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현대자동차의 첫 프리미엄 세단이자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의 자존심인 ‘제네시스’의 미국 판매가격이 2만달러대로 책정됐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프리미엄 세단 제네시스 3.3 모델의 미국 판매가격을 2만달러 후반대로 책정하고 올 하반기부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당초 제네시스의 미국 판매가격은 3만달러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제네시스의 가격을 너무 낮게 책정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깡통차(옵션 없이 운행에 필요한 기본만 갖춘 차)라고 해도 너무 싸다는 것이다. 제네시스의 판매가격이 2만달러대 후반이라고 가정할 경우 우리 돈으로 2700만∼2900만원(달러당 환율 941원 기준) 선이다.
이 금액은 국내에서 쏘나타 최고급 모델과 그랜저TG 최하위 급을 살 수 있는 돈이다. 이전가격을 감안해도 제네시스의 등급을 2단계나 낮춰 파는 셈이다. 국내에서 제네시스 3.3모델의 판매가격은 4050만원부터 시작된다.
2만달러 후반대 가격은 제네시스보다 1∼2단계 낮은 등급으로 분류되는 일본 도요타 캠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더욱이 BMW 528i 깡통차가 미국에서 4만4000달러 선에서 판매되는 점을 감안하면 제네시스를 프리미엄 차라고 말하기 힘들다.
BMW 528i는 제네시스의 국내 경쟁모델인 BMW 530i보다 조금 낮은 모델이다. 이처럼 현대차가 제네시스의 판매가격을 저가로 책정한 것은 미국 내수경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터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미국 내수경기가 침체에 빠져 자동차 구매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프리미엄 세단에 걸맞은 가격을 책정할 경우 수출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현대차 경영진이 저가정책을 수립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제네시스의 가격은 그랜저와 쏘나타의 미국내 판매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제네시스 판매가격이 낮게 책정된 만큼 그랜저와 쏘나타의 미국내 판매가격이 덩달아 인하될 가능성이 크다.
/kkskim@fnnews.com 김기석기자
※ ⓒ 파이낸셜뉴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프리미엄 세단 제네시스 3.3 모델의 미국 판매가격을 2만달러 후반대로 책정하고 올 하반기부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당초 제네시스의 미국 판매가격은 3만달러대에서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제네시스의 가격을 너무 낮게 책정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깡통차(옵션 없이 운행에 필요한 기본만 갖춘 차)라고 해도 너무 싸다는 것이다. 제네시스의 판매가격이 2만달러대 후반이라고 가정할 경우 우리 돈으로 2700만∼2900만원(달러당 환율 941원 기준) 선이다.
이 금액은 국내에서 쏘나타 최고급 모델과 그랜저TG 최하위 급을 살 수 있는 돈이다. 이전가격을 감안해도 제네시스의 등급을 2단계나 낮춰 파는 셈이다. 국내에서 제네시스 3.3모델의 판매가격은 4050만원부터 시작된다.
2만달러 후반대 가격은 제네시스보다 1∼2단계 낮은 등급으로 분류되는 일본 도요타 캠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더욱이 BMW 528i 깡통차가 미국에서 4만4000달러 선에서 판매되는 점을 감안하면 제네시스를 프리미엄 차라고 말하기 힘들다.
BMW 528i는 제네시스의 국내 경쟁모델인 BMW 530i보다 조금 낮은 모델이다. 이처럼 현대차가 제네시스의 판매가격을 저가로 책정한 것은 미국 내수경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터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미국 내수경기가 침체에 빠져 자동차 구매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프리미엄 세단에 걸맞은 가격을 책정할 경우 수출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현대차 경영진이 저가정책을 수립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제네시스의 가격은 그랜저와 쏘나타의 미국내 판매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제네시스 판매가격이 낮게 책정된 만큼 그랜저와 쏘나타의 미국내 판매가격이 덩달아 인하될 가능성이 크다.
/kkskim@fnnews.com 김기석기자
※ ⓒ 파이낸셜뉴스.
2008.01.10 15:13:21 (*.95.236.42)

