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얼마전 국내에 들여온 오토라이트 레이싱플러그를 빨간앙마(뉴클릭R)에 장착하고, 일주일 정도 사용해 봤습니다. 스피드페스티발용 클릭R 튜닝 규정에는 점화플러그가 자율로 규정되어있어, 그간 클릭/세라토 레이서들은 열방출성이 양호한 이리듐플러그를 주로 사용해왔습니다.

레이싱플러그의 경우는, 특별한 소재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점화력이 강하고, 실화율이 적은편이라 완전연소에 의한 출력향상에 도움이 되는대신, 수명이 짧아 가격부담이 높으면 엄두를 내기 어려운데, 이번에 들여온 오토라이트 레이싱플러그는 현실적인 가격으로 공급되어 꽤 메리트가 있어 보입니다.



레이싱플러그는 신속한 열발산에 유리하고, 일렉트로드와 발화팁의 구조가 강력한 점화를 일으키기 유리한 구조로 되어있더군요. 몇일간 중저속의 시내주행과 고속크루징 테스트를 해본 결과.. 일반플러그에 비해 토크감 향상에, 확연한 차이를 보이더군요.

발화팁의 굵기와 모양이 일반플러그와 완전히 틀리지요?

일단..오토라이트 레이싱플러그는 다른 플러그와 달리, 장착 즉시 토크와 출력의 향상을 바로 느낄 수 있습니다. 순정에서 백금이나 이리듐플러그로 교환했을때는 실화율이 줄어들어 매끄러운 회전질감만 살짝 느껴졌을 뿐인데, 레이싱플러그는 체감 가속이 뚜렷하게 강해지더군요. 정확한 가속타임을 측정해보진 못했는데, 클릭같이 출력이 낮은 차로는.. 어림잡아 7~10% 정도의 향상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아이들링에서 살짝 발을 얹은 천알피엠의 저속부터 휠 컷 7천알피엠까지 꾸준하게 두터워진 토크감으로 밀어붙입니다. 엔진의 회전질감은 다소 칼칼한 느낌이 들고, 배기음도 좀 더 힘차집니다. 지하주차장의 경사진 출구를 보통 2단으로 올라오는데, 아주 낮은 알피엠에서도 부하가 덜걸리는걸로 뚜렷한 토크향상을 체감할 수 있었네요.
강변북로가 널럴한 오전시간, 상암구장부터 구리까지 고속크루징 테스트를 해봤는데, 130 오버 시점부터의 가속감이, 낯설게 느껴질 정도로 힘차더군요. 엔진 열이 심한 하드튠 차나 터보차에는 어떨지 모르지만, 노말의 NA 엔진에선 내구성도 꽤 오래갈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
경기용 슬릭타이어가 그립력이 우수한 대신, 빨리 닳아버리는 것 처럼.. 레이싱플러그의 경우는 발화력이 높은대신.. 잦은 교환주기를 갖게 됩니다. 수입처에서는 클릭R 경우는 3,4 경기 이상 극한상황도 견딜 수 있을걸로 예상은 하는데, 아직 검증되진 않았습니다. 차에따라 다르겠지만, 제 예상으로 공도스포츠드라이빙 수준의 드라이빙에선 만키로 이상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듯 한데.. 앞으로 한동안 테스트 후, 좀 더 상세한 리뷰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2007.12.23 17:48:04 (*.42.155.28)

플러그가 마력 및 토크 향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요?;; 간단히라도 답변을...단지 엔진을 점화시키는거에만 관여하는게 아니였나요?
2007.12.23 19:52:23 (*.229.113.21)

점화력이 커서 스파크가 강하니 폭발력이 증대되고, 열발산율이 좋아 조기점화나 실화율이 적어지니 출력도 올라가겠죠? 연비도 평소보다 양호하던데.. 상세한 건 잘 모릅니다.^^ 암튼 체감 파워는 실제로 올라가는게 확실합니다. 트랙 테스트도 함 해볼참인데, 타이어상태 날씨, 오일 스펙과 정확히 비교해야 하므로 실측치를 논리로 풀긴 조금 어려울겁니다. ㅋ
2007.12.24 01:19:16 (*.229.113.21)

로드 테스트중인데, 곧 트랙달리기를 해봐야할거 같아 키로수체크는 어려울듯 해요. 가격이 그리 비싸지않으니 한번쯤 직접 장착 경험해보시는것도 좋을 듯.^^
2007.12.24 02:20:46 (*.21.76.231)

덴소 이리듐 플러그 열가7을 쓰다가 열가 6으로 바꿨는데
열가7때는 좀 거친느낌이 컸는데 열가6으로 바꾸니까 굉장히
부드럽네요. ^^;;
열가7때는 좀 거친느낌이 컸는데 열가6으로 바꾸니까 굉장히
부드럽네요. ^^;;
2007.12.24 13:50:25 (*.98.174.200)

