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얼마 전에 올라왔던 '라세티 프리미어와 포르테의 ANCAP 동영상'에서 포르테의 경우처럼 뒤쪽이 상당히 많이 들리네요.
현대자동차 측에서 자신있게(?) 공개했다고 합니다.
포르테보다 조금 낫거나 비슷한 정도의 결과를 보여 주는 것 같은데 회원님들께서 보시기에는 어떠신지요?
2009.06.23 01:59:07 (*.67.88.3)

크러쉬 테스트 자료는 IIHS 나 NHTSA에서 테스트 후 공정성을 위해 공개하는 것이지 현대자동차에서 공개해라 마라 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박기철님이 쓰신 것처럼 "현대자동차 측에서 자신있게 공개했다"는 것은 좀 아니라고 봅니다...
제네시스 정도면 모든 항목에서 별 5개 받고 들어가 주는게 당연하지 않나 싶습니다...
박기철님이 쓰신 것처럼 "현대자동차 측에서 자신있게 공개했다"는 것은 좀 아니라고 봅니다...
제네시스 정도면 모든 항목에서 별 5개 받고 들어가 주는게 당연하지 않나 싶습니다...
2009.06.23 02:19:39 (*.133.64.114)

머, 영상만 봐서는 포르테와 거기서 거기인듯..........
동영상을 보고 대형차라고 받아들여야 할런지요~ ~ ~ ~
동영상을 보고 대형차라고 받아들여야 할런지요~ ~ ~ ~
2009.06.23 02:51:43 (*.71.28.106)

제가 보기엔 매우 좋은 결과 같습니다.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매우 적게 보입니다.
오프셋 충돌 테스트에서 차체의 뒤가 들리는 것은 안전성과 관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무거운 차체의 관성을 세이프티 케이지가 버티다보니 반발력 때문에 그런 것이겠죠.
뒤쪽이 들려서 어떤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고 생각하신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매우 적게 보입니다.
오프셋 충돌 테스트에서 차체의 뒤가 들리는 것은 안전성과 관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무거운 차체의 관성을 세이프티 케이지가 버티다보니 반발력 때문에 그런 것이겠죠.
뒤쪽이 들려서 어떤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고 생각하신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009.06.23 03:24:05 (*.70.114.212)

미국쪽 점수 본적 있는데 그다지... 동급 럭셔리 브랜드 차 보다 못 하더군요. A8이랑 정면충돌 광고는 과대광고였더군요.
2009.06.23 03:50:52 (*.184.41.180)

제네시스의 IIHS(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 쯤?)의 성적은..
2009년 Top Safety pick 입니다.
시험결과 성적을 읽어보니 첫 번째 테스트일 때 문제가 좀 있었다고 하고 2008년 11월부터 에어백/데쉬보드무릎부분 수정된 모델로 두 번째 테스트한 경우 전부분 Good을 받았다고 하네요. 그 외에 베라크루즈, 앙투라지(기아 카니발), 싼타페가 2009년 최고 안전상(탑세이프티ㅋ)을 수상했습니다.
재밌는건 미니밴 부분의 앙투라지/세도나(둘다 기아 카니발)입니다. 2005년말 생산 당시 3개 테스트 전부분 최고점을 받아 2006년부터 계속해서 단독으로 뽑히다가 작년과 올해는 혼다 오딧세이가 추가됐네요 ^^
암튼 더 중요한건(!?) 사브9-3 역시 컨버/세단 모두 탑세이프티~. ;)
2009년 Top Safety pick 입니다.
시험결과 성적을 읽어보니 첫 번째 테스트일 때 문제가 좀 있었다고 하고 2008년 11월부터 에어백/데쉬보드무릎부분 수정된 모델로 두 번째 테스트한 경우 전부분 Good을 받았다고 하네요. 그 외에 베라크루즈, 앙투라지(기아 카니발), 싼타페가 2009년 최고 안전상(탑세이프티ㅋ)을 수상했습니다.
재밌는건 미니밴 부분의 앙투라지/세도나(둘다 기아 카니발)입니다. 2005년말 생산 당시 3개 테스트 전부분 최고점을 받아 2006년부터 계속해서 단독으로 뽑히다가 작년과 올해는 혼다 오딧세이가 추가됐네요 ^^
암튼 더 중요한건(!?) 사브9-3 역시 컨버/세단 모두 탑세이프티~. ;)
2009.06.24 12:49:15 (*.254.177.133)