이번달에 한 대, 내년 상반기에 한 대 사야해서 주말마다 딜러샵에 돌아다니며
고르는 중인데 하반기에 나온다면 제네시스도 한번 봐야겠군요.
3.3이 2만불 후반이면 3.8은 3만 5천 이하일테고 그러면 TL이나 G37급인데 글쎄요...
베라크루즈도 사실...신형 하이랜더에 비해 그리 끌리지는 않던데...
고르는 중인데 하반기에 나온다면 제네시스도 한번 봐야겠군요.
3.3이 2만불 후반이면 3.8은 3만 5천 이하일테고 그러면 TL이나 G37급인데 글쎄요...
베라크루즈도 사실...신형 하이랜더에 비해 그리 끌리지는 않던데...
2008.01.10 15:14:01 (*.226.34.55)

독과점이 안되는 시장에서의 현대차의 포지션을 아주 적절하게 보여주네여.
4.6 타우엔진 출시되면 34%관세 내고 역수입 해도.. 아마도 3.8 보다 싸겠네여
4.6 타우엔진 출시되면 34%관세 내고 역수입 해도.. 아마도 3.8 보다 싸겠네여
2008.01.10 15:19:41 (*.207.36.218)

TPMS 같은게 법규상 강제추가된다는점을 생각해보면... ... 좀 심하네요. 3만불이면 심한 고급차 포지셔닝도 아닐텐데.
2008.01.10 15:41:45 (*.245.127.253)

국내에선 독일차와 경쟁하고, 미국에선 렉서스도 아닌 캠리랑 경쟁하는군요.
미국 광고에는 A8 대신 캠리 등장인가.. 쩝
미국 광고에는 A8 대신 캠리 등장인가.. 쩝
2008.01.10 16:51:37 (*.254.112.153)

TPMS 10만원도 안하는데요.. 일단, 최종적으로 미국에서의 옵션과 가격이 궁금해집니다. 과연 오피러스 꼴 날런지..
2008.01.10 17:03:02 (*.106.68.2)
TG의 실제 미국 거래가격인 U$20,000 수준과 베라크루즈의 가격을 감안하면 그리 충격적으로 낮게 늦겨지지는 않는걸요.
2008.01.10 17:08:22 (*.133.99.150)

오히려 역수입하는 업체들이 많이 생긴다면 더 좋은 일이네요...더구나 미국 현지에서 중고로 사서 수입하면 35% 정도에 해당하는 세금을 다 내고 인증까지 받는다고 해도 더 비싸지도 않겠네요.
2008.01.10 17:29:04 (*.123.10.251)
국내 생산된 차량을 미국에서 다시 역수입해와도 세금을 모두 내게 되나요? 이거 진짜 세금 다내고 역수입해도.. 미국의 10만마일 워런티가 국내에서도 적용되면 완전 이득이 되는거 같은데요-_-;
2008.01.10 18:55:50 (*.109.154.241)

국내 가격 보다 저렇게 싸게 풀리는데 반덤핑 제소 안되나요?
현대 북미 가격정책 보면 항상 왜 반덤핑으로 제소 안되는지 그게 늘 궁금합니다.
덤핑에 해당이 안되서인지...
현대 북미 가격정책 보면 항상 왜 반덤핑으로 제소 안되는지 그게 늘 궁금합니다.
덤핑에 해당이 안되서인지...
2008.01.10 18:58:46 (*.217.177.93)

보통 3만달러를 엔트리 럭셔리 레벨로 봅니다.
제네시스의 크기는 5시리즈나 E-class 이나 실상 경쟁 차종은 3시리즈나 C class 입니다.
고객 층이 그렇다는 거지요.
제네시스의 수요 타겟은 (( 오너 드라이버+ 30-40대 ))입니다.
현대로서는 당연한(?) 포석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 국내 판매 가격이 너무 높다는 것에서 대단히 실망스럽습니다.
제네시스의 크기는 5시리즈나 E-class 이나 실상 경쟁 차종은 3시리즈나 C class 입니다.
고객 층이 그렇다는 거지요.
제네시스의 수요 타겟은 (( 오너 드라이버+ 30-40대 ))입니다.
현대로서는 당연한(?) 포석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 국내 판매 가격이 너무 높다는 것에서 대단히 실망스럽습니다.
2008.01.10 19:26:10 (*.7.206.199)

