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S 320 CDI의 국내 출시에 앞서 약 2천km 구간 시승을 했습니다. S클래스 시승기는 자주 다뤄진 부분이기 때문에 초점을 정숙성과 연비에 맞춰 봤습니다.
-소개-
짧게 차량에 대한 설명을 하자면, 3천cc 6기통 디젤로 235마력에 자동7단 변속기가 적용되어 0-100: 7.8초 끊는 기존 LWB(롱 휠 베이스)가 아닌 SWB(숏 휠 베이스) 모델입니다. 오너 드라이버에게 적격인 차체 사이즈와 오피러스보다 조금 넓은 뒷공간은 패밀리카로서 안성맞춤인 S클래스라고 생각합니다.
옵션으로 SWB 특징답게 파노라마 (선택불가) 대신 일반 썬루프와 뒷좌석에 할당된 옵션이 빠졌고, 외부에서 보았을 때는 SWB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18" 휠까지 S 350 L과 동일합니다. 가격은 S 350 L보다 약 25% 정도 저렴하다고 합니다.
S 320 CDI 부터 신규 추가되는 2008년 기본사양 품목 중에는 계기판과 COMAND(AVN)가 통합된 한글화 시스템과 내비게이션 시스템인데, 내비게이션은 내수용 전용으로 시가지의 경우 3D REAL이 구현되는 특징이 있으며 Ms. English 영어로도 주행안내가 됩니다.
-정숙성-
NVH 측면에서는 역시나 S클래스라고 말할 수 있을 수준이며, 아이들링 시와 70km/h 이하 구간에서는 디젤 특유의 엔진 음색이 들려옵니다. 연료 자체의 특성에 따른 엔진 특징상 지금껏 시승해본 4기통 C 220 CDI나 E 220 CDI, 또는 6기통 ML 280 CDI에 에 비하면 정숙성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디젤 엔진이기 때문에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청취해서 그렇지 왠만하면 신경도 쓰이지 않을 수준이라고 판단되며, 2005년 S클래스 첫 출시 때 초기 계약분의 70%가 S 320 CDI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입증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S 320 CDI와 S 350 L 구입을 놓고 고민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며, 경제성과 환경 친화적인 부분들을 막론하고 오로지 LWB(롱 휠 베이스)를 타야하는 이유라면 S 500 L으로 가는게 일반적이라고 봅니다.
-연비-
주유 탱크 용량이 90리터로 강남에서 리터당 1500원하는 일반 경유를 주입 시 135,000원이라는 단순 계산이 나옵니다. 시동을 걸면 마지막 트립(trip) 상황에 따른 평균 연비를 대입해 주행가능거리를 표시하는데 이번의 경우 1302km를 가리킵니다.
참고로, 독일 공식 제원에 따르면;
평균 시가지 12km/l
시내 6.4km/l
고속도로 15.2km/l로 나와있습니다.
국내 공인 연비는 10.0km/l로 1등급으로 나왔습니다.
커먼레일 계열의 디젤을 타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디젤의 높은 연료 효율 덕분인지 강남 일대에서만 주행 시 연료 경고등 점등 시까지 주행상황에 따라 최저 650km에서 평균 750km 주행이 가능하며, 최대인 고속도로의 경우 부산 왕복 8시간 기준 총 840km 주행 후 바늘 1/4칸이 남은 상태로 주행가능거리가 426km로 최초 가득 주입 시 제시됬던 1302km가 실제 달성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요즘 고유가 시대에 현명한 부유층 사이에서도 경제적인 차를 찾는다던데 개인소유의 패밀리카로 S 320 CDI를 소유하는 것도 좀 더 넓은 관점에서 보자면 올바른 선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저도 디젤 그리고 와이프도 이번에 디젤로 주문했습니다. ^^
