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저는 80년 중반에 디트로이트에서 자동차 디자인을 공부하였습니다.
제 기억이 맞는다면 그 학교에서 유학으로 제가 정식 4년을 마치고 졸업한 사람으론 첫번째로 기억합니다.(제 자랑하려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지금은 모르겠지만, 그 당시에는 LA근교의 모 학교가 국내 언론에 막 알려지고 많은 자동차 디자인 관련 유학생들이 서부로 몰리기 시작하는 시점이였습니다.
자동차 디자인 관련 정치를 하려면 서부로, 자동차 그림에 미쳤다면 동부로 라는 말이 자동차 디자인 관련 자들의 입에 오르내리던 시절입니다.
90년 중반 IMF가 시작되기 바로 직전에 한국에 귀국하여 서울근교의 기아자동차에서 일을 시작하였습니다.
미국에 대학교 수업시간만도 못한 수준의 일들을 하고 있더군요.
그러면서 자신들의 100% 국내디자이너의 힘으로..란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면서 고객에게 판매하는 자동차가 아닌
자신들만의 자동차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이건 비단 기아뿐만 아니라, 현대, 대우 동일하다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가끔 얇팍한 기사로 국내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던 몇몇사람들이
미국 GM에서 어쩐다카더라는 기사를 보면 참으로 욱~~ 합니다.
가끔 이곳 테스트 드라이브에 글을 올리는것에 욱~~~하여 본의 아니게 독설을 날릴때도 있습니다.
요즘은 나이도 있고, 욱~~ 하는것도 지겨워 준회원에 행복해 하며 이곳을 기웃거립니다.
중간은 각설하고....
희망찬 2000년도에 접어드는 시기에 저는 과감하게 자동차 업계를 떠났습니다.
배운게 도둑질이라고 자동차를 떠난 제 삶은 고통스러운 점이 많았지만,
거짓말, 남의말 옮기기, 동료 이용하기등 연구소가 아니라
권모술수의 모든 기술을 배우는 집합체를 떠났다는것 자체가 저에겐 다행이였습니다.
연구소, 기자, 자동차 영업관련 종사자....그들이 왜 그럴까요?
짧은 지식과 업무에 대한 문제시 책임회피의 가장 좋은 대안이기 때문입니다.
자동차업계 모든 사람들에 염증을 느꼈기에 2005년까지 5년을 조용히 제 자신과 제 주변을 즐기면서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이곳 테스트 드라이브의 회원 한분이 저에게 연락이 왔습니다.
용건은 자동차 디자인을 공부하고 싶다는 것 이였습니다.
그리한 인연이 되어 저의 진로지도?를 받고 지금은 제가 다녔던 디트로이트 모교에 잘다니고 있습니다.
자동차와 관려된 사람들과 인연을 끊고 지금은 전혀 다른 세상에 와있지만,
요즘 덥거나 쌀쌀해지는 저녁이 되면 동쪽에서 날라오는 비행기들을 바라보게 됩니다.
어제 전화로 이번 겨울방학에는 한국에 오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시간이 지나면 이루지못한 정열은 아쉬움으로 다가옵니다.
제가 일면무식의 젊은 친구의 미국 유학을 도운것은
제가 할수 있는 마지막 정열을 불태울수 있던 기회였는지도 모릅니다.
현실이 정의실현만되는 교과서적인 이상사회가 아닌점은 안타깝지만,
이승민님의/ 글을 쓰지 않는 이유가 당신때문 입니다가 아니라, 당신같은 사람이 있기에 끝까지 써야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밑에 17539번의 유승민님의 글을 보고...그래서 유승민님은 글을 쓰셔야 합니다..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오래전 쌀쌀한 밤에 강남 변두리 주유소 지하에 옹기종기 모여앉아 닛싼 GT-R과 폴쉐에 대한 이야기로 반짝이는 눈방울과 불그스래한 빰을 맞대고 정열에 붙태우던 젊은이들을 기억합니다.
테스트 드라이브의 인연도 저는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심한 1인입니다.
차후 한국에 오시면 제에게 소주한잔 대접할 기회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창호님은 자랑하실만 하신데요. (제가 뭐라 말씀드릴 입장도 아니지만요...)
그리고, 국내 메이커의 현실에 대한 내용은 매우 공감하고 있습니다.