주영님 의견에 덧붙이자면, 제네시스 초기모델은 운전자의 머리가 에어백을 통과해 스티어링휠에 직접 부딪히는 문제와 에어백을 강타한뒤 리바운드시 몸의 방향/속도에 문제가 있었고, 수정하기위에 에어백 모듈의 튜닝과 데쉬보드의 무릎부분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한걸로 압니다 그 당시 현대의 프리미엄 모델이라는 이유로 기대를 꽤 많이 하였던 교수가 한명 있었는데, 초기모델 IIHS 테스트를 마치고 돌아오더니 좌절하더랍니다. 알고보니 와이프차로 pre 오더와 계약금까지 걸어놨었더라는.. ㅋ
정말 안전과는 거리가 먼 차종에는 몬타나 미니밴이 있겠네요.
정말 안전과는 거리가 먼 차종에는 몬타나 미니밴이 있겠네요.
2009.06.23 08:19:36 (*.244.123.196)

은근히 테드도 현대를 까는 분위기가 있는 듯 하네요. 뒤가 들리고 말고를 떠나서 그냥 IIHS나 NCAP에서 발표한 수치를 가지고 논하기 전에는 논란이 무의미하다고 봅니다.
과거에는 몰라도 현재의 현대차는 안전도면에서는 상위급 이상이지 않나요?
과거에는 몰라도 현재의 현대차는 안전도면에서는 상위급 이상이지 않나요?
2009.06.24 09:35:59 (*.233.185.8)

그 정도까진 아니고...
동 시기에 EuroNCAP에서 이뤄지는 동급의 차종간의 성적을 가만히 지켜보고 있으면...
어쨌든 유럽차들은 상당히 높은 성적을 받고, 그 뒤로 일본차, 그 뒤로 현대-기아차... 순으로 성적이 주르르 줄서더군요.
현대-기아차 중에서도 유럽시장용 차량 (i30등) 이 미주시장용 차량 (아반테등)에 비해 충돌 테스트 성적도 일반적으로 좋게 나오고요.
'수준급' 은 됩니다만, '상위급' 이라고 말하기엔 아직 어려운것 같습니다. 특히 차량이 소형으로 내려갈수록 성적은 많이 안 좋아집니다. 피칸토(모닝)는 별 세개, 리오(프라이드)는 별 네개. 샤시가 낡은 탓도 있습니다만... 어쨌든 옛날 성적이라도 성적은 성적이니까요...
최근의 i10은 별 넷, i20은 변경된 기준으로 별 다섯.
별 다섯개를 우습게 아는 르노 클리오를 보고 있으면 아직 쫓아갈 여지가 남아있다는 느낌은 듭니다.
동 시기에 EuroNCAP에서 이뤄지는 동급의 차종간의 성적을 가만히 지켜보고 있으면...
어쨌든 유럽차들은 상당히 높은 성적을 받고, 그 뒤로 일본차, 그 뒤로 현대-기아차... 순으로 성적이 주르르 줄서더군요.
현대-기아차 중에서도 유럽시장용 차량 (i30등) 이 미주시장용 차량 (아반테등)에 비해 충돌 테스트 성적도 일반적으로 좋게 나오고요.
'수준급' 은 됩니다만, '상위급' 이라고 말하기엔 아직 어려운것 같습니다. 특히 차량이 소형으로 내려갈수록 성적은 많이 안 좋아집니다. 피칸토(모닝)는 별 세개, 리오(프라이드)는 별 네개. 샤시가 낡은 탓도 있습니다만... 어쨌든 옛날 성적이라도 성적은 성적이니까요...
최근의 i10은 별 넷, i20은 변경된 기준으로 별 다섯.
별 다섯개를 우습게 아는 르노 클리오를 보고 있으면 아직 쫓아갈 여지가 남아있다는 느낌은 듭니다.
2009.06.23 08:41:39 (*.94.1.38)
차체가 무겁다보니.... 파손도 많이 되는군요.... 소형차들과 충돌시 아무래도 중량이 가벼운 소형차쪽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큰것은 당연할것 같구요... 다만 A필러가 약간 휘는것에 대해서는 조금더 강화되어야하는건 아닌가 생각합니다.
전문가적인 의견은 아니지만, 라프때 A필러가 단단히 고정되었던반면 포르테는 A필러가 휘어졌었는데, 제네시스 역시 A필러가 약간 휘어지는군요.... 테스트때의 속도보다 더 쎈 충격이면 A필러가 접고 들어온다는 소리가 되는것이기도 한데..... 전에 스포티지와 투아렉 A필러 부근의 하중테스트를 본것을 가지고 테스트 한다면 어떤결과가 나올지 궁금하긴합니다.
그래도 도어의 틀어짐등을 유심히 보니까.. 튼튼하긴하네요...
전문가적인 의견은 아니지만, 라프때 A필러가 단단히 고정되었던반면 포르테는 A필러가 휘어졌었는데, 제네시스 역시 A필러가 약간 휘어지는군요.... 테스트때의 속도보다 더 쎈 충격이면 A필러가 접고 들어온다는 소리가 되는것이기도 한데..... 전에 스포티지와 투아렉 A필러 부근의 하중테스트를 본것을 가지고 테스트 한다면 어떤결과가 나올지 궁금하긴합니다.
그래도 도어의 틀어짐등을 유심히 보니까.. 튼튼하긴하네요...
2009.06.23 09:33:06 (*.148.159.138)