-소개-
짧게 차량에 대한 설명을 하자면, 3천cc 6기통 디젤로 235마력에 자동7단 변속기가 적용되어 0-100: 7.8초 끊는 기존 LWB(롱 휠 베이스)가 아닌 SWB(숏 휠 베이스) 모델입니다. 오너 드라이버에게 적격인 차체 사이즈와 오피러스보다 조금 넓은 뒷공간은 패밀리카로서 안성맞춤인 S클래스라고 생각합니다.
옵션으로 SWB 특징답게 파노라마 (선택불가) 대신 일반 썬루프와 뒷좌석에 할당된 옵션이 빠졌고, 외부에서 보았을 때는 SWB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18" 휠까지 S 350 L과 동일합니다. 가격은 S 350 L보다 약 25% 정도 저렴하다고 합니다.
S 320 CDI 부터 신규 추가되는 2008년 기본사양 품목 중에는 계기판과 COMAND(AVN)가 통합된 한글화 시스템과 내비게이션 시스템인데, 내비게이션은 내수용 전용으로 시가지의 경우 3D REAL이 구현되는 특징이 있으며 Ms. English 영어로도 주행안내가 됩니다.
-정숙성-
NVH 측면에서는 역시나 S클래스라고 말할 수 있을 수준이며, 아이들링 시와 70km/h 이하 구간에서는 디젤 특유의 엔진 음색이 들려옵니다. 연료 자체의 특성에 따른 엔진 특징상 지금껏 시승해본 4기통 C 220 CDI나 E 220 CDI, 또는 6기통 ML 280 CDI에 에 비하면 정숙성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디젤 엔진이기 때문에 조금 더 관심을 갖고 청취해서 그렇지 왠만하면 신경도 쓰이지 않을 수준이라고 판단되며, 2005년 S클래스 첫 출시 때 초기 계약분의 70%가 S 320 CDI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어느 정도 입증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S 320 CDI와 S 350 L 구입을 놓고 고민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며, 경제성과 환경 친화적인 부분들을 막론하고 오로지 LWB(롱 휠 베이스)를 타야하는 이유라면 S 500 L으로 가는게 일반적이라고 봅니다.
-연비-
주유 탱크 용량이 90리터로 강남에서 리터당 1500원하는 일반 경유를 주입 시 135,000원이라는 단순 계산이 나옵니다. 시동을 걸면 마지막 트립(trip) 상황에 따른 평균 연비를 대입해 주행가능거리를 표시하는데 이번의 경우 1302km를 가리킵니다.
참고로, 독일 공식 제원에 따르면;
평균 시가지 12km/l
시내 6.4km/l
고속도로 15.2km/l로 나와있습니다.
국내 공인 연비는 10.0km/l로 1등급으로 나왔습니다.
커먼레일 계열의 디젤을 타보신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디젤의 높은 연료 효율 덕분인지 강남 일대에서만 주행 시 연료 경고등 점등 시까지 주행상황에 따라 최저 650km에서 평균 750km 주행이 가능하며, 최대인 고속도로의 경우 부산 왕복 8시간 기준 총 840km 주행 후 바늘 1/4칸이 남은 상태로 주행가능거리가 426km로 최초 가득 주입 시 제시됬던 1302km가 실제 달성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요즘 고유가 시대에 현명한 부유층 사이에서도 경제적인 차를 찾는다던데 개인소유의 패밀리카로 S 320 CDI를 소유하는 것도 좀 더 넓은 관점에서 보자면 올바른 선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저도 디젤 그리고 와이프도 이번에 디젤로 주문했습니다. ^^