지난번에 GM에 있는 동기녀석에 대해 자랑했다, 창호님이 발끈 하신적이 있었지요? ^^
나이가 들어가며 보면, 선과 악의 구분이 점점 모호해집니다. 남에게 해를 가하는 '기본적인 악'은 그대로 존재하지만, 입장과 시각에 따라 일반적인 선악의 기준은 달라질 수 있는거 같습니다. 궁극에서는 '명분과 절실함' 의 기준으로 선악을 구분해야만 하지요.
고딩때 미술부에 처음 들어갔는데, 그림도 열심히 하지않고 빈둥거리며 실력도 없는 선배들이, 걸핏하면 흠을 잡아 후배들 빠따를 쳤는데, 승질 같았음 둘러엎었겠지만.. '난 그림을 하려고 이곳에 들어왔으니, 구성원땜에 속이 상해도 꾸욱~ 참자.' 라고 매일 마인드컨트롤 했던 기억이 납니다. 교회에 나오도록 권유하는 친지에게, ' 교회다니는 사람들도 서로 헐뜯고 권위를 찾으려 하고 이기적이기때문에' 마치 교회전체가 나쁘다는 핑계로 안나가겠다는 것과도 비슷합니다.
자신이 좋아하고 소신을 갖고있는 일이라면, 다른요인들에 흔들리지 말고 꾸준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환경적인 요인때문에 자아실현을 포기하기엔.. 인생이 너무 짧습니다. ^^

멋진 분들 이십니다. ^^;
김창호님은 모르시겠지만.. 저는 뵌적이 한번뿐이어서..^^
저 M3리만 기억 이 납니다. ^^;
유승민님 글 보고 몇년간 꼬여 있었던 것들이 정말 머릿속이 정리가 확~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어제밤 올린 이글로, 아침에 꿀꿀한 기분에 로드 자전거를 타고 100km정도 달리고 왔는데...
많은 분들이 유승민님을 응원해주시니 제 기분이 날아갈것 같습니다.
사회는 어두운 부분보다는 밝은 부분들이 더 많고,
오늘도 열심히 자신의 일에 헌신적인 분들이 그렇지 못한사람들보다 더 많기에
지금의 우리나라, 우리사회가 존재하는것 아닐까 합니다.
유승민님의 사연도 더 좋은 도약을 위한 다지기가 아닐까 합니다.
자기 자신의 영위를 위하여 남을 고통을 주는자는 언젠가는 심판?을 받는다는 희망으로
저는 오늘도 하루하루를 행복하게 보냅니다....ㅎ
우리 테드에서 많은 분들이 승민님을 응원하고 있으니 이번일이 기폭이 되어 더욱더 잘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두분 사이의 공감대와 이심전심이 느껴지는듯 하네요, 보기 좋은 광경입니다.
저도 앞뒤사정은 모르지만, 유승민님이 절필하신다는 것이 본인 스스로의 희망과 계획에서라면
모를까, 같잖은 주변환경때문이라면 저도 그 절필 반대입니다.
아직 많다고는 못하는 나이지만, 살아갈수록 바른게 꼭 정답은 아니다라는것과 세상은
그리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느낍니다.
결국, 자신의 내면을 소중히 하고 일과 주변동료 심지어 가족들을 제외하고서도 '난 누구이며
어떤사람이고 어떤 목표와 방향을 가지고 인생을 산다' 가 늘 정립되어있을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많은 젊은이들에게 승민님의 글은 그런면에서 좋은 길잡이가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렇게 따로 응원글 까지 적어주실지는 상상도 못했습니다. 아주 큰 힘이 되었습니다.
창호님께서 말씀하신 그 어린 친구(?)는 저와도 요새 자주 만나고 연락 하고 있습니다. 저도 창호님처럼 더 많은 도움이 되어 주고 싶은데, 제가 너무 미천해서 그게 안타까울 뿐입니다.
앞에 글에서도 썼지만.. 그렇게 세상.. 인생.. 핑게 대면서 회피해 버린것이 '제 글쟁이로서의 양심과 책임'을 져버린것 같아 저도 상당히 고민하고는 있습니다만.. 막상 그렇게 한번 떠나버린 자리에 돌아오는것이 제가 쉽게 그렇게 해보겠다 라고 결정만 한다고 되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말이죠...
다만 이곳 테드를 통해서라도 일말의 이야기를 계속 늘어 나갈수 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