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http://autospy.paran.com/board/bbs.php?table=free2&query=view&uid=5050&p=1지난 19일 발표된 르노삼성의 QM5는 같은엔진이 변속기에 따라서 출력이 23마력이나 차이가 난다. 자사의 2000cc 173마력 디젤 엔진이 자동변속기와 결합할 경우 디젤 환경사양인 ‘EURO-4’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성능을 낮추는 디튠(De-tune)을 한 것이 원인이다. 결국 4WD 수동모델 한가지를 제외한 전 디젤엔진 모델은 150마력으로 동급 타사모델과 유사한 수준인 것이다.
12월 3일부터 계약에 들어가는 QM5는 2WD 자동/수동과 4WD자동변속기 모델로 모두 150마력이다. 그러나 홍보에 인용한 173마력 모델은 4WD 수동변속기 모델에만 해당되어 소비자들의 선택에 혼돈을 주고 있다.
국내 출시 차량중에 같은 엔진으로 다른 출력을 내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173마력 차량을 선택하기 위해서 변속기에 제한이 있다는 내용은 자사 성능제원표의 바깥쪽에 작은 글씨로 별도 표시되어있다. 소비자들이 광고에 쓰여있는 성능만 보고 차를 고르다가는 150마력의 차를 173마력으로 오해할 수 있는 것이다.
동급 모델에서 173마력의 출력은 수입차 못지 않은 뛰어난 성능이다. 하지만 4WD 모델에 수동변속기를 선택해야만 선택할 수 있는 성능이어서 아쉬움을 남긴다.
같은엔진을 가지고 더 비싼 차량가격을 지불하면서 무려 23마력이나 출력이 낮고 연비도 떨어지는 자동변속기를 선택해야 한다면 동급의 타사 SUV와 큰 차별을 느끼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100만km 시험주행을 무사히 마쳤다’는 르노삼성의 발표는 50대의 차량으로 각각 2만km씩 주행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렇다면 ‘2만km씩 50대의 테스트 차량이 시험주행을 마쳤다’라고 표현해야 정확할 것을 마치 한대의 차량으로 100만km의 내구성 테스트를 성공한 것 처럼 오해의 여지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르노삼성의 첫 자체개발 차량인 QM5가 화려한 수식어로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23마력이나 출력을 낮춘 차량을 더 비싼 가격에 구입해야 한다면 소비자의 입장에선 아쉬움이 남는 선택일 수 밖에 없다.
===================================================================================
엔진 디튠이야 뭐 환경 기준때문이라고 하면 이해할만 하지만...
역시나 마케팅은 최고 Spec을 기준으로 하다보니 이런 혼돈도 오네요...ㅋㅋ
Spec에는 큰 차이가 없을 듯 하네요... 기존 경쟁차량들과...
미션 및 편의 사양은 신차니까 물론 더 좋겠지만요...
가장 웃긴게 100만km 내구성 테스트 방법이네요... ㅋㅋ
50대로 2만km씩... 100만km...
100대로 10만km씩 했으면 어땠을지... ㅡ.ㅡ;;
싼타페 2.2 럭스가 170마력대로 올라간걸보면 QM5를 의식한건지도 모르지만, 뚜껑이 열려봐야 판가름 날 것 같네요...
투싼, 스포티지, 싼타페, 윈스톰, QM5...
재미나는 싸움이 될 것 같습니다...
12월 3일부터 계약에 들어가는 QM5는 2WD 자동/수동과 4WD자동변속기 모델로 모두 150마력이다. 그러나 홍보에 인용한 173마력 모델은 4WD 수동변속기 모델에만 해당되어 소비자들의 선택에 혼돈을 주고 있다.
국내 출시 차량중에 같은 엔진으로 다른 출력을 내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173마력 차량을 선택하기 위해서 변속기에 제한이 있다는 내용은 자사 성능제원표의 바깥쪽에 작은 글씨로 별도 표시되어있다. 소비자들이 광고에 쓰여있는 성능만 보고 차를 고르다가는 150마력의 차를 173마력으로 오해할 수 있는 것이다.
동급 모델에서 173마력의 출력은 수입차 못지 않은 뛰어난 성능이다. 하지만 4WD 모델에 수동변속기를 선택해야만 선택할 수 있는 성능이어서 아쉬움을 남긴다.
같은엔진을 가지고 더 비싼 차량가격을 지불하면서 무려 23마력이나 출력이 낮고 연비도 떨어지는 자동변속기를 선택해야 한다면 동급의 타사 SUV와 큰 차별을 느끼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100만km 시험주행을 무사히 마쳤다’는 르노삼성의 발표는 50대의 차량으로 각각 2만km씩 주행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렇다면 ‘2만km씩 50대의 테스트 차량이 시험주행을 마쳤다’라고 표현해야 정확할 것을 마치 한대의 차량으로 100만km의 내구성 테스트를 성공한 것 처럼 오해의 여지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르노삼성의 첫 자체개발 차량인 QM5가 화려한 수식어로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23마력이나 출력을 낮춘 차량을 더 비싼 가격에 구입해야 한다면 소비자의 입장에선 아쉬움이 남는 선택일 수 밖에 없다.
===================================================================================
엔진 디튠이야 뭐 환경 기준때문이라고 하면 이해할만 하지만...
역시나 마케팅은 최고 Spec을 기준으로 하다보니 이런 혼돈도 오네요...ㅋㅋ
Spec에는 큰 차이가 없을 듯 하네요... 기존 경쟁차량들과...
미션 및 편의 사양은 신차니까 물론 더 좋겠지만요...
가장 웃긴게 100만km 내구성 테스트 방법이네요... ㅋㅋ
50대로 2만km씩... 100만km...
100대로 10만km씩 했으면 어땠을지... ㅡ.ㅡ;;
싼타페 2.2 럭스가 170마력대로 올라간걸보면 QM5를 의식한건지도 모르지만, 뚜껑이 열려봐야 판가름 날 것 같네요...
투싼, 스포티지, 싼타페, 윈스톰, QM5...
재미나는 싸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07.12.06 01:53:39 (*.110.99.25)

