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내일쯤 싸이트에 소개되겠지만, 오전에 가격공문이 왔길래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올려봅니다.

베이직모델인 BH330 그랜드 모델은, 40,500,000 원.. 262 마력. 6단오토/ 17인치 휠, 225,55 타이어/ 감응형댐퍼/ VDC/크루즈컨트롤/가죽시트/ 블루투스/ USB,ipot/ 일반사운드 오디오 등 기본사양에 사이드커튼 에어백등 풀에어백 기본 옵션입니다. 추가옵션이 불가능..

럭셔리 급 (45,200,000 원) 에는 스마트키와 운전석메모리 외에는 특이사항이 없네요. 선루프와 DIS .. 전방사각카메라를 옵션으로 합치면 590 만원.

프라임팩(49,200,000 원) 에선 Hid와 전자파킹, 타이어공기압 경고장치, 전동리어커튼, 렉시콘 로직오디오(14스피커)등이 추가됩니다. Dis 모젠+리어모니터 최상패키쥐가 7,360,000 원이고요.

VIP팩 (55,200,000 원) 은, 뒷좌석분할파워, 후석열선, 암레스트 리모콘, 천연가죽시트등이 추가됩니다. 최고옵션은 스마트크루즈+Dis모젠+전방카메라+리어모니터 해서, 9,160,000 원입니다.

BH380 럭셔리 모델은(52,800,000 원) 290마력 람다^^엔진, 18인치/235/50 타이어, 선루프와 어댑티브헤드램프가 기본옵션이고.. 3.3 vip 팩과 같은 최상옵션은 9,160,000 원입니다.

베이직 모델은, 40,500,000 원.
최상급 3.8 에 최고옵션은 무려 67,460,000 원에 달하는군요.
최상급모델의 경우는, BMW 5시리즈와 벤츠E 클래스 고객과 경쟁이 쉽지않을듯 하네요.^^
2008.01.09 14:50:58 (*.219.0.69)

저도 대한민국 사람이기 때문에, 제네시스에 기대가 큽니다. 첨단 장비나 기술들에 대해 자랑스럽기도 하구요. 그런데 가격과 옵션을 보면서 수입차 경쟁 모델과 맞붙어 옵션 싸움을 하려고 한다면 기가막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 직접 경쟁이 530이나 E350이 아니라 GS350(7310만원)이나 6390만원의 M35라고 생각합니다. 혹은 현대차에서 발표한 것처럼 미국시장에서 맞붙을 크라이슬러 300C(4650만~6980만원) 모델이 되던가요.
4050만원의 그랜드 기본형에는 앞뒤주차보조 시스템과 사이드 크롬몰딩이 빠진 모델입니다. 이 옵션들과 메모리 시스템, 스마트키, 우드 핸들, 6매 CDC 등을 선택하려면 4520만원의 럭셔리 모델이 됩니다. 여기에 선루프를 선택하려면 내비게이션과 DMB TV가 포함된 DIS와 선루프 옵션이 포함된 560만원짜리 옵션을 반드시 선택해야 합니다.
결국은 선루프를 고르려면 5080만원이 되거나, HID와 렉시콘 오디오, TPMS가 포함된 4920만원의 프라임 팩에 50만원의 선루프를 더하거나 해야합니다. 현대차의 옵션 전략이 화제가 된적이 하루 이틀이 아닙니다만, 있는 그대로 위의 옵션을 다 가지고 있는 수입차와 비교할 때 절대로 낮은 가격이 아니라는 생각에 적은 글입니다.
물론 합당한 품질에 합당한 모델로 합당한 값을 받겠다고 해서 책정한 가격이라면 별 할말은 없습니다. 말 그대로 수입차와 맞붙어 이기는지 지는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수입차 동급 경쟁 모델이 타격을 입는다기 보다는 제네시스를 본 사람들이라면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 수입차쪽으로 더욱 기울어지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가격과 내용을 좀 자세하게 살펴보고 걱정스러워서 쓴 글입니다. 판매야 잘 되겠죠. 현대 임원 어느분의 말처럼 '내수 시장은 걱정 안됩니다. 미국과 해외 시장이 문제지요'.
PS. 미국 판매 가격은 과연 얼마가 될지도 궁금해집니다. ㅎㅎ
전 직접 경쟁이 530이나 E350이 아니라 GS350(7310만원)이나 6390만원의 M35라고 생각합니다. 혹은 현대차에서 발표한 것처럼 미국시장에서 맞붙을 크라이슬러 300C(4650만~6980만원) 모델이 되던가요.
4050만원의 그랜드 기본형에는 앞뒤주차보조 시스템과 사이드 크롬몰딩이 빠진 모델입니다. 이 옵션들과 메모리 시스템, 스마트키, 우드 핸들, 6매 CDC 등을 선택하려면 4520만원의 럭셔리 모델이 됩니다. 여기에 선루프를 선택하려면 내비게이션과 DMB TV가 포함된 DIS와 선루프 옵션이 포함된 560만원짜리 옵션을 반드시 선택해야 합니다.
결국은 선루프를 고르려면 5080만원이 되거나, HID와 렉시콘 오디오, TPMS가 포함된 4920만원의 프라임 팩에 50만원의 선루프를 더하거나 해야합니다. 현대차의 옵션 전략이 화제가 된적이 하루 이틀이 아닙니다만, 있는 그대로 위의 옵션을 다 가지고 있는 수입차와 비교할 때 절대로 낮은 가격이 아니라는 생각에 적은 글입니다.
물론 합당한 품질에 합당한 모델로 합당한 값을 받겠다고 해서 책정한 가격이라면 별 할말은 없습니다. 말 그대로 수입차와 맞붙어 이기는지 지는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수입차 동급 경쟁 모델이 타격을 입는다기 보다는 제네시스를 본 사람들이라면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 수입차쪽으로 더욱 기울어지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가격과 내용을 좀 자세하게 살펴보고 걱정스러워서 쓴 글입니다. 판매야 잘 되겠죠. 현대 임원 어느분의 말처럼 '내수 시장은 걱정 안됩니다. 미국과 해외 시장이 문제지요'.
PS. 미국 판매 가격은 과연 얼마가 될지도 궁금해집니다. ㅎㅎ
2008.01.09 14:58:35 (*.219.0.69)

