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알터네이터가 사망하는 바람에 멀리서 어부바...그리고 교체하기에 이르렀습니다.

 

10년동안 별탈없이 지내더니 요즘들어 센터 출입이 잦습니다.

 

배터리도 주행키로수는 적지만 약 10만키(10년)로 이후에 교체하였고 무엇보다 살살 타고 다니기에 탈나는 경우는 적었습니다.

 

좀 불안한 냉각/히터 라인이 터지지 않는이상 질질싸며 도로 가장자리에서 빌빌대지는 않겠죠.?

 

종종 어부바해오는 BMW오너들의 증언에 의하면  길거리에서 서버리면 차는 둘쨰치고, 참 쪽팔린다고 합니다.

 

알터네이터 부품만 최종..부가세 별도로 158만원 합니다.ㅋ

보쉬제 수냉식 알터입니다. 쪼만한게 150A를 생산하니 비쌀수 밖에 없기도 하지만 이놈들 왜 수냉식으로 넣어놨는지 정류자만 교체 할 수 가 없는 모듈입니다.

센터 올 수리 후 2만키로 만에 다시 오일이 비쳐 로커암 가스켓 작업도 병행하니 부가세 포함 220만원이네요.

(서울서 물건 공수할 겨를이 없었다는..)

점검비다 뭐다..빼고나니 초기 작업지시비용보다 10~20%줄어든 비용입니다.

 

센터의 장점인 2년 보증에 위안을 삼고 돌아왔습니다만..아직 하체의 걸리적거리는 잡소리를 잡으려면 또...ㅋ

 

이야기도중 포르쉐를 비롯 현 신형비엠들의 수리비 가격도 만만치 않다는 것과 과연 도요타 캠리하나 사서 주구장창 밟고 다니는게 속편할까 라고 생각해 봤습니다. 물론 시내주행용이고..세컨은 따로..

 

현재 국내 수리비용면에서 프리미엄급이 아닌이상 벤츠의 눈탱이는 엄청나던데요..^^;;

 

4년/무제한키로 보증한다는 폴쉐는 앞으로 남고 뒤로 밎지는 장사가 아닐까도 생각해 보게 됩니다.

 

기능적인 역할 면에서 수입차의 부품비용은 적당한듯하면서도 막상 지갑에서 돈 나갈때는 배가 살짝아프기도 합니다. 고치고 타고 나올땐 언제 그랬냐는 식이지만..

 

알터하나에 190만원 한다는건..ㅎㅎ 웃음뿐입니다.

 

현대도 신형 에쿠스이하 동급 차량 수리비용이 예전의 그것과는 완전 다르단걸 지금 소비자들은 알까요?

 

일년주행이 1만키로 이하이고 10년이 된 차량으로 타 차량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부품교체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넋두리를 한다는것에 과연 기계적 완성도에서 오는 프리미엄을 제외하고,  보증제도와 금전의 연관 관계에 대해 어떻게하면 속편히 타고 다닐수 있을까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