다이나모 사진 한장에 의한 가정에 의거하기 때문에 사실이 아닐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이와 관련된 진실?을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알려주십시오.
그러나 예를 들어 닛산이 거짓말을 해서라도 포르쉐를 앞서고 싶어한다면 그 열정에는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 어느 자동차 회사가 스포츠카에 그런 열정을 가졌나요? 만약 결과물을 들고 나올 수 있다면 스피라가 유일한 희망일 수 있겠지만...
물론 서킷 기록이 차를 평가하는 절대적 기준이 아니지만, 훨씬 저렴한 차가 훨씬 비싼 차를 앞질렀다는 점을 감안하면 놀라울만도 합니다.
일제 스포츠카를 동경해 본적이 없는 제가 보기엔 포르쉐와 비교할 때 네임밸류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주관적으로 디자인도 형편없지만 반값에 서킷 기록도 더 빠른 차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아주 매력적입니다.
게다가 GTR은 출력이 997터보와 같고 토크는 더 낮고 무게는 100킬로 가량 더 무거운데 제로백이나 쿼터 마일 기록이 997터보와 거의 유사합니다.
997터보만 해도 비슷한 출력대, 비슷한 무게의 차량 중 제로백, 쿼터마일 기록으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월등하여 그 기록을 의심하게 할 정도였는데 GTR은 무게에서 더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비슷하다니 이것 또한 놀라운 일이 아닐수 없었지요.
그런데 ㅂㅂㄷㄹ에서 본 GTR의 다이나모 사진 한 장이 확 깨게 합니다.
482 ps (475 hp) and 59.2 kg/m (428 ft-lbs) at the hubs
소위 말하는 휠마력, 휠토크가 메이커가 발표한 엔진 출력, 엔진 토크보다 더 높습니다. 출처가 분명하지 않아 말하기 조심스럽긴 하지만 닛산 측에서 일부러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게 합니다.
만약 다이나모가 순정 GTR의 것이 맞다면 GTR은 대략 출력은 550-600마력, 토크는 65-75킬로그램은 될겁니다. 이 정도면 997터보의 출력을 훨씬 능가하는 셈이지요.
그렇다면 닛산이 일부러 거짓말을 한 이유는 뻔합니다. 훨씬 고출력의 차로 더 빠르게 달려봐야 '출력이 더 높으니 더 빠른 게 당연하지'라는 소리를 듣기 싫은 그들의 자존심 때문에...
게다가 그렇게 엔진에 약간은 무리가 갈만큼 고출력을 내다보니 터무니 없이 잦은 메인터넌스와 비싼 비용을 요구하는 것이다...라는 추측도 가능하게 합니다. 닛산의 잦은 메인터넌스 스케쥴은 사실 양산차의 그것보다는 튜닝카의 그것과 더 비슷할 정도더군요.
물론 이 모든 것은 다이나모 사진 한장에 의한 가정에 의거하기 때문에 사실이 아닐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이와 관련된 진실?을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알려주십시오.
그러나 예를 들어 닛산이 거짓말을 해서라도 포르쉐를 앞서고 싶어한다면 그 열정에는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 어느 자동차 회사가 스포츠카에 그런 열정을 가졌나요? 만약 결과물을 들고 나올 수 있다면 스피라가 유일한 희망일 수 있겠지만...
2007.12.17 14:34:31 (*.218.52.117)

신형미니쿠퍼S의 경우도 제원상 175마력이지만 실제 휠마력이 170마력을 약간 넘고 실제 휠토크의 경우 오히려 제원보다 약간 높더라구요. 신형 순정 쿠퍼S가 구형의 JCW 210마력보가 휠 마력이 더 높습니다.
2007.12.17 14:43:57 (*.64.140.230)