6390만원의 M35와 옵션에서 가장 비슷한 모델은, BH330 프라임 팩(4920만원)+선루프(50만원)+DIS(460만원)이니까 5430만원이 되네요. 960만원의 차이인데.. 과연 이 차는 9150만원의 530이 경쟁 모델이니까 3000만원 이상 싸다라고 말할 수 있는 건 아니겠지요. ㅎㅎㅎ 재미 있습니다. ㅋ
2008.01.09 15:21:59 (*.162.86.253)
V8 4.6L 역수를 생각중입니다.....
그나마 안전장치는 장난을안쳤네요... ... 고객감동 피드백 서비스?..ㅋㅋ
그나마 안전장치는 장난을안쳤네요... ... 고객감동 피드백 서비스?..ㅋㅋ
2008.01.09 15:30:14 (*.12.200.177)

제네시스의 성공을 기원하고 싶은 마음 한켠에는 그 성공이 자동차 가격의 지속적 인상 및 대형차 위주의 신차개발을 촉진할까 걱정되는 마음입니다.. 그래도 성공을 기원하는 마음이 조금 더 큽니다. ^^
2008.01.09 15:40:30 (*.145.162.179)

와 멋지네요!!! 적당히 볼륨감 있으면서 또 엣지가 살아있는 모습이네요. 스포티하면서도 럭셔리해보이기도 하고.. 사진으로는 매우 만족스러운걸요? BH380 럭셔리 모델이 Worth to buy 네요.
2008.01.09 15:51:56 (*.234.39.5)

홈페이지 가서 견적뽑기를 해보니
생선가시그릴이 아닌 일자형그릴을 하려면 SCC(스마트크루즈컨트롤)을 선택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330에서는 프라임팩이상인가로 올라가야만 하더군요...
오로지 생선가시그릴만 피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_-;;
생선가시그릴이 아닌 일자형그릴을 하려면 SCC(스마트크루즈컨트롤)을 선택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330에서는 프라임팩이상인가로 올라가야만 하더군요...
오로지 생선가시그릴만 피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_-;;
2008.01.09 16:01:24 (*.229.116.62)

고급사양 옵션포함 가격들은.. 렉서스, 인피니티, 레전드, 크라이슬러등은 안중에도 없는 듯한 느낌입니다. ㅎㅎ 비슷한가격과 출력의 AWD 레전드, FF 의 렉서스 E350 에는 FR과 스마트크루즈로 대응하겠다는 전략같은데, 많이 빠듯해 보이네요.
마케팅 컨셉부터, 벤츠, 베엠베, 아우디와 붙혀놓은건 매우 영악한 전략같습니다. 일본 미국차와 비교하지말고, 독일차랑 가격비교하라고 세뇌를 시킨 듯. ^^
마케팅 컨셉부터, 벤츠, 베엠베, 아우디와 붙혀놓은건 매우 영악한 전략같습니다. 일본 미국차와 비교하지말고, 독일차랑 가격비교하라고 세뇌를 시킨 듯. ^^
2008.01.09 16:08:58 (*.230.253.111)

소위 마케팅이라 미화되는 HMC의 옵션질이 드디어 심판을 받을날이 왔군요. 상급모델들은 만드는 사람들이나 사는 사람들이나 그저 "얼굴마담"정도로만 여겨지게 될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신형 모닝 견적내기를 해봤는데.."사견을 전제로" 경차에 어울리지 않는 옵션들이 추가가 되야 ABS를 달 수 있네요...에어백하고 ABS가지고는 좀 장난 안쳤으면 좋겠는데..)
연구소내의 전반적 인식이...미국차하곤 이제 비교안한다는 풍조가 좀 있었던것 같긴합니다만, 상품성으로 보면 300C같은 차들과도 마냥 쉽게 대적이 될꺼란 생각은 안드는데..너무 렉서스를 의식하는게 아닌지--;
연구소내의 전반적 인식이...미국차하곤 이제 비교안한다는 풍조가 좀 있었던것 같긴합니다만, 상품성으로 보면 300C같은 차들과도 마냥 쉽게 대적이 될꺼란 생각은 안드는데..너무 렉서스를 의식하는게 아닌지--;
2008.01.09 16:21:21 (*.152.36.218)