일전 게시물에서도 많은 의견들이 오고갔었죠...
그간 쭈~~욱 보다보니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충돌 테스트를 하는 주 목적이 뭘까?...
더미가 받는 충격치를 가장 우선적으로 봐야하는 거 아닌가요?
차량이 얼마만큼 데미지를 받는지는 수리비용 측면에서 중요할 수도 있겠지만, 저 비싼 더미를 태워서 테스트하는 이유는 분명할텐데 말이죠..
차량 뒷부분이 들리네 마네, A필러가 꺽이네 마네 등등(A필러는 전복시에 중요할 수도 있겠지만요...)보다는 더미가 받는 충격량이 얼만큼이었는지가 더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싶어서요...
단순히 저 영상을 보고 'xx보다 못하네, xx정도 수준이네...'라고 판단하시는 분들은 진정 충돌 테스트에 대한 초절정 고수분들이신 것 같습니다... 더미 충격량 데이터도 안보이는데 판단이 가능할 정도라면... (저는 자세한 분석까지 할 수준은 아니라서... ^^;;)
지대의 라프가 참 잘만들어진 차량임에는 이견이 없고, 또 그 때문에 포르테가 잘못 만들었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득과 실이 존재하는거라 보이기 때문입니다...(무게, 연비 등)
그저 몇차례 올라온 충돌 테스트 게시물과 댓글을 보다보니 이런 글을 적게 되네요... ^^;;
그리고 저 동영상을 보면 제네시스의 안전성은 전혀 나빠보이지 않는데요... ^^
그간 쭈~~욱 보다보니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충돌 테스트를 하는 주 목적이 뭘까?...
더미가 받는 충격치를 가장 우선적으로 봐야하는 거 아닌가요?
차량이 얼마만큼 데미지를 받는지는 수리비용 측면에서 중요할 수도 있겠지만, 저 비싼 더미를 태워서 테스트하는 이유는 분명할텐데 말이죠..
차량 뒷부분이 들리네 마네, A필러가 꺽이네 마네 등등(A필러는 전복시에 중요할 수도 있겠지만요...)보다는 더미가 받는 충격량이 얼만큼이었는지가 더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싶어서요...
단순히 저 영상을 보고 'xx보다 못하네, xx정도 수준이네...'라고 판단하시는 분들은 진정 충돌 테스트에 대한 초절정 고수분들이신 것 같습니다... 더미 충격량 데이터도 안보이는데 판단이 가능할 정도라면... (저는 자세한 분석까지 할 수준은 아니라서... ^^;;)
지대의 라프가 참 잘만들어진 차량임에는 이견이 없고, 또 그 때문에 포르테가 잘못 만들었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득과 실이 존재하는거라 보이기 때문입니다...(무게, 연비 등)
그저 몇차례 올라온 충돌 테스트 게시물과 댓글을 보다보니 이런 글을 적게 되네요... ^^;;
그리고 저 동영상을 보면 제네시스의 안전성은 전혀 나빠보이지 않는데요... ^^
2009.06.23 10:08:47 (*.35.111.139)