미국 경기, 미국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만 중요하고 한국 경기, 한국 소비자들의 심기는 전혀 신경쓰지 않는군요.
미국의 소비자의 경우에는, 6기통 캠리(3.5L 전륜 구동)나 6기통 어코드(3.5L 전륜 구동)보다 돈 조금 더 얹어서, 싼 맛에 넉넉한 배기량의 후륜 구동을 구입할 수 있겠네요. 거기다 10년 10만 마일 보증까지 해주니까, 감가상각이 심한 차라고 할 지라도 오래 보유할 생각이라면 살만 할 것 같습니다. 그 정도 브랜드 가치, 자동차 가치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것 같습니다.
현대의 내수 가격 정책, 보고 있기 불편하군요.
미국의 소비자의 경우에는, 6기통 캠리(3.5L 전륜 구동)나 6기통 어코드(3.5L 전륜 구동)보다 돈 조금 더 얹어서, 싼 맛에 넉넉한 배기량의 후륜 구동을 구입할 수 있겠네요. 거기다 10년 10만 마일 보증까지 해주니까, 감가상각이 심한 차라고 할 지라도 오래 보유할 생각이라면 살만 할 것 같습니다. 그 정도 브랜드 가치, 자동차 가치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것 같습니다.
현대의 내수 가격 정책, 보고 있기 불편하군요.
2008.01.10 19:27:40 (*.254.112.153)

4050만원이라는 가격도 미국과 같이 세전 가격으로 환산하면 3000만원 조금 넘는 수준입니다. 옵션이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따라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08.01.10 19:47:51 (*.20.191.5)

3만 넘으면 미국사람들 안살겁니다. -_- 현대 브랜드 이미지가 아직 "싸구려"를 못벗어난 것으로 전 느꼈습니다. 중고차 값만 봐도 알 수가 있죠. 앞으로 미국에서도 제값 받고 파는 정도 레벨이 되었으면 합니다.
2008.01.10 20:03:15 (*.213.7.132)

품질에 자신이 있다면 언젠가는 싸구려 이미지 탈피를 위해서도 값을 올려야 하는거 아닙니까
물론 내부에서나 외부에서나 자잘한 이유나 그런 것들은 수도 없이 많겠지요
아무리 봐도 비싸면 안팔릴것도 알고.. 근데 언제까지 이런 식일지 궁금하네요
좋은차 만들어서 싸게 팔고 결국 계속 싸구려취급 받으며 입에 풀칠만 할건지
아님 진짜 광고처럼 아우디 같은거랑 정면으로 들이 받을건지..
아 갑갑하네요.
물론 내부에서나 외부에서나 자잘한 이유나 그런 것들은 수도 없이 많겠지요
아무리 봐도 비싸면 안팔릴것도 알고.. 근데 언제까지 이런 식일지 궁금하네요
좋은차 만들어서 싸게 팔고 결국 계속 싸구려취급 받으며 입에 풀칠만 할건지
아님 진짜 광고처럼 아우디 같은거랑 정면으로 들이 받을건지..
아 갑갑하네요.
2008.01.10 21:11:54 (*.7.28.218)

미국시장은 자동차 경쟁이 세계에서 제일 치열한 곳입니다........미국에서 낮은 가격을 책정 했다고 하는것은 비싸면 안 팔릴것을 이미 현대 마켓팅 부서에서도 이미 다 조사하고 파악 한 것일겁니다......아직까지 현대의 이미지가 싸야지 팔리는 차라는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인것이죠.......이전에 나온 제네시스 살펴보니.....특이한 옵션은 이미 오래전부터 독일차에서 볼 수있던 옵션들이 대부분이더군요....벤츠 비엠 아우디를 타던 분들이 제네시스를 선택할 가능성이 과연 몇 % 일까요.......미국에서 현대차가 살아나가려면 싸구려차 메이커란 이미지를 벗어나야 할 것입니다......세계적인 자동차 경주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더욱 이미지 업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할 것입니다...
2008.01.10 23:24:41 (*.229.116.62)