쓸만한 모델이라면 7천은 줘야하는데...
7천이면 외제차 어떤것들을 살 수 있을까요?
너무 많아서 떠올리기도 힘드네
뭐 그렇게 원하는대로 돈은 받으라고 하고, AS나 미국과 같은 조건에 해주면 또 모르죠..
7천이면 외제차 어떤것들을 살 수 있을까요?
너무 많아서 떠올리기도 힘드네
뭐 그렇게 원하는대로 돈은 받으라고 하고, AS나 미국과 같은 조건에 해주면 또 모르죠..
2008.01.09 16:53:13 (*.229.116.62)

4050 만원짜리 기본모델은 구미가 당깁니다.
제 시각에선 불필요한 옵션들이 쫙~ 다 빠져서 마음에 쏙 들거든요.ㅋ 신뢰성있는 6단밋션에 적당한 출력.. 드라이빙 중엔 음악도 별 안즐기는 타잎이라 렉시콘오디오 관심없고..썬루프도 천정낮아지고 강성 쫌이라도 약해져서 싫고, 내비니 전방카메라니, 스마트크루즈니~ 몽땅 쓸데없는 옵션이네요. ㅎㅎ
3800 cc 는 요즘같은 고유가시대에 미안한 마음이 드는게 사실이고, 힘쎈만큼 둔중할 듯 싶네요. 베이직 모델은..수평비교 불가이긴 하지만 같은가격대 골프GTi 와 비교하면, 40대 가장입장에선 무조건 제네시스 '윈'일거 같습니다.ㅋ
제 시각에선 불필요한 옵션들이 쫙~ 다 빠져서 마음에 쏙 들거든요.ㅋ 신뢰성있는 6단밋션에 적당한 출력.. 드라이빙 중엔 음악도 별 안즐기는 타잎이라 렉시콘오디오 관심없고..썬루프도 천정낮아지고 강성 쫌이라도 약해져서 싫고, 내비니 전방카메라니, 스마트크루즈니~ 몽땅 쓸데없는 옵션이네요. ㅎㅎ
3800 cc 는 요즘같은 고유가시대에 미안한 마음이 드는게 사실이고, 힘쎈만큼 둔중할 듯 싶네요. 베이직 모델은..수평비교 불가이긴 하지만 같은가격대 골프GTi 와 비교하면, 40대 가장입장에선 무조건 제네시스 '윈'일거 같습니다.ㅋ
2008.01.09 16:59:37 (*.248.30.181)
벌써 ㅂㅂㄷㄹ 사이트에서는 역수에 대한 글이 올라오더군요. "어떤 차를 얼마에 역수하겠다."
A/S만 동일(?)하다면 제시하는 가격은 좋아 보였습니다.
많이 팔리면 가격이 저렴해지는 것은 이해가 되고 후발주자로 많이 팔기 위해 가격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 옳지만 국민을 바보로 만들면서 그렇게까지 해야 하는지 정말로 의문입니다.
이번에 모닝을 알아보면서 ABS, 에어백은 slx(상위모델)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더군요. 고급차는 안전사항이 기본인 것이 정상이고, 일반차는 이윤이 많이 될 수 있도록만 하겠다라는 취지로 이해를 했습니다.
정말 국산차는 살 차가 없다는 것이 요즘 느끼는 부분입니다.
외국차는 더할 나위없고,
기름값을 보면 꼭 차를 구입해야 하나 생각도 들고,
왕복 거리를 보면 차 없으면 시간 소비가 너무 아깝고요. 힝~
A/S만 동일(?)하다면 제시하는 가격은 좋아 보였습니다.
많이 팔리면 가격이 저렴해지는 것은 이해가 되고 후발주자로 많이 팔기 위해 가격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 옳지만 국민을 바보로 만들면서 그렇게까지 해야 하는지 정말로 의문입니다.
이번에 모닝을 알아보면서 ABS, 에어백은 slx(상위모델)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더군요. 고급차는 안전사항이 기본인 것이 정상이고, 일반차는 이윤이 많이 될 수 있도록만 하겠다라는 취지로 이해를 했습니다.
정말 국산차는 살 차가 없다는 것이 요즘 느끼는 부분입니다.
외국차는 더할 나위없고,
기름값을 보면 꼭 차를 구입해야 하나 생각도 들고,
왕복 거리를 보면 차 없으면 시간 소비가 너무 아깝고요. 힝~
2008.01.09 17:05:53 (*.219.0.69)