비싼 더미가족들이 괜히 충돌차량에 태워지는건 아닐꺼라 생각됩니다.
(제가 나이먹으면서 느끼는 세상일은 적어도 이렇습니다. 겉으로 보기에 "음 잘하면 해볼만하겠는데.."싶은 일들이 참 많은데, 막상 해보면 그 분야에서 '대충'하는정도의 수준에만 오르기도 얼마나 힘든지 매번 느끼게 된다는거죠)
그래서인지, 나이들면서 점점 말하기가 겁나고, 말수가 줄어들게 되네요.
(제가 나이먹으면서 느끼는 세상일은 적어도 이렇습니다. 겉으로 보기에 "음 잘하면 해볼만하겠는데.."싶은 일들이 참 많은데, 막상 해보면 그 분야에서 '대충'하는정도의 수준에만 오르기도 얼마나 힘든지 매번 느끼게 된다는거죠)
그래서인지, 나이들면서 점점 말하기가 겁나고, 말수가 줄어들게 되네요.
2009.06.23 10:37:44 (*.205.144.229)

동영상으로 보고 우아 ~ 라고 할뿐..
분석하고 결과까지 도출해내시는 회원님들의 내공에 혀를두를 뿐입니다.
어디분야에서 열공하시는지 사뭇 궁금하기도 하네요..
분석하고 결과까지 도출해내시는 회원님들의 내공에 혀를두를 뿐입니다.
어디분야에서 열공하시는지 사뭇 궁금하기도 하네요..
2009.06.23 11:54:31 (*.114.184.252)

큰 사고 한 번 나보면 안전에 대한 생각이 까다로워 집니다.
그리고 자동차 성능에서 안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늘어가는 것도 사실이고요.
수치상의 동력 성능을 올리는 것 보다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좀 더 공을 들이는 작업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어느 급 차에 타서 어떤 차와 사고가 발생 했건 간에 인명이 다치는 정도는 절대적인게 아닐까요?
그렇다고 상대보다 무조건 크고 안전하기만 한 차를 타는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나마 안전한 차여야 한다는 거죠.
그런 의미로는 포르테나 아반떼보다는 라프가 좀 더 바람직한 설계이며 공들인 자동차라는게 개인적인 의견이며
나아가 국내 소비자들도 자동차를 너무 단순한 공산품으로 보고 선택하기 보다는 이런 저런 면을 복합적으로 고려했으면 하는게 제 개인적인 바램입니다.(물론 테드 회원분들 정도시라면 말할 것도 없겠지만...)
물론 안전보다 동력성능이나 디자인, 연비등에 더 비중을 두시는 분들도 계시죠.
이런 저런 것들을 모두 고려해 취향에 맞게 선택하신 것이라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자동차 성능에서 안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늘어가는 것도 사실이고요.
수치상의 동력 성능을 올리는 것 보다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좀 더 공을 들이는 작업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어느 급 차에 타서 어떤 차와 사고가 발생 했건 간에 인명이 다치는 정도는 절대적인게 아닐까요?
그렇다고 상대보다 무조건 크고 안전하기만 한 차를 타는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나마 안전한 차여야 한다는 거죠.
그런 의미로는 포르테나 아반떼보다는 라프가 좀 더 바람직한 설계이며 공들인 자동차라는게 개인적인 의견이며
나아가 국내 소비자들도 자동차를 너무 단순한 공산품으로 보고 선택하기 보다는 이런 저런 면을 복합적으로 고려했으면 하는게 제 개인적인 바램입니다.(물론 테드 회원분들 정도시라면 말할 것도 없겠지만...)
물론 안전보다 동력성능이나 디자인, 연비등에 더 비중을 두시는 분들도 계시죠.
이런 저런 것들을 모두 고려해 취향에 맞게 선택하신 것이라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2009.06.23 13:32:59 (*.12.196.78)