백만 킬로미터 내구성 제목에 저도 낚였네요 ㅎ
엔진 내구 테스트만을 한다고 쳐도 롤러 위에 차 올려놓고 시속 100km로 24시간 돌려도 일년이 훌쩍 넘게 걸리는 시간인데 말이지요 ㅎ
기사 내용 중에 같은 엔진으로 다른 출력을 내는게 국산차 중엔 처음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같은 차종/같은 엔진에 다른 출력은 HD가 선배 아닌가요?
엔진 내구 테스트만을 한다고 쳐도 롤러 위에 차 올려놓고 시속 100km로 24시간 돌려도 일년이 훌쩍 넘게 걸리는 시간인데 말이지요 ㅎ
기사 내용 중에 같은 엔진으로 다른 출력을 내는게 국산차 중엔 처음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같은 차종/같은 엔진에 다른 출력은 HD가 선배 아닌가요?
2007.12.06 03:19:34 (*.34.101.144)
돈킴님 말씀대로 HD가 QM보다 빠르죠. 오토미션이 출력이 낮습니다....수동이 121마력이고 오토가 110마력 되던가요?
2007.12.06 09:00:55 (*.46.117.69)

전 50대의 100만키로 테스트일때부터 감 잡았습니다.
낚시꾼들...
마케팅 방법이 점점 더 낚시꾼화 되가는거 같아서 항상 씁쓸합니다.
솔직하게 팔면 안되는건지... 낚이는 사람들의 잘못인지...
낚시꾼들...
마케팅 방법이 점점 더 낚시꾼화 되가는거 같아서 항상 씁쓸합니다.
솔직하게 팔면 안되는건지... 낚이는 사람들의 잘못인지...
2007.12.06 09:58:26 (*.148.159.138)

어떻게든 낚아보려는 자들이 있는 한 이런 류의 소식은 계속 접하게 되겠죠...
가격도 높은데 저런 상술을... ㅎㅎ
르삼도 참...
누굴 닮아가려는 건지... ㅉㅉㅉ
가격도 높은데 저런 상술을... ㅎㅎ
르삼도 참...
누굴 닮아가려는 건지... ㅉㅉㅉ
2007.12.06 12:23:47 (*.46.122.32)

그때 제가 모 싸이트에서 그거보고 하도 웃겨가지고 리플달았었는데..
쏘나타시리즈 오너 100만명이 모여서 1km씩만 시동끄고 밀어서 주행하면
쏘나타가 세계최초로 무공해 100만km 주행하는 대 기록을 세운다고..ㅋㅋ
쏘나타시리즈 오너 100만명이 모여서 1km씩만 시동끄고 밀어서 주행하면
쏘나타가 세계최초로 무공해 100만km 주행하는 대 기록을 세운다고..ㅋㅋ
2007.12.06 21:04:53 (*.139.38.197)

미션과 배기가스의 상관관계에 대해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4wd 미션이 배기가스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생각이 나지를 않습니다. 얼핏 보기엔 출력을 미션이 받쳐주지 못해 디튠했다는 느낌이 강하구요.
2007.12.06 22:38:30 (*.129.200.174)

동일모델이 변속기의 차이에 따라 출력을 디튠하는 경우는 외국의 경우도 흔하진 않습니다만..없진않습니다. 배기모드가 천이형태의 모드이다보니 자동변속기를 이용해 추종하기엔 한계가 있었는가 본데...개발능력의 차이일지..D-day를 앞두고 시간의 싸움에서 진건지는 알 수 없는 노릇입니다. QM5의 경우는 배기기준을 자동변속기 적용시 맞추기 어려워서 출력을 낮춘걸로 알고 있습니다.
2007.12.07 00:00:45 (*.92.20.200)

2.0 dCi 채택된 모델인 르노의 신형 라구나 / 닛산의 신형 X-Trail이 QM5와 동일하게 엔진 출력/미션 조합이 되어 있습니다. 즉 수동만 17x 마력으로 나온다는 것이지요.(토크가 37 정도 일겁니다)
다른 예지만 2.5 휘발유 모델은 CVT가 올라 가는데 이 미션도 3x 토크를 감당 못하기 때문에 휘발유에만 올라 갑니다.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자동 미션 용량 문제로 150마력으로 설정 한 것으로 판단 됩니다. 이미 르노에서 175마력 대응 6단 자동 미션을 발표하긴 했지만 반년도 되지 않은 자료 입니다. 즉 실차 적용에는 좀더 시간이 필요 해 보입니다. - 결국 자동 미션 용량 문제로 인한 설정일 듯 합니다. (아반테도 이러한 case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예지만 2.5 휘발유 모델은 CVT가 올라 가는데 이 미션도 3x 토크를 감당 못하기 때문에 휘발유에만 올라 갑니다.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자동 미션 용량 문제로 150마력으로 설정 한 것으로 판단 됩니다. 이미 르노에서 175마력 대응 6단 자동 미션을 발표하긴 했지만 반년도 되지 않은 자료 입니다. 즉 실차 적용에는 좀더 시간이 필요 해 보입니다. - 결국 자동 미션 용량 문제로 인한 설정일 듯 합니다. (아반테도 이러한 case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