국내 판매 중인 300C.. 벤츠 디젤 얹은 모델(6280)을 제외하고 V6 3.5, 249마력, 5단 AT 모델이 차 값 5780만원입니다. 위에 BH330 프라임 팩+선루프+DIS 모델이 5430만원이니까 이 모델하고 비교하면 딱 350만원 차이 나네요.
300C가 좀 더 우세하다고 생각하는 점... 휠베이스 3050mm에 5m넘는 대형차급의 차체가 생각나구요, 휠타이어 사이즈가 225/60 R18로 1인치 크네요. 뒷좌석 열선과 6:4 분할 폴딩 기능도 300C에만 있구요. 실내 나무 장식이 진짜 캘리포니아 호두나무인 점, 메모리 기능에 오디오 프리셋이 추가된 것도 우세할 듯.. 40가지 정도 퍼스널 세팅이 가능한 EVIC도 300C 쪽이 더 나을 것 같네요.
반면 BH는,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하고 스마트키, 전동 리어커튼, 후석 오디오 리모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정도일 듯 싶습니다. 렉시콘 17스피커도 우세 항목이고, 오디오가 8인치인점, 6매 DVD 체인저, 음성인식 기능도 그렇군요.
외부 디자인은 개인 취향이라고 뺀다고 해도, BH와 300C급의 대형차 시장에서 350만원 차이는 크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러면 안되겠지만(걸리면 죽음입니다. -_ㅡ+++++) 만약 저희 영업사원이나 딜러에서 얼마간의 네고(?)를 해준다면 차이가 사실은 거의 없어지겠네요. ㅎ
물론 5520만원의 VIP팩으로 올라가 파워 트렁크, 에어 서스펜션, 냉난방 통풍 시트, 천연가죽 내장을 기본으로 달고, DIS와 스마트 크루즈컨트롤, 전방 카메라 옵션 640만원을 더해 6160만원짜리 BH를 선택한다면, 반대로 제네시스가 380만원이 비싸지는군요. 가격에서도 옵션에서도 월등히 좋은 차가 되네요. 물론 크라이슬러 차를 좋아하는 ^^; 저로써는 이쯤 되면 토크 52kg에 0-100km 7초대이면서 연비는 11.9km인 300C 디젤(6280만원)을 고르겠습니다만... ㅎㅎㅎ 아니면 6천800만원대의 528로 가는 경향이 더 크지 않을까요?
국내 판매 모델인 300C 3.5의 옵션을 그대로 더한다면(국내만 있는 옵션들도 있습니다.) 미국 판매가 대충 4만달러 중반쯤 합니다. 3천밖에 안하는데 6천을 받아먹냐고 비난하지 마시고(노이로제입니다. ㅋㅋㅋ) 4천 혹은 5천대인 BH가 미국에서 얼마에 런칭할지가 정말, 정말 궁금해집니다.
300C가 좀 더 우세하다고 생각하는 점... 휠베이스 3050mm에 5m넘는 대형차급의 차체가 생각나구요, 휠타이어 사이즈가 225/60 R18로 1인치 크네요. 뒷좌석 열선과 6:4 분할 폴딩 기능도 300C에만 있구요. 실내 나무 장식이 진짜 캘리포니아 호두나무인 점, 메모리 기능에 오디오 프리셋이 추가된 것도 우세할 듯.. 40가지 정도 퍼스널 세팅이 가능한 EVIC도 300C 쪽이 더 나을 것 같네요.
반면 BH는, 뒷좌석 사이드 에어백하고 스마트키, 전동 리어커튼, 후석 오디오 리모콘에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정도일 듯 싶습니다. 렉시콘 17스피커도 우세 항목이고, 오디오가 8인치인점, 6매 DVD 체인저, 음성인식 기능도 그렇군요.
외부 디자인은 개인 취향이라고 뺀다고 해도, BH와 300C급의 대형차 시장에서 350만원 차이는 크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러면 안되겠지만(걸리면 죽음입니다. -_ㅡ+++++) 만약 저희 영업사원이나 딜러에서 얼마간의 네고(?)를 해준다면 차이가 사실은 거의 없어지겠네요. ㅎ
물론 5520만원의 VIP팩으로 올라가 파워 트렁크, 에어 서스펜션, 냉난방 통풍 시트, 천연가죽 내장을 기본으로 달고, DIS와 스마트 크루즈컨트롤, 전방 카메라 옵션 640만원을 더해 6160만원짜리 BH를 선택한다면, 반대로 제네시스가 380만원이 비싸지는군요. 가격에서도 옵션에서도 월등히 좋은 차가 되네요. 물론 크라이슬러 차를 좋아하는 ^^; 저로써는 이쯤 되면 토크 52kg에 0-100km 7초대이면서 연비는 11.9km인 300C 디젤(6280만원)을 고르겠습니다만... ㅎㅎㅎ 아니면 6천800만원대의 528로 가는 경향이 더 크지 않을까요?
국내 판매 모델인 300C 3.5의 옵션을 그대로 더한다면(국내만 있는 옵션들도 있습니다.) 미국 판매가 대충 4만달러 중반쯤 합니다. 3천밖에 안하는데 6천을 받아먹냐고 비난하지 마시고(노이로제입니다. ㅋㅋㅋ) 4천 혹은 5천대인 BH가 미국에서 얼마에 런칭할지가 정말, 정말 궁금해집니다.
2008.01.09 17:06:37 (*.152.6.74)

