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보통 해외에서 브레이크 튜닝킷으로 가끔 보이는 것이 브레이크 쉴드란 제품인데요
http://www.seinesystems.com/TiBrake-Home.htm
이런식으로 브레이크패드 양쪽으로 하나의 플레이트를 같이 끼워서
브레이크 패드에서 캘리퍼로 열이 전도되는것을 줄여주는 작용을 해줍니다
보통 티타늄소재를 종종 쓰던데
왜그런가 하고 찾아봤는데
티타늄이 다른 금속에 비해 열전도율이 상당히 낮더군요
전도율이 구리의 4%정도 되더라구요
이런곳에서도 보이구요...
설명을 읽어보면...
캘리퍼쪽으로 열이 많이 전도될 경우
fluid fade라고... 베이퍼락이 발생할위험도 있고
브레이크액 온도가 올라가면
페달답력이 느슨해진다.. 뭐 이런 내용들로
제품의 효과를 설명하더라구요...
http://www.ebcbrakes.com/automotive_product_news/caliper_drag.shtml
ebc홈피에 들어가보니...
뭐 caliper drag라고 설명을 하는데
제가 영어가 짧아서 제대로 해석을 했는지는 모르겠는데
캘리퍼온도가 높아졌을때
뭐 실링의 변성, 캘리퍼 피스톤의 변성(?) 뭐 이런내용이 아닌가 하는데 맞나요?
아무튼...
예전에 베이퍼락을 한번 경험해본적도 있기때문에
그래서 이러한 브레이크 쉴드 제품에 대해서 나름 괜찮은 아이템이 아닌가 생각을 하던차에
이제품과 관련해서 지인과 토론을 하던중에 이런 의견을 피력하네요
---------------------------------------------
마찰면 사이에서 발생된 열은 어딘가를 통해 빠져나가야 하는데 캘리퍼 쪽으로 나가는 통로를 좁혀준 셈이군요. 결국 디스크 로터쪽이나 패드쪽에 열부하를 높여주는 효과나 다름없습니다요.
페이드 현상을 줄여주지는 못하고 증가시켜줄 것 같습니다.
캘리퍼를 알루미늄으로 만드는 이유는 경량이기도 하지만 열전도율이 높은 만큼 빠른 방열을 통해 마찰면으로 부터 발생한 열을 패드로부터 받아 공기중으로 날려보내는 역할이 있기에 알루미늄으로 만듭니다.
-------------------------------------------------
의견을 들어보니 뭐 틀린내용은 아닌거같고...
이 이야기를 듣고나서 생각해보니
브레이크패드에서 캘리퍼쪽으로
열전도가 너무되도 문제 (캘리퍼 피스톤, 실링변성, fluid boiling)
너무 안되도 문제(패드의 열포화도 증가?)
인듯한데요...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떠신지..
그리고 이런 브레이크 쉴드제품에 대한 의견은 어떠신지 궁굼합니다
아.. 물론 단순 공도주행의 관점이 아니라
서킷주행과 같은 고부하 주행의 경우입니다

일반적으로 저런 아이템은...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조금만 더 하다가 거의 끝에 다다른... 아이템 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http://cdn2.media.cyclingnews.futurecdn.net/2010/08/09/1/shimano_xtr_m980_brake_pads_600.jpg
자전거같은경우 경량으로 제작해야해서 원체 용량이 작기때문에(브레이크는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날려버리는 장치) 저런방식을 채용한제품도 있습니다.
자동차같은경우 저런 제약요건이 덜하기때문에 그냥 용량을 키운제품을 셋업하거나 직접 외부공기를 적극적으로 밀어넣어주는걸하는게 보통이죠.

국산순정부품중에서 일부 차종 한하여 브레이크패드앗세이로 악세사리가 들어가있습니다
수년전에 비하면 일반금속심제품과 켈리퍼에 들어가는스프링이 들어갔는데..
지금은 이런악세사리들이 테프론코팅이 들어가있습니다
제작단가도 2배에 이상들어가는 테프론코팅을 하는이유가 있겠지요
참고로 아반테MD전에 들어가는 순정브레이크패드는 테프론코팅이 들어가는
앗세이제품입니다 이제품으로 서킷을 주행을 많이해보아도
괜찮은 응답력을 보여주고 있어서 이전 MD전에 순정브레이크패드가 규정이됐더군요
현재사용하시는 브레이크시스템 악세사리를 테프론코팅업체에 의뢰를
해보시고 끼우시면
더 좋은 브레이킹효과가 있지않을까 합니다
-----------------------------------------------------------
이건 다른이야기지만 베이퍼록이 갑자기 생각나서ㅋ 오래전에 ㅋ
예전에 나토스펙 브레이크액을 구해서 써봤는데 파시는분에 말에따르면
DOT5 이상효과가 나고 전차에쓰이는 실리콘계열브레이크액이라고해서
비싼비용을 치루고 브레이크액을 교환해서
안산서킷을 가본적이있는데...
8바퀴돌고 피트인해서 앞바퀴를보니 연기가나고 디스크는 빨간색을 나타내고
...5분후쯤 다시 들어갈려고 차를 탑승해서 브레이크를밟는데
브레이크 쑤욱~ 그냥 스폰지처럼 베이퍼록을 맞더군요 ㅋ
그거 식히느랴 20분간 왔다갔다 ㅋ 하면서
고생한적이 생각이 나는군요
나중에 업체사장한테 물어봤더니 ㅋ 기존브레이크액과 혼합이되서
그런경우가 생긴거 같다고 하더군요..
그이후로 실리콘계열의 브레이크액은 웬지 거부감이 들더군요 ^^
답은 작성하신 글속에 있는거 같습니다.
어디에 포커스를 맞출거냐에 달렸네요...
서킷주행만 고려한다면...저라면 저걸 쓰느니 브레이크 오일을 더 좋을걸로 쓰겠습니다...
패드 입장으로 본다면 서킷주행이라면 거의 한계 주행에 가까운데 방열까지 차단한다면...버거울듯 하네요..
아주 고내열성 메탈릭패드나 소결 패드를 사용하시지 않는한..
우선 제동시 받는 열의 온도에 따라서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넘은 패드입니다. 500도는 우숩게 넘어갈테니까요...
그 다음은 백플레이트, 캘리퍼, 오일 순으로 영향을 받을텐데요...
저 제품은 백플레이트와 캘리퍼 사이에 단열을 목적으로 끼운다는 건데...
패드쪽으로 열이 집중하게 될듯 합니다.
정 궁굼하시면 간단하게 적당히 닳은 패드와 백플레이트를 구해서 사이에 끼우고 시험해 보시는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