2008.02.02 23:31:35 (*.239.182.65)

잠시 S320 CDI를 경험 하였는데 보통 사람들이 벤츠 디젤은 실내에서
정말 소리가 안들려요? 질문을 종종 들었습니다. 벤츠라는 네임밸류에
의한 환상이나 소문인거 같습니다. 실내에서 아이들링시 디젤 특유의
소음이 들리며 중속영역에 도달하기 전까지 디젤 음색을 내며 가속
합니다. 그 이후 부터는 정말 바람가르는 소리만 내며 아주 안락하게
질주를 하더군요. 6기통 엔진이라 그런지 4기통 디젤 보다는 듣기
좋은 사운드를 내었습니다...
정말 소리가 안들려요? 질문을 종종 들었습니다. 벤츠라는 네임밸류에
의한 환상이나 소문인거 같습니다. 실내에서 아이들링시 디젤 특유의
소음이 들리며 중속영역에 도달하기 전까지 디젤 음색을 내며 가속
합니다. 그 이후 부터는 정말 바람가르는 소리만 내며 아주 안락하게
질주를 하더군요. 6기통 엔진이라 그런지 4기통 디젤 보다는 듣기
좋은 사운드를 내었습니다...
2008.02.03 00:14:19 (*.43.98.25)
S클래스는 그래도 좀 다른가보네요. 밑에 시승영상에도 언급되었지만, 220CDI는 실내나 외부나 소음이 거의 똑같이 들려서 많이 실망한 기억이 있네요..
그래도 실내에서는 좀 억제해줘야하는거 아닌지;;
그래도 실내에서는 좀 억제해줘야하는거 아닌지;;
2008.02.03 00:30:00 (*.176.214.131)

저의 경우는 (실내에서) 초반과 아이들링에서는 제법 정숙했는데 중반에 디젤 특유의 엔진음이 나고 고속으로 가면서 없어지는 느낌이더라구요...가속감도 벤츠 S클래스 라인업에서 중간치 정도... 국내에서 얼마나 팔릴지 너무 궁금한 모델입니다...
2008.02.03 07:31:44 (*.91.214.41)
글쎄요...S클래스면 1억이 넘는 고가 세단인데..정숙한 가솔린 모델을 타지 굳이 싼(?)디젤모델을 탄다....휘발유값 비싸서 경유 모델을 타는거 같이 보일수 밖에 없는데.. 웬지 한국에서나 어느나라에서든 어울리지 않네요
2008.02.03 09:51:44 (*.111.91.223)
1억정도로 나오면 대박 가능성도 높지 않나요?
폭스바겐 페이턴의 경우도 9천을 육박하는 가격에 3.0 TDI가 히트했던걸 보면..
6000cc 가솔린과 비슷한 출력은 무시할수 없죠..
폭스바겐 페이턴의 경우도 9천을 육박하는 가격에 3.0 TDI가 히트했던걸 보면..
6000cc 가솔린과 비슷한 출력은 무시할수 없죠..
2008.02.03 09:57:34 (*.22.116.168)
유럽은 디젤(유류의 질적차이)이 많이 팔린다죠?
S클래스라고 뒷좌석에서 편안함을 누리는 사람, 오너이면서 남은 공간을 어쩔수 없이 허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연비를 떠나 경제적인 관념과 디젤에 대한 이해도만 있다면 남눈이 무서워 차량을 선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봅니다.(저만 그런가요?^^)
리스 프로그램 때문에 고소득/법인차량들의 고가의 수입차가 늘었지만. 저희집처럼 아껴서 현금 차량구입하는 상황에서는 세금/감가삼각/가치를 따져 구입해야합니다.
리스프로그램이 보통 3년정도인데...그 많았던 7시리즈가 물러나고 S의 시대가 도래했듯이..3년주기가 끝나는 2008년후반~2009년에 등장하는 뉴7시리즈가 대세가 될듯합니다.
리스 얘기로 흘렀지만..+-1억이라면 가치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S클래스라고 뒷좌석에서 편안함을 누리는 사람, 오너이면서 남은 공간을 어쩔수 없이 허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연비를 떠나 경제적인 관념과 디젤에 대한 이해도만 있다면 남눈이 무서워 차량을 선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봅니다.(저만 그런가요?^^)
리스 프로그램 때문에 고소득/법인차량들의 고가의 수입차가 늘었지만. 저희집처럼 아껴서 현금 차량구입하는 상황에서는 세금/감가삼각/가치를 따져 구입해야합니다.
리스프로그램이 보통 3년정도인데...그 많았던 7시리즈가 물러나고 S의 시대가 도래했듯이..3년주기가 끝나는 2008년후반~2009년에 등장하는 뉴7시리즈가 대세가 될듯합니다.
리스 얘기로 흘렀지만..+-1억이라면 가치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2008.02.03 13:51:16 (*.183.236.4)