나름 관심있어 보다 가격에 고개가 갸웃... 하고 있었는데 바로위 이익렬님 글을 보니 기본모델은 정말 상당한 경쟁력이 있는거 같군요. 기본차량에 필요한것은 밖에서 사다 달면 될듯.
요즘은 파킹센서니 매립식 네비게이션, 크롬몰딩, 등등등.. 다 잘 나오는것 같더라구요.
요즘은 파킹센서니 매립식 네비게이션, 크롬몰딩, 등등등.. 다 잘 나오는것 같더라구요.
2008.01.09 17:24:38 (*.236.178.205)

수입차의 DC는 공공연한 사실인데, 현지법인에서 DC를 못하게 강제하는건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일가로 팔거 같으면 딜러도 여럿 둘 필요없고 영업사원까지도 불필요할수있겠군요.
암튼, 국산차는 상대적으로 DC가 거의 없다는것을 고려한다면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정말 어리둥절할 수 밖에 없고 미국 판매가까지 정식 비교하게 되면 더더욱 현대의 가격책정에 말들이 많아질것 같군요.
수입차나 국산차나 정말 개거품 물게 하는 거품이네요...
깡통옵션에 수동이나 달아주지..ㅋㅋ
암튼, 국산차는 상대적으로 DC가 거의 없다는것을 고려한다면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정말 어리둥절할 수 밖에 없고 미국 판매가까지 정식 비교하게 되면 더더욱 현대의 가격책정에 말들이 많아질것 같군요.
수입차나 국산차나 정말 개거품 물게 하는 거품이네요...
깡통옵션에 수동이나 달아주지..ㅋㅋ
2008.01.09 17:26:23 (*.220.0.124)
타이어가 너무 가늘어서 이거어디 스포츠드라이빙 가능 한가 의심 스럽습니다.223/55,235/50으론 글쎄요...그냥 245/45R18로 넣어주지...! 가격도 복잡하고, 기대도 크지만 찜찜하네요...
2008.01.09 17:53:52 (*.64.140.230)

발표 첫날인 어제 4,500대 (사전계약분 포함) 계약되었고, 2일차인 오늘까지 합치면 5천대 넘게 계약이 되었다고 합니다. 가격대를 고려할때 하나의 "놀라운 현상"이 아닐까 싶네요.
이 많은 고객이 전부 수입차구매고려 고객군에서 온것 같지는 않고.. 제 추측이지만, 기존 국산차 오너 : 수입차와 저울질하던 소비자 = 8:2 정도 비율로 계약을 하지 않았을까요?
아뭏든 많은 논란속에서, 시장의 첫반응은 무척이나 고무적이라고 보여집니다.
이 많은 고객이 전부 수입차구매고려 고객군에서 온것 같지는 않고.. 제 추측이지만, 기존 국산차 오너 : 수입차와 저울질하던 소비자 = 8:2 정도 비율로 계약을 하지 않았을까요?
아뭏든 많은 논란속에서, 시장의 첫반응은 무척이나 고무적이라고 보여집니다.
2008.01.09 17:54:03 (*.134.225.3)
가격적인 코멘트는 뭐... 좋으면 좋다고 표현하겠지만. 맘에 안든다고 표현하자면 또 한도없어서... 그냥... 그래도 현대가 마케팅은 '참' 잘해요 ^^;
2008.01.09 18:01:07 (*.229.116.62)

동희님 넘 웃겨요.ㅋㅋ
닷지 차저나 줌 수입해주세요. 아들녀석 드림칸데.. ^^
그쵸~재훈님? 3600 대의 머스탱을 생각해봤었는데, 출력이랑 편의사항면에서 BH330 그랜드가 압도하네요. 컨버터블 보다는 외려 싸고..ㅋ 강욱님, G35 스포츠랑은 수평비교가 어려울듯 합니다. 850 만원에 50마력 우위도 매력있긴 한데, 거주성과 편의사항을 생각하면..? 살인적인 G35 의 연비도 그렇고..냠.
닷지 차저나 줌 수입해주세요. 아들녀석 드림칸데.. ^^
그쵸~재훈님? 3600 대의 머스탱을 생각해봤었는데, 출력이랑 편의사항면에서 BH330 그랜드가 압도하네요. 컨버터블 보다는 외려 싸고..ㅋ 강욱님, G35 스포츠랑은 수평비교가 어려울듯 합니다. 850 만원에 50마력 우위도 매력있긴 한데, 거주성과 편의사항을 생각하면..? 살인적인 G35 의 연비도 그렇고..냠.
2008.01.09 18:17:03 (*.133.99.150)

가장 먼저 타격은 기아 오피러스 3.3이 입을 것 같습니다. 가격도 비슷하고 8 에어백에 VDC 장비도 비슷하고... 미국판매가격은 35000달러를 넘지는 못하리라 예상합니다. TG보다 1만달러 이상 비싸게 불러서는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현대로서는 엄청난 모험이라고 봅니다. 35000달러면 인피니티 G35 최고급형도 살 수 있으니까요.
제네시스는 국내에서는 나름 선방할 거라 봅니다. 소비자 특성상 풀옵션보다는 4천만원짜리 기본옵션이 많이 팔릴 것 같습니다. 오피러스와 중첩되기도 하고 TG 3.3과 500만원 정도 차이나니까요.
제네시스는 국내에서는 나름 선방할 거라 봅니다. 소비자 특성상 풀옵션보다는 4천만원짜리 기본옵션이 많이 팔릴 것 같습니다. 오피러스와 중첩되기도 하고 TG 3.3과 500만원 정도 차이나니까요.
2008.01.09 18:57:25 (*.219.0.69)