기본적으로 한국이랑 미국의 마켓쉐어차이와, 미국에서의 시장점유율이 다른나라로의 수출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는점에 착안하면, 전 좀 이해가 갑니다. 지난번 벤츠가격으로 첨예한 토론이 있었지만, 국산차로 얘기를 나눠봐도 비슷한 생각이 드는걸로 보면.. 수입브랜드에 국한된 편견은 아닌듯 합니다.
기본적인 마켓 경쟁심도의 차이와, 자동차의 옵션에 구애받는 실용주의 가치차이가..한국 자동차 마케팅 컨셉이 변태적으로 발전해가는 이유같습니다. 자동차 선진국 오너들의 가치관은 호화로운 옵션에 그리 좌우되지않는데, 국내오너들은 유독 편의사항 자체가 같은급의 차 안에서도 레벨링이 됨에, 굳이 고급옵션을 선호하니 럭셔리클래스의 경우, 기본사양에도 들어가야할게 많아지는거죠.
모르긴해도 미국에서의 BH 기본사양은, 국내 330 그랜드 버전보다는 많이 빠질거 같은데요.. 조금 단순한 기준으로 가격평가들을 많이 하시는듯 합니다. 일본도 저가정책부터 시작해 점차 고급차시장을 공략해가듯이, 이제사 슬슬 브랜드마케팅의 걸음마 수준인 현대가..나름대로 최선책을 찾아가고 있는걸로 보여지는데요.
가만보면.. 많은분들의 신차에 대한 비판순서가 늘~ 비슷한거 같습니다.
1) 디자인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
2) 제원상의 출력과 성능에 대한 비판적 견해.
3) 런칭시점에서 가격에 대한 비판적 견해
4) 미국가격과의 비교, 넋두리와 비판적 견해..
5) 북미, 유럽의 호평에 - '그래~ 잘하고 있어..'
6) 잠잠..
지난여름 출시한, i30 디자인에 대한 혹평부터 시작해, 좋은 퀄리티의 자동차로 인정받기까지.. 지난 일년 간 지켜본, 매니아분들의 시각이였습니다. 다양한 견해를 볼 수있어 좋은면도 있지만, 제 생각엔 좀 더 신중히~ 시간을 두고, 특정 차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제네시스란 차가 출시되고, 가격이 매겨졌다면, 과연 가장 핵심이 되는 제반 성능과 효율성의 퀄리티가 어느정도일지, 찬찬이 시간성을 갖고 눈여겨 보는 '여유'가 좀 있었음 좋겠습니다.^^
특정차의 베이스모델을 개발하고 만드는 과정이상으로, 다양한 옵션류의 신기술 적용은.. 실제로 자동차의 마진을 올려주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못된 마음중에 하나는, '신테크놀로지 적용' ' 창작물' 등, 창의적인 결과물에 대한 가치를 너무 가볍게 취급한다는 사실입니다. 2,3 년 전.. BH 의 개발단계에서..국내회사가 후륜구동 고급차를 계획중이라는 사실만으로 가슴벅차했던(?) 기억은 금방 잊어버리고, 비판하시는 모습들을 뵈면.. 아무리 봐도 그렌져 3.3 에 비슷한 옵션차가 3600 정도면, 'BH 기본형은 4000 정도면 적절하다.' 고 느껴지는 제생각과 다른점을 많이 느낍니다.
옵션으로 인한 가격점프 폭이 크다면, 새로운 시도를 위해 연구하고 노력한 엔지니어들의 프론티어 정신에 대한 가치로 인정해주고, 존중하는것도 필요할거 같습니다. 기술의 가치가 도저히 인정안되면, 안사면 되고요..^^ 냉정한 해석으로 보면.. 기술을 인정하지 않는 풍토로 인해, 수많은 공학도 스스로들 자신의 가치를 찾지못하는 요요현상이 국내에서 번복된다고 봅니다.
냠.. 걍 생각나는대로 쓰다보니, 정리하기가 머쓱해 지네요. 걍~ 혼잣말처럼 지껄인거로 봐주세요. 히히..
기본적인 마켓 경쟁심도의 차이와, 자동차의 옵션에 구애받는 실용주의 가치차이가..한국 자동차 마케팅 컨셉이 변태적으로 발전해가는 이유같습니다. 자동차 선진국 오너들의 가치관은 호화로운 옵션에 그리 좌우되지않는데, 국내오너들은 유독 편의사항 자체가 같은급의 차 안에서도 레벨링이 됨에, 굳이 고급옵션을 선호하니 럭셔리클래스의 경우, 기본사양에도 들어가야할게 많아지는거죠.