구리 재질로 되어있는 것이 가격을 저렴하게 판매할 수 있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그라운드 전극이 약간 뒤로 물러나 있는 점만 빼고는 전극 부분은 일반 구리 플러그와 다른 점은 없어보이는 군요. 아마도 그라운드 전극이 가리면서 점화된 연료의 폭발을 막는 현상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해서 그렇게 만든 듯 합니다. 백금이나 이리듐의 경우는 고온에서 구리보다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좋기 때문에 전극을 작게 만들어서 점화에 필요한 전압을 낮추면서 장수명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점화계통에서 충분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자주 교환을 해준다면 구리 플러그도 성능이 떨어질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열가에 따라 정해지겠습니다만 방열 성능도 레이싱용이면 일반도로용보다는 뛰어날테니 자연발화도 억제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점화시기를 진작시키는 효과로 토크 향상등이 있습니다만, 일반도로에서 사용시에는 전극에 카본 찌꺼기가 타지 못하고 끼어서 수명이 짧아지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신경을 써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2007.12.24 14:16:28 (*.98.174.200)

NGK에서도 유명한 V-power 시리즈 (전극이 V자 홈이 파여있어서 Quenching 현상 억제와 각진 부분이 많아지면서 점화에 필요한 전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에다가 그라운드 전극이 약간 물러나 있는 것을 결합한 V-power racing 플러그가 있네요. 클릭에 맞는 열가와 사이즈가 있다면 이 제품 역시 구리로 만들어져 있어서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이됩니다. 내구성을 생각하시지 않고 레이싱에서 성능만을 추구하신다면 한번쯤 써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Autolite, Champion등 제품도 좋지만 개인적으로 플러그는 덴소와 NGK가 왠지 더 믿음이 갑니다. ^^
2007.12.25 01:38:15 (*.229.113.21)

NGK나 덴소는 가격이 어느정도인가요?
이리듐이 십여만원 호가하던데..
국내 가끔 공급되는 여타 레이싱퍼포먼스 플러그들은, 한대분에 십여만원씩 해..짧은주기로 사용하는데,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 보이더군요.
이리듐이 십여만원 호가하던데..
국내 가끔 공급되는 여타 레이싱퍼포먼스 플러그들은, 한대분에 십여만원씩 해..짧은주기로 사용하는데,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 보이더군요.
2007.12.25 14:27:37 (*.34.71.62)

NGK나 덴소 순정용 이리듐..(예를 들면 에쿠스용) 개당 만원 입니다. 4기통은 4만냥, 6기통은 6만냥이면 되지요. 튜닝용과 순정용 차이가 클까요? 궁금.. 전 HD에 에쿠스용 끼고 다니고 있습니다.ㅎㅎ
2007.12.25 20:29:58 (*.119.4.101)

익렬님의 후기는 항상 많은분들을 솔깃하게 만드신다는...^-^
책임지세욧~ 벌써 지름신이 여러회원님들 찾아가신듯..ㅎㅎ
책임지세욧~ 벌써 지름신이 여러회원님들 찾아가신듯..ㅎㅎ
2007.12.26 11:06:46 (*.20.191.254)

NGK나 덴소도 구리도 된 플러그들은 가격이 저렴합니다. 레이싱용이 아닌 구리 V-power 플러그들은 미국가격으로 개당 약 2천원정도 합니다. Autolite처럼 레이싱용이 그라운드 전극만 뒤로 후퇴한 점만 다르다면, Autolite 레이싱 플러그가 미국가격으로 개당 3천원 정도하고, V-power 레이싱 버전의 경우도 개당 4천5백원 정도에 팔고있네요.
이리듐의 경우 순정용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꽤 수명이 깁니다. 사용을 해보니 이리듐만 있는 플러그들은 그라운드 전극이 일반 플러그와 같아서 그런지 수명이 그리 길지 않은데, 순정타입으로 이리듐 중앙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에 백금을 결합한 것들은 상당히 내구성이 좋아보입니다. 레이싱용으로 따로 나온 이리듐 제품들도 있습니다만, 순정 타입 이리듐도 조금 차가운 열가의 제품을 쓰면 레이싱용으로도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뉴클릭의 경우 열가 5를 순정으로 쓰는 것 같은데, 열가 6이나 7짜리를 써도 레이싱 이벤트에만 쓴다면 카본 찌꺼기가 끼는 등의 문제는 크게 없을 듯 합니다. 가격도 순정타입 이리듐들은 NGK나 덴소나 미국가격으로 개당 1만2천원 정도합니다.
이리듐의 경우 순정용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꽤 수명이 깁니다. 사용을 해보니 이리듐만 있는 플러그들은 그라운드 전극이 일반 플러그와 같아서 그런지 수명이 그리 길지 않은데, 순정타입으로 이리듐 중앙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에 백금을 결합한 것들은 상당히 내구성이 좋아보입니다. 레이싱용으로 따로 나온 이리듐 제품들도 있습니다만, 순정 타입 이리듐도 조금 차가운 열가의 제품을 쓰면 레이싱용으로도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뉴클릭의 경우 열가 5를 순정으로 쓰는 것 같은데, 열가 6이나 7짜리를 써도 레이싱 이벤트에만 쓴다면 카본 찌꺼기가 끼는 등의 문제는 크게 없을 듯 합니다. 가격도 순정타입 이리듐들은 NGK나 덴소나 미국가격으로 개당 1만2천원 정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