저는 물론이고 저희 법인에서도 할인 또는 비할인을 강제하지 않습니다. ㅎㅎ 다만 할인 판매에 따라 딜러 및 영업사원 수익이 떨어질 것이 분명한데 할인해서 팔아라라고 말할 수입차 임포터가 있다면 바보겠죠.
되려 십원한장 할인 없는 국산차 메이커는 왜 공정 거래 위원회에서 아무런 조치가 없는 걸까요? 하하...
닷지 차저... 저도 가지고 싶답니다. 검정색 SRT-8ㅎㅎ 깜독님 언제 회사 근처 오실 일 있으시면 들리세요. 저희 회사차 튜닝한걸로 만든 달력이 하나 생겼는데 아드님 선물 드리겠습니다. ㅎㅎ
되려 십원한장 할인 없는 국산차 메이커는 왜 공정 거래 위원회에서 아무런 조치가 없는 걸까요? 하하...
닷지 차저... 저도 가지고 싶답니다. 검정색 SRT-8ㅎㅎ 깜독님 언제 회사 근처 오실 일 있으시면 들리세요. 저희 회사차 튜닝한걸로 만든 달력이 하나 생겼는데 아드님 선물 드리겠습니다. ㅎㅎ
2008.01.09 19:29:23 (*.138.162.221)

모든분들께서 제네시스에 대한 관심이 많으시네요. 지금까지와 다르게 고가의 차량인 만큼 가격에 보답하는 차량을 선보였으면 좋겠습니다. 다시말해서 가치가 있는 차이기를 빕니다.
2008.01.09 20:23:29 (*.178.167.156)

웁스! 5000 대!! 연간 벤츠 판매량이군요!! 단 이틀만에!! 대한민국 만세~!! 현대 만세~!!
경기 나쁘다는 거 다 거짓말이네요 ㅎㅎ 노 대통령께서 재임기간동안 경제를 살리셨나 봅니다.
경기 나쁘다는 거 다 거짓말이네요 ㅎㅎ 노 대통령께서 재임기간동안 경제를 살리셨나 봅니다.
2008.01.09 20:43:33 (*.147.110.239)

역수해서 별 차이없다면 역수가 낫겠네요. 잘 만든 차라고 생각되지만 가격은 구매하려고 마음먹었다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군요.
2008.01.09 20:49:08 (*.111.228.106)

흠냐..올해 코스모스 졸업을 희망-_-하는지라 현대기아차그룹에 꼭 합격하리라는 나름의 각오가 있지만 옵션 장난질을 볼때면 정말 정 떨어집니다..나중에 제가 저런 정책을 만들어야 할테니까요..T_T
2008.01.09 21:21:03 (*.54.88.206)

최고급 신차가 이틀만에 5천대 계약되는 역사가 있었던가요? 허걱~, 어쨋든, 많이 팔려서 많이 고쳐지고 훌륭한 자랑스런 차로 다듬어지면, 또 다른 기대감에 후기작들을 기대하는 맘이 생겼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옵션질은 눈물나네요. 쯔읍~ 역시 달라진게 없다는 건가?
2008.01.09 22:22:16 (*.42.172.173)

이익렬님께서 가려운 곳을 '써억!' 하고 살짜쿵 긁어주셨네여..(^^*)
기본형이라면 가격경쟁력은 나름 있어보임다. 5단 미션인 티쥐에서두 제한속도까정 욜로리 종종 나와주었고 세팅만 잘 되어있다면 당근 6단 미션을 달고나오는 제네시스 정도면 달릴때 찾기두 쉽지는 않을듯..
실내공간 활용하는 용빼는 재주야 현대차이니 확실할테공.. 티쥐때두 연비가 잘 나와줬었는데 제네시스는 출력이나 연비가 더 좋군여. 조만간 윤명근님의 티쥐에두 제네시스의 엔진부속들이 삽입? 될려나..쿠쿠.
최고급 옵션의 차량은 얼마나 화끈하게 꾸며놨길래 인테리어비용이 절케 나올까 저역시 많이 궁금하긴 합니다만..훔.
암튼, 저역시 수평비교 불가이긴 하나(티쥐같은 대형세단을 중미산 와인딩용으로 사용하시는 회원분도 계시긴합니다만..쩝.) 같은가격대 골프GTi 와 비교하면, 30대 가장입장에선 무조건 제네시스 '윈'일거 같습니다.ㅋ
기본형이라면 가격경쟁력은 나름 있어보임다. 5단 미션인 티쥐에서두 제한속도까정 욜로리 종종 나와주었고 세팅만 잘 되어있다면 당근 6단 미션을 달고나오는 제네시스 정도면 달릴때 찾기두 쉽지는 않을듯..
실내공간 활용하는 용빼는 재주야 현대차이니 확실할테공.. 티쥐때두 연비가 잘 나와줬었는데 제네시스는 출력이나 연비가 더 좋군여. 조만간 윤명근님의 티쥐에두 제네시스의 엔진부속들이 삽입? 될려나..쿠쿠.
최고급 옵션의 차량은 얼마나 화끈하게 꾸며놨길래 인테리어비용이 절케 나올까 저역시 많이 궁금하긴 합니다만..훔.
암튼, 저역시 수평비교 불가이긴 하나(티쥐같은 대형세단을 중미산 와인딩용으로 사용하시는 회원분도 계시긴합니다만..쩝.) 같은가격대 골프GTi 와 비교하면, 30대 가장입장에선 무조건 제네시스 '윈'일거 같습니다.ㅋ
2008.01.09 22:42:55 (*.79.156.51)