모르긴해도 미국에서의 BH 기본사양은, 국내 330 그랜드 버전보다는 많이 빠질거 같은데요.. 조금 단순한 기준으로 가격평가들을 많이 하시는듯 합니다. 일본도 저가정책부터 시작해 점차 고급차시장을 공략해가듯이, 이제사 슬슬 브랜드마케팅의 걸음마 수준인 현대가..나름대로 최선책을 찾아가고 있는걸로 보여지는데요.
가만보면.. 많은분들의 신차에 대한 비판순서가 늘~ 비슷한거 같습니다.
1) 디자인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
2) 제원상의 출력과 성능에 대한 비판적 견해.
3) 런칭시점에서 가격에 대한 비판적 견해
4) 미국가격과의 비교, 넋두리와 비판적 견해..
5) 북미, 유럽의 호평에 - '그래~ 잘하고 있어..'
6) 잠잠..
지난여름 출시한, i30 디자인에 대한 혹평부터 시작해, 좋은 퀄리티의 자동차로 인정받기까지.. 지난 일년 간 지켜본, 매니아분들의 시각이였습니다. 다양한 견해를 볼 수있어 좋은면도 있지만, 제 생각엔 좀 더 신중히~ 시간을 두고, 특정 차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제네시스란 차가 출시되고, 가격이 매겨졌다면, 과연 가장 핵심이 되는 제반 성능과 효율성의 퀄리티가 어느정도일지, 찬찬이 시간성을 갖고 눈여겨 보는 '여유'가 좀 있었음 좋겠습니다.^^
특정차의 베이스모델을 개발하고 만드는 과정이상으로, 다양한 옵션류의 신기술 적용은.. 실제로 자동차의 마진을 올려주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못된 마음중에 하나는, '신테크놀로지 적용' ' 창작물' 등, 창의적인 결과물에 대한 가치를 너무 가볍게 취급한다는 사실입니다. 2,3 년 전.. BH 의 개발단계에서..국내회사가 후륜구동 고급차를 계획중이라는 사실만으로 가슴벅차했던(?) 기억은 금방 잊어버리고, 비판하시는 모습들을 뵈면.. 아무리 봐도 그렌져 3.3 에 비슷한 옵션차가 3600 정도면, 'BH 기본형은 4000 정도면 적절하다.' 고 느껴지는 제생각과 다른점을 많이 느낍니다.
옵션으로 인한 가격점프 폭이 크다면, 새로운 시도를 위해 연구하고 노력한 엔지니어들의 프론티어 정신에 대한 가치로 인정해주고, 존중하는것도 필요할거 같습니다. 기술의 가치가 도저히 인정안되면, 안사면 되고요..^^ 냉정한 해석으로 보면.. 기술을 인정하지 않는 풍토로 인해, 수많은 공학도 스스로들 자신의 가치를 찾지못하는 요요현상이 국내에서 번복된다고 봅니다.
냠.. 걍 생각나는대로 쓰다보니, 정리하기가 머쓱해 지네요. 걍~ 혼잣말처럼 지껄인거로 봐주세요. 히히..
2008.01.10 23:33:31 (*.229.116.62)

써놓고 읽어보니..
물론, 열심히 만들어논 국산차를 미국에 똥값에 파는게 저도 은근히 열받긴 마찬가지네요. 이 쉐키들은, 싸다고.. 뼉다구 섞은 고기들 강제로 한국에 파는데..ㅎㅎ
물론, 열심히 만들어논 국산차를 미국에 똥값에 파는게 저도 은근히 열받긴 마찬가지네요. 이 쉐키들은, 싸다고.. 뼉다구 섞은 고기들 강제로 한국에 파는데..ㅎㅎ
2008.01.11 00:40:58 (*.193.141.138)

어찌보면 기대했던거와는 달리 미국내에 파격적인 가격제시를 하면서 국내오너들의 뒤통수를 때렸지만 이러한 가격정책이 앞으로 어떤결과로 나타날지는 두고 봐야겠네요.
2008.01.11 00:45:22 (*.49.199.199)

제네시스 무지 갖고 싶은데
국내에선 넘 비싸 주머니 사정은 안되고...
현대는 제네시스 1,500 cc 버전을 만들어주삼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