냉정하게 말해서 포르테도 썩 나쁜 점수는 아닙니다.
2~3세대 전이라고 할 수 있는 구 기아차들의 점수를 생각하면 차원이 다르죠.
다만 A필러가 손상되는 것을 고려해 보면, 심지어 같은 플랫폼인 i30의 결과를 참고하면, 설계 좀 잘 했으면 하는 바람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예전 티구안-스포티지 건도 있고요.
2~3세대 전이라고 할 수 있는 구 기아차들의 점수를 생각하면 차원이 다르죠.
다만 A필러가 손상되는 것을 고려해 보면, 심지어 같은 플랫폼인 i30의 결과를 참고하면, 설계 좀 잘 했으면 하는 바람이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예전 티구안-스포티지 건도 있고요.
2009.06.23 15:04:15 (*.126.97.101)

일단 충돌이 어디까지 밀려 들어오냐..
충격흡수존이냐 서바이버 존이냐..그것만 따져보면..
A필러까지 밀려 들어오는걸 봐서는 포르테와 비슷한 등급을 받지 않겠냐...라고 말씀 드린겁니다.
더미를 따로 볼 수 있는 동영상이 아니니..확인할 수 있는건 그 정도 뿐이지요.
현대를 까는 분위기가 있다라고 보기 보단 요즘 안전성 기준이 뛰어난 차량의 충돌시험 동영상을 본 이후라
다들 눈이 높아지셔서 그런거랍니다.
충격흡수존이냐 서바이버 존이냐..그것만 따져보면..
A필러까지 밀려 들어오는걸 봐서는 포르테와 비슷한 등급을 받지 않겠냐...라고 말씀 드린겁니다.
더미를 따로 볼 수 있는 동영상이 아니니..확인할 수 있는건 그 정도 뿐이지요.
현대를 까는 분위기가 있다라고 보기 보단 요즘 안전성 기준이 뛰어난 차량의 충돌시험 동영상을 본 이후라
다들 눈이 높아지셔서 그런거랍니다.
2009.06.23 18:02:47 (*.34.101.136)
요즘 나오는 차들에서 저런 영상을 보고 '저건 안전해' '저건 위험해'라고 판단이 가능하다고 여겨지지않습니다.
특히나 요즘의 차들은 기본적으로 안전도는 어느정도 제대로 확보를 하고 만들어집니다. 높은 안전도를 가진 차들끼리의 비교에서 '어느차가 그남 약간 더 안전하다'라는 판단정도밖에 되지않을까요?
차가 '얼마나 부서지느냐'도 안전에 대한 판단자료가 되겠지만, '어떻게 부서지느냐'를 생각하지않는 영상의 단편적 판단이 참 아쉽군요.
탑승객의 안전을 생각하지않는, 그저 '부서지지않는차'라면 스페이스프레임으로 얼기설기 엮거나 엄청나게 두꺼운 강판을 적용하면 되겠죠. 탑승자는 피떡이 되든 말든 말이죠.
특히나 요즘의 차들은 기본적으로 안전도는 어느정도 제대로 확보를 하고 만들어집니다. 높은 안전도를 가진 차들끼리의 비교에서 '어느차가 그남 약간 더 안전하다'라는 판단정도밖에 되지않을까요?
차가 '얼마나 부서지느냐'도 안전에 대한 판단자료가 되겠지만, '어떻게 부서지느냐'를 생각하지않는 영상의 단편적 판단이 참 아쉽군요.
탑승객의 안전을 생각하지않는, 그저 '부서지지않는차'라면 스페이스프레임으로 얼기설기 엮거나 엄청나게 두꺼운 강판을 적용하면 되겠죠. 탑승자는 피떡이 되든 말든 말이죠.
2009.06.23 18:03:57 (*.34.101.136)
테스트기관에서 발표하는것은 어디까지나 '점수'나 '별의 갯수'로 판단하면 됩니다. 거기에 부가적인 코멘트도 있구요.
영상만으로는 사실 제대로 판단이 불가능합니다.
영상만으로는 사실 제대로 판단이 불가능합니다.
2009.06.23 18:48:10 (*.32.123.18)