5000대 계약은 고객의 예약도 있겠지만, 전국에 산재한 현대 영업소에서 예약을 한 것일 겁니다.
고객이 차를 사러 왔을 때 출고 일도 맞춰야하고, 영업소 별로 할당도 있을 거고...
제 예상보다는 가격이 약간 비싸네요.
베이직 모델 3천 중반, 고급형 4천 초반이면 대박날텐데...
디자인이나 어떤 면으로 보나 참 호의적으로 보고 있었습니다만.
에쿠스의 포지션 때문에 애매해졌는지 모르겠으나, 가격 책정은 좀 서운하기도 하네요.
아무리 봐도 수입차 가격이 국산차 가격 책정의 근거가 되는 건가 봅니다.
마치 주택공사가 주공 아파트 분양 시킬 때 '주변 시세'가 분양가 책정의 근거가 되듯이 말이죠.
참 편리한 방법이죠. ( 역시 장사는 이렇게 하는 겁니다! 감탄...)
고객이 차를 사러 왔을 때 출고 일도 맞춰야하고, 영업소 별로 할당도 있을 거고...
제 예상보다는 가격이 약간 비싸네요.
베이직 모델 3천 중반, 고급형 4천 초반이면 대박날텐데...
디자인이나 어떤 면으로 보나 참 호의적으로 보고 있었습니다만.
에쿠스의 포지션 때문에 애매해졌는지 모르겠으나, 가격 책정은 좀 서운하기도 하네요.
아무리 봐도 수입차 가격이 국산차 가격 책정의 근거가 되는 건가 봅니다.
마치 주택공사가 주공 아파트 분양 시킬 때 '주변 시세'가 분양가 책정의 근거가 되듯이 말이죠.
참 편리한 방법이죠. ( 역시 장사는 이렇게 하는 겁니다! 감탄...)
2008.01.09 22:44:41 (*.64.140.230)

이종권님 말씀대로 그동안 경제가 죽었네~ 경제를 살려야 하네~ 이런말은 다 뻥인가 봅니다ㅋㅋ 평균가격을 4천5백만원으로 가정하면, 단 2일만에 약 2천2백억원어치의 제네시스가 팔려나갔군요? ㄷㄷㄷ
2008.01.10 00:21:08 (*.123.219.122)

공은표님 / 굉장한 빽(?)이 있으신가 봅니다. 그런 정책만드는 부서는 정말 천운이거나 굉장한 줄이 있어야 갈 수 있답니다.
이동희님 / 전에 말씀하신 고성능 디비전을 맡게되셨나 보네요. 축하드립니다. 전에 SRT버전 300C를 동승한적 있는데 감동의 가속이 밀려오더군요. 모니터 하실때 동승좀 부탁할께요.~
이동희님 / 전에 말씀하신 고성능 디비전을 맡게되셨나 보네요. 축하드립니다. 전에 SRT버전 300C를 동승한적 있는데 감동의 가속이 밀려오더군요. 모니터 하실때 동승좀 부탁할께요.~
2008.01.10 00:34:04 (*.57.29.97)

선루프는 고객 입장에서는 사치스럽지 않은데 현대 입장에서는 사치스러운 디바이스 아닐까요?
일전에 NF 초창기에 선루프 차량 판매율을 20% 로 예상했다가 9%도 채 안되어서 물먹었다는 기사를 살짝 읽은적이 있습니다. 그 뒤로 여전히 현대는 선루프에 대해선 굉장히 보수적인 포지션을 취하네요.
선루프를 살 정도의 사람이면 풀옵션을 받아들인다는... 그런 계산도 있어보이고요.
일전에 NF 초창기에 선루프 차량 판매율을 20% 로 예상했다가 9%도 채 안되어서 물먹었다는 기사를 살짝 읽은적이 있습니다. 그 뒤로 여전히 현대는 선루프에 대해선 굉장히 보수적인 포지션을 취하네요.
선루프를 살 정도의 사람이면 풀옵션을 받아들인다는... 그런 계산도 있어보이고요.
2008.01.10 01:18:26 (*.127.196.140)
외제차도 충분히 박리다매가 가능하다는것을 보여주는 일례죠...
제네시스 현재의 계약량이 얼마나 갈지는 두고볼일이지만...
제네시스 현재의 계약량이 얼마나 갈지는 두고볼일이지만...
2008.01.10 01:57:31 (*.229.116.62)