뉴S는 아니지만.. 기존 S의 디젤모델은 유럽에서 여러번 탈 기회가 있었습니다만,
벤츠 디젤 모델의 특성상... 소음 등 엔진 감성에 의해 압도되는 느낌보다는, '이상태로..50만까지 간다' 는 내구성에 대한 믿음이 디젤을 선택하게 만드는 이유가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10만km 뛴 차량과 30만km뛴 차량의 엔진소음과 진동이 크게 차이가 없더군요.
뉴S도 다른 벤츠 디젤 라인업(신형들)처럼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은데...
4Motion포함해서 페이튼과 가격차가 근소해 지면,
대박 날것 같네요.
벤츠 디젤 모델의 특성상... 소음 등 엔진 감성에 의해 압도되는 느낌보다는, '이상태로..50만까지 간다' 는 내구성에 대한 믿음이 디젤을 선택하게 만드는 이유가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실제로 10만km 뛴 차량과 30만km뛴 차량의 엔진소음과 진동이 크게 차이가 없더군요.
뉴S도 다른 벤츠 디젤 라인업(신형들)처럼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은데...
4Motion포함해서 페이튼과 가격차가 근소해 지면,
대박 날것 같네요.
2008.02.03 14:36:19 (*.34.30.7)

페이튼의 국내 시판가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경우고, S 320 CDI의 경우 엔트리 뉴S클래스로 자리매김하는 동시에 상당 수 저가 그레이 및 경쟁사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2008.02.03 19:29:59 (*.229.116.62)

S클래스 오너중 상당수가 사업상 중장거리 이동이 많은 분들이더군요. 중고매물들을 봐도 스포츠모델에 비해 주행거리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인데.. 엔트리급으로 디젤모델을 투입하는건 바람직한 틈새공략이라 봐집니다. 보수적인 이미지와 실용성을 동시에 얻을 수 아이템 같네요.
2008.02.05 23:59:03 (*.136.135.184)
300c 디젤 모델에 채용된 다른 엔진인가요? 마력수는 더 높습니다만.
저도 요즘은 디젤 세단에 관심이 많이 가더군요. 일 관계상 이동이 잦아서.
페이튼과 300c 디젤을 놓고 목하 고민 중입니다.
S면 좋긴 하지만, 자금과 주변의 시선 압박이 쫌 :)
저도 요즘은 디젤 세단에 관심이 많이 가더군요. 일 관계상 이동이 잦아서.
페이튼과 300c 디젤을 놓고 목하 고민 중입니다.
S면 좋긴 하지만, 자금과 주변의 시선 압박이 쫌 :)
2008.02.07 01:06:40 (*.135.228.60)