논제에선 벗어납니다만, 저라면 무겁고 더 튼튼하고 더 큰 라세티보단 1600 cc 를 구입할땐 가볍고 연비좋은 포르테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라세티 프리미어는 2.4 정도 엔진이 적합하지 않을까 합니다.
2009.06.23 23:14:34 (*.32.123.18)

CW 는 웨건이니까 실내 공간 활용도가 더 좋을 것 같네요. 웨건을 구입하고 싶다면 일단 라세티는 탈락이군요. 비교대상이 아닐 것 같습니다.
CC 별로 급을 정하는 특성상 1600 cc 니까 포르테와 비교되서 그렇네요. 차체로 보면 라세티가 포르테보다 급은 한참 높겠죠. 심지어 이번에 나오는 SM3 는 폭이 sm5 보다 넓으니.. 비교 자체가 애매해 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Q&A 에서 본 바로는 2001년 이후의 국내 기업의 연비 표기는 믿을만 하다는 전제하에, CW 1.6 연비가 라세티 프리미어보다 좋구요. 가벼움의 위력이 어느정도 작용한다고 봅니다.
튼튼한 차를 사고 싶다면 라세티를 고르겠죠 ^^. 아무튼 1600cc 를 얹기엔 제 기준으론 무거운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정작 CW 는 2.0 개솔린이 나오는군요. 라세티는 2.0 디젤이 답일 것 같기도 합니다. ㅎ
CC 별로 급을 정하는 특성상 1600 cc 니까 포르테와 비교되서 그렇네요. 차체로 보면 라세티가 포르테보다 급은 한참 높겠죠. 심지어 이번에 나오는 SM3 는 폭이 sm5 보다 넓으니.. 비교 자체가 애매해 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Q&A 에서 본 바로는 2001년 이후의 국내 기업의 연비 표기는 믿을만 하다는 전제하에, CW 1.6 연비가 라세티 프리미어보다 좋구요. 가벼움의 위력이 어느정도 작용한다고 봅니다.
튼튼한 차를 사고 싶다면 라세티를 고르겠죠 ^^. 아무튼 1600cc 를 얹기엔 제 기준으론 무거운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정작 CW 는 2.0 개솔린이 나오는군요. 라세티는 2.0 디젤이 답일 것 같기도 합니다. ㅎ
2009.06.24 00:21:06 (*.190.41.114)

외람된 말일지 모르겠으나...
솔찍히 전직으로 자동차 회사 연구소에서 많은 부서의 엔지니어와 같이 10년을 생활한 저로서는 저러한 동영상이 제가 구매하고자 하는 차량 결정에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어떠한 주제에 대한 댓글의 수준을 보면 회원분들의 수준은 제가 알고 있던 어느 자동차 담당 엔지니어의 지식을 상외하는 같습니다.
제 기억에 제일 남는 논쟁은 예전 엔진 오일의 점도와 엔진에 성능에 대한 여러 회원분들의 댓글 수준..아주 인상에 남습니다.
뭐든지 정도를 지나치면 그보다 못한 결론을 얻게 되지 않을까요?
이곳의 정보는 항상 저에게는 전혀 새로운 논리의 즐거움을 가져다 쥽니다, ..^&^
솔찍히 전직으로 자동차 회사 연구소에서 많은 부서의 엔지니어와 같이 10년을 생활한 저로서는 저러한 동영상이 제가 구매하고자 하는 차량 결정에 크게 비중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어떠한 주제에 대한 댓글의 수준을 보면 회원분들의 수준은 제가 알고 있던 어느 자동차 담당 엔지니어의 지식을 상외하는 같습니다.
제 기억에 제일 남는 논쟁은 예전 엔진 오일의 점도와 엔진에 성능에 대한 여러 회원분들의 댓글 수준..아주 인상에 남습니다.
뭐든지 정도를 지나치면 그보다 못한 결론을 얻게 되지 않을까요?
이곳의 정보는 항상 저에게는 전혀 새로운 논리의 즐거움을 가져다 쥽니다, ..^&^
2009.06.24 10:30:08 (*.254.112.153)

E class나 5시리즈 차량의 충돌 테스트 영상을 구해서 비교해봐야죠. 제네시스의 안전도가 라프보다 못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헐
헐
헐...ㅡ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