홋~ 동희님, 스타타워 꼭 들를게요. 아무도 주지 마세요. 찜~!!! ^^
실은 제네시스 운동성에 제일 관심있는데, 지난번 시승행사 이후로 참고가 될만한 실한 리뷰가 없네요. 인스트럭터로 참가했던 김돈영군에게 " 제네시스 벰베,벤츠랑 비교해서 어때?" 글케 물었더니.. 횡설수설하며, 이러더군요.
돈영: " 아예..예? 에..그게.. 그냥..잘 모르겠어요. 하튼 인테리어는 끝장이애여~"
깜독: " 그래도 가속성이나 핸들링 같은거 느껴봤을거 아냐~"
돈영: "아..그거요? 그게..에.. 그냥 벰베,벤츠랑 막~섞어가꼬 신나게 타느라 어느게 어떤찬지 기억이 잘 안나요."
깜독: 줴길..ㅡ,.ㅡ; ㅋㅋ
실은 제네시스 운동성에 제일 관심있는데, 지난번 시승행사 이후로 참고가 될만한 실한 리뷰가 없네요. 인스트럭터로 참가했던 김돈영군에게 " 제네시스 벰베,벤츠랑 비교해서 어때?" 글케 물었더니.. 횡설수설하며, 이러더군요.
돈영: " 아예..예? 에..그게.. 그냥..잘 모르겠어요. 하튼 인테리어는 끝장이애여~"
깜독: " 그래도 가속성이나 핸들링 같은거 느껴봤을거 아냐~"
돈영: "아..그거요? 그게..에.. 그냥 벰베,벤츠랑 막~섞어가꼬 신나게 타느라 어느게 어떤찬지 기억이 잘 안나요."
깜독: 줴길..ㅡ,.ㅡ; ㅋㅋ
2008.01.10 02:18:13 (*.7.28.233)

베이직 모델은 괜찮군요......쓸데없는 옵션은 고장날 확율도 크고 ...미국에서 들여오는것도 괜찮을듯 합니다... 4~5천만원이면 선택 할 차가 꽤 되는군요......특A급의 중고 벤츠 E350이나 S350 중고도 충분하니까요..
2008.01.10 05:36:56 (*.7.206.199)

아주 많은 사람들이 역수입해오는 것을 고려하는 걸 볼 수가 있는데요. 현대의 내수용 가격 정책의 수정은 요원한 것일까요..?
2008.01.10 09:47:00 (*.64.140.230)

"현대의 내수용 가격 정책"은 현재의 ①독과점체제, ②고가격을 선호하는 비합리적인 소비성향, 요 2가지가 바뀌지 않으면 앞으로도 지속될것입니다. 그러나 최근 수입차의 판매증가와 가격인하 추세는 ①번을 무너뜨릴 가능성이 있겠죠?
2008.01.10 12:11:57 (*.46.122.32)

이익렬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기본 장비로도 충분하다고 여겨집니다..
스마트크루즈컨트롤 - 이거 우리나라에서 정말 쓸데 없는 장비이고 또한 위험합니다..
전자제어서스펜션 - 이거 이동섭님께서 잘 아실것 같은데, MR댐퍼 맞지요?? 과격한 드라이빙이나 극악으로 나쁜 노면상황을 주행할 때 빼곤 쓸데 없습니다.. 또한 고장나면 견적 대박입니다.. 과거 마르샤도 단순한 전자제어식 서스펜션을 옵션으로 들고 나왔다가 보증기간동안 바꿔주느라고 손해 많이 본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후에 또 고장난 차량들은 대부분 아랫급에 장착되는 노멀 댐퍼로 바꾸더군요..-_-
스마트크루즈컨트롤 - 이거 우리나라에서 정말 쓸데 없는 장비이고 또한 위험합니다..
전자제어서스펜션 - 이거 이동섭님께서 잘 아실것 같은데, MR댐퍼 맞지요?? 과격한 드라이빙이나 극악으로 나쁜 노면상황을 주행할 때 빼곤 쓸데 없습니다.. 또한 고장나면 견적 대박입니다.. 과거 마르샤도 단순한 전자제어식 서스펜션을 옵션으로 들고 나왔다가 보증기간동안 바꿔주느라고 손해 많이 본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후에 또 고장난 차량들은 대부분 아랫급에 장착되는 노멀 댐퍼로 바꾸더군요..-_-
2008.01.10 12:37:46 (*.162.86.253)
지금 한국 경제는 반만년 역사중 BEST입니다.. 누가 경제가 나쁘다고 하는지...-_-(알지만 여기다 쓰면 잡혀가니.ㅡㅡ;) 평균적으로 2천중후반의 쏘나타(등록까지 족히 3천) 3천중후반 그져(부대비용까지 4천은 가져야죠) 1천 중후반 아반떼(역시 2천정도 들죠) 승용차가 판매 1,2,3위입니다....저는 저 가격에서 40프로는 내려가야 구미가 당기는데 잘도 사십니다..-_- 완전경쟁시장까지는 바라지도 않지만 언제나 정상화가 될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