으헉... 파노라마 빠진 풀옵션 07년식 S550인데(US Ver.) 안그래도 08년식들이 환율차이로 인해 07년식보다 더 싼 가격에 팔리고, 정식에서도 S500을 취/등록세(?) 지원해주더니 급기야는 320CDI까지 나와주는군요 ㅡ.ㅡ;;
고속도로에서는 액셀을 자제하면 나름 리터당 9km까지 나와주고, 현대차와는 질적으로 틀린 미션/엔진 직결감 및 54.1kg/m의 토크로 저속에서 1000rpm전후로 언덕을 올라가는 맛에 탑니다만.......
조금만 액셀을 지긋이 눌러주면 기름을 퍼먹고, 브레이크는 정차 직전에 찍찍대고, 과속방지턱을 좀 세게 넘어가면 뼈 부러지는 소리와 함께 중고값 막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는군요 ㅠ.ㅠ 하지만 320CDI는 숏버젼에 보나마나 깡통옵션(?)일텐데, 국내에선 SWB선호도가 낮고, 깡통옵션의 S는 오너를 실망시킨다는 것으로 위안해야겠군요 @.@
고속도로에서는 액셀을 자제하면 나름 리터당 9km까지 나와주고, 현대차와는 질적으로 틀린 미션/엔진 직결감 및 54.1kg/m의 토크로 저속에서 1000rpm전후로 언덕을 올라가는 맛에 탑니다만.......
조금만 액셀을 지긋이 눌러주면 기름을 퍼먹고, 브레이크는 정차 직전에 찍찍대고, 과속방지턱을 좀 세게 넘어가면 뼈 부러지는 소리와 함께 중고값 막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는군요 ㅠ.ㅠ 하지만 320CDI는 숏버젼에 보나마나 깡통옵션(?)일텐데, 국내에선 SWB선호도가 낮고, 깡통옵션의 S는 오너를 실망시킨다는 것으로 위안해야겠군요 @.@
2008.02.12 09:39:49 (*.219.0.69)

300C 디젤과 S320CDI 엔진, ML280의 V6엔진은 메커니즘상 같습니다. 다만 브랜드에 따라, 모델에 따라 혹은 출력에 따라 세금 체계가 달라지는 유럽의 판매 지역 등에 따라 엔진 출력과 토크를 보정해 장착되는 것 뿐입니다.
OM642 D30 계열은, E320CDI에 얹어 FIA 내구 주행 테스트, 10만 마일을 30일동안 평균 시속 228km로 주파하는 기록을 세운 엔진입니다. 엔진만으로도 만족도가 클 것이라고 생각되고, 일부 수입 디젤 차량에서 발생하는 DPF 관련 트러블도 없었습니다. 튜닝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250마력과 58kg의 토크로 아주 쉽게 올라갈 수도 있지요. 가장 만족스러운 엔진 중의 하나였습니다.
OM642 D30 계열은, E320CDI에 얹어 FIA 내구 주행 테스트, 10만 마일을 30일동안 평균 시속 228km로 주파하는 기록을 세운 엔진입니다. 엔진만으로도 만족도가 클 것이라고 생각되고, 일부 수입 디젤 차량에서 발생하는 DPF 관련 트러블도 없었습니다. 튜닝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250마력과 58kg의 토크로 아주 쉽게 올라갈 수도 있지요. 가장 만족스러운 엔진 중의 하나였습니다.
2008.02.18 14:22:18 (*.219.84.220)

일반디젤엔진에 비해서 4기통 220cdi엔진의 정숙도 또한 뛰어난것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6기통디젤은 더욱 조용할꺼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320 cdi엔진이 가장 기대하던사양인데,,,s클래스에만 적용되어 많이 아쉽더군요...적당한 달리기 좋은연비,,,생각보다 장거리여행시 기름값으로 휘발유 반값정도면 해결되더군요^^
디젤엔진은 오래운전하다보면 운전에재미는 조금 아쉬움으로 작용하긴 합니다
그래서 휘발유랑 겸용으로 운전해야 좋을것같더군요^^
6기통디젤은 더욱 조용할꺼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320 cdi엔진이 가장 기대하던사양인데,,,s클래스에만 적용되어 많이 아쉽더군요...적당한 달리기 좋은연비,,,생각보다 장거리여행시 기름값으로 휘발유 반값정도면 해결되더군요^^
디젤엔진은 오래운전하다보면 운전에재미는 조금 아쉬움으로 작용하긴 합니다
그래서 휘발유랑 겸용으로 운전해야 좋을것같더군요^^
제법 인기있는 페이튼 디젤의 시각으로 봤을때 S350의 25%정도의 인하가격이라면 좋은 반응도 기대가 됩니다.
ML280 과 같은 엔진인가요?
내/외부 사진도 첨부되었으면 좋았을뻔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