GTR처럼 "오바스펙"은 아니지만, GTI도 메이커발표치가 200마력인데, 휠마력이 190마력살짝 넘더군요. 아직도 국산차량들 발표치와 휠마력이 20마력이상 차이나는걸 보면 살짝 서글픕니다.
2007.12.17 14:56:23 (*.145.28.61)
<베스트카>(2007년 7월 26일)에 실린 내용이라고 합니다.
(출처: target=_blank>http://blog.naver.com/mockory/40005282)
같은 섀시 다이나모입니다만, 측정일이나 측정조건은 다릅니다.
실마력 (카탈로그수치) 차이
렉서스 IS 350 310.2ps (318ps) -7.2ps
렉서스 IS 250 209.7ps (218ps) -8.3ps
크라운 어슬리트 3.5 242.3ps (315ps) -72.7ps
스카이라인 350GT 278.7ps (315ps) -36.3ps
페어레이디Z 247.7ps (280ps) -32.3ps
(마이너체인지이전모델)
후우가 350GT 251.1ps (280ps) -28.9ps
로드스터 161.4ps (170ps) -8.6ps
란에보웨건IX MR 327.1ps (280ps) +47.1ps
임프레자WRX STI 310.8ps (280ps) +30.8ps
(마이너체인지이전모델)
스테라 커스텀SC 74.5ps (64ps) +10.5ps
스위프트 스포츠 125.3ps (125ps) +0.3ps
(마이너체인지이전모델)
웨건R 스팅그레이 DI 82.6ps (64ps) +18.6ps
SX4 108ps (110ps) -2ps
소니카 63.1ps (64ps) -0.9ps
실마력과 공표치가 다른 것은 흔히 있는 일입니다. GT-R의 비밀이라고 말할 정도라면,
997 터보도 같은 자리에서 같은 기구로 검증했어야 합니다.
(출처: target=_blank>http://blog.naver.com/mockory/40005282)
같은 섀시 다이나모입니다만, 측정일이나 측정조건은 다릅니다.
실마력 (카탈로그수치) 차이
렉서스 IS 350 310.2ps (318ps) -7.2ps
렉서스 IS 250 209.7ps (218ps) -8.3ps
크라운 어슬리트 3.5 242.3ps (315ps) -72.7ps
스카이라인 350GT 278.7ps (315ps) -36.3ps
페어레이디Z 247.7ps (280ps) -32.3ps
(마이너체인지이전모델)
후우가 350GT 251.1ps (280ps) -28.9ps
로드스터 161.4ps (170ps) -8.6ps
란에보웨건IX MR 327.1ps (280ps) +47.1ps
임프레자WRX STI 310.8ps (280ps) +30.8ps
(마이너체인지이전모델)
스테라 커스텀SC 74.5ps (64ps) +10.5ps
스위프트 스포츠 125.3ps (125ps) +0.3ps
(마이너체인지이전모델)
웨건R 스팅그레이 DI 82.6ps (64ps) +18.6ps
SX4 108ps (110ps) -2ps
소니카 63.1ps (64ps) -0.9ps
실마력과 공표치가 다른 것은 흔히 있는 일입니다. GT-R의 비밀이라고 말할 정도라면,
997 터보도 같은 자리에서 같은 기구로 검증했어야 합니다.
2007.12.17 15:02:51 (*.107.68.212)

GTR은 엔진이 3가지 스펙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기본형은 480마력,V스펙은 520마력. 에보스펙은 650마력으로 알고 있습니다.. 에보스펙이라면 가능한 이야기 아닌가요??
2007.12.17 15:43:41 (*.68.16.174)

말씀드리긴 조심스러우나, 그 정도 사양의 차량이라면 팩토리튠이든 애프터마켓튠이든 그 정도의 메인터넌스가 들어가는 것은 수긍이 간다고 생각합니다. 유러피안 많은 메이커가 그렇지만 경험해본 사브나 볼보의 경우 여러명이 타고 재도 메이커 수치보다 제로백도 더 빠르게 나옵니다. 포르쉐도 측정해보면 마찬가지로 휠마력이 메이커 수치와 비슷할겁니다.
2007.12.17 16:12:19 (*.194.244.106)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은데,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미리 말씀드린대로 재미삼아 한번쯤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같은 다이나모 미터로 같은 장소에서 997 터보도 재어보고 비교해야 공정한 거 아니냐... 이런 심각한 생각을 하실만한 어떠한 구체적 근거나 주장도 제 글에는 없습니다.
말 그대로 이런 글이 있던데 이거 어떻게 생각하시느냐, 정도의 재미로 봐 주세요.
그리고 포르쉐의 경우 기계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알기로는 다이나모미터 수치가 확실히 더 작습니다. 심지어 제원을 능가하는 수치는 본적도 없습니다. 또한 메이커의 매뉴얼에 3만킬로마다 오일 교환이 가장 빠른 메인터넌스인데 GTR의 메인터넌스는 3만 킬로 이내에 거의 10가지 정도 교환하는 것 같더군요. 그 정도면 매우 큰 차이가 아닌가 싶습니다. 실제 996터보 타는 제 주변분도 엔진 오일 1-2만 킬로마다 마음내킬 때 갈고 중간에는 보충만 하고 잘 타고 다니십니다. 그 것조차도 매뉴얼보다는 과잉 메인터넌스지만...
2007.12.17 16:18:20 (*.194.244.106)

그리고 몇 년전까지 300마력 넘는 일제차들이 무조건 280마력으로 발표했던 것은 일본 국내법상의 문제라고 알고 있고 지금은 그것과는 아무 상관 없는 것으로 압니다. 따라서 구형 GTR, 임프레자, 란에보는 그럴만한 사정이 있었고 현재는 그럴만한 사정은 없습니다.
2007.12.17 16:40:20 (*.179.197.204)
997터보 (수동)
ecu튜닝을 했을경우에도 측정한 휠마력이 500마력을
채 넘지 못하더군요. 순정의경우 휠마력 425~430마력
정도 계속 찍었구요. GTR의경우 휠마력이 480마력이
넘는다는것과 스펙에 표기한 480마력이란 수치는
라이벌로 볼수있는 포르쉐터보를 엄청나게 의식한걸로
밖에는 보이지않습니다..^^.. 폴쉐터보와 같은출력에 무게도 많이
나가는 GTR의 뉘르랩이 빠른것이 이상하다싶었는데...
ecu튜닝을 했을경우에도 측정한 휠마력이 500마력을
채 넘지 못하더군요. 순정의경우 휠마력 425~430마력
정도 계속 찍었구요. GTR의경우 휠마력이 480마력이
넘는다는것과 스펙에 표기한 480마력이란 수치는
라이벌로 볼수있는 포르쉐터보를 엄청나게 의식한걸로
밖에는 보이지않습니다..^^.. 폴쉐터보와 같은출력에 무게도 많이
나가는 GTR의 뉘르랩이 빠른것이 이상하다싶었는데...
2007.12.17 17:15:27 (*.192.187.141)

란에보와 임프레자는 얼마전까지 시행된 280마력 규제 때문에 다운스펙으로 발표하면서도 고성능 차량의 이미지 때문에 또한 두 경쟁차와의 라이벌 의식 때문에 비슷하지만 조금식 실 출력을 올려나갔던것은 공공연한 사실이였고.. (그렇다고 해도 항상 비슷하게 올라갔으니 약간은 메이커간의 담합(?)이 의심되는 부분이였죠..)
GTR은 딱히 경쟁상대라는게 초기 모델들을 제외하면 일본내에선 없었고(이미 R32로 불패신화라는 수식어까지 따낸 차종인만큼..) 이번의 신형은 개발당시부터 타도 폴쉐를 외치고 나온 차인만큼... 좀 무리한 스펙으로 튜닝후 발표를 낮출것이라는것은 발표전부터 조금은 예상되었던 사실이니까요.. 다만 일반적인 예상보다 쪼끔 더 무리한것 같죠? ^^
911 터보를 별다른 메인트넌스 없이 막굴리는 상황은 가능해도 신형 GTR을 같은 조건으로 몰아부치기에는 상당히 무리가 있어 보이는것은 사실이니까요.. (웬지 개인 개러지라도 있어야 살수있을듯한 차;;;)
GTR은 딱히 경쟁상대라는게 초기 모델들을 제외하면 일본내에선 없었고(이미 R32로 불패신화라는 수식어까지 따낸 차종인만큼..) 이번의 신형은 개발당시부터 타도 폴쉐를 외치고 나온 차인만큼... 좀 무리한 스펙으로 튜닝후 발표를 낮출것이라는것은 발표전부터 조금은 예상되었던 사실이니까요.. 다만 일반적인 예상보다 쪼끔 더 무리한것 같죠? ^^
911 터보를 별다른 메인트넌스 없이 막굴리는 상황은 가능해도 신형 GTR을 같은 조건으로 몰아부치기에는 상당히 무리가 있어 보이는것은 사실이니까요.. (웬지 개인 개러지라도 있어야 살수있을듯한 차;;;)
2007.12.17 19:10:30 (*.46.122.32)

과거 R33, R34 GTR도 다운스펙이었던걸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그것 역시 마력규제 때문이었겠지요..^^;; 암튼 일본사람들 대단합니다..
2007.12.17 19:41:04 (*.79.247.145)

GTR은 마력보다는 타이어가 게임 스팩인 듯 합니다.ㅋㅋㅋ 포르쉐도 휠마력 잘 나오는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스펙상 수치보다 휠마력이 더 나오는건 흥미롭네요.
2007.12.17 20:35:29 (*.145.28.61)
뉘르에서 좋은 타임을 낸 것은 엔진 마력보다는 타이어의 비중이 크다 생각합니다. 997 터보의 뉘르부르크링 베스트 타임으로 알려진 7분 40초는, 미슐랭 PS컵 타이어와의 조합으로 만들어낸 기록이네요. 양산 패키징의 PS2 래디얼 타이어와는 약 14초 차이가 나는군요.
포르쉐는 997 터보 이후로 GT2(뉘르 7분 31초) 같은 차의 런칭도 시야에 넣어야 했고 레이스 레플리카인 GT3(뉘르 7분 39초) 같은 것도 있으니, 성능 레벨을 조율했을 것 같습니다.
차의 잠재력을 불문하고, 마력수로 판매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포르쉐답다 생각하지 않습니까? 20~30마력 차이로 촘촘하게...
렉서스 LF-A의 북쪽코스 타임이 7분 24초라는 소문이 있군요. 주행 동영상 등으로 사실로 알려지면, 드라이빙 포럼의 마니아들이 또 어떤 반응이 보일지 궁금합니다.
http://www.supercars.net/PitLane?viewThread=y&gID=3&fID=0&tID=10073
포르쉐는 997 터보 이후로 GT2(뉘르 7분 31초) 같은 차의 런칭도 시야에 넣어야 했고 레이스 레플리카인 GT3(뉘르 7분 39초) 같은 것도 있으니, 성능 레벨을 조율했을 것 같습니다.
차의 잠재력을 불문하고, 마력수로 판매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포르쉐답다 생각하지 않습니까? 20~30마력 차이로 촘촘하게...
렉서스 LF-A의 북쪽코스 타임이 7분 24초라는 소문이 있군요. 주행 동영상 등으로 사실로 알려지면, 드라이빙 포럼의 마니아들이 또 어떤 반응이 보일지 궁금합니다.
http://www.supercars.net/PitLane?viewThread=y&gID=3&fID=0&tID=10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