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드라이브에는, 각 자동차 모임의 리더들이 많이 계신걸로 알고있습니다.

하드코어한 드라이빙 모임부터, 차의 감성과 낭만을 즐기는 원메이크 그룹.. 올드카매니아에서 수퍼카모임들까지..제가 알고있는 분만 해도 쟁쟁한 자동차클럽의 리더들이 많습니다. 많지않은 경험이지만, 그룹 드라이빙 시 페이스리더가 중요시 해야하는 몇가지 사항이 떠올라 잠시 정리해 봅니다.

그룹 드라이빙의 트렌드도 그간 많이 바뀌어온게 사실인데.. 90년대 초반, HAM 하는 오너들 사이에 이동 무선교신을 즐기며 달리던 시절에서, CB가 일반화되며 무리지어 달리는데서 소속감을 즐기던 그룹드라이빙.. 하드코어한 쎄미 레이싱클럽에서는, 무조건 쏘고 달리는 써바이벌 드라이빙이 성행했었죠. 이때는.. 정신없이 달리다보면, 중간에 논두렁에 쳐박히거나 없어지는 차들이 많았습니다.^^

요즘엔 고성능차들의 모임이 많아지고, 핸드폰이 일반화되어 달리는 중 불필요한 교신은 집중력을 방해해서인지.. 교신없이 달리는게 자연스러워졌고, 오프로딩을 즐기는 SUV 매니아들을 제외하곤, CB를 사용하는게 조금은 뒤쳐진 트렌드가 되었지요.

그러나.. 이런저런 드라이빙에 리더가 되거나 참가자가 되어 달려보면, 페이스리더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이는..드라이빙에 참가한 많은 동료들이 불쾌한 드라이빙이 되거나, 위화감만 주게되는 경우를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또는..지나친 경쟁으로 참가자끼리 사고를 일으키는 불의의 장면도 목격하게 됩니다.


일단 페이스 리더는..
드라이빙에 참가하는 모빌과 드라이버들의 스킬과 성능을 파악하는데 집중해, 초반에는 적절하고 안전한 페이스를 유지하고, 서로에 대한 팀웍과 성향을 조율하는데 신경써야 합니다. 모빌의 성능과 드라이버의 연륜을 파악하고 포지션을 정해준 후, 다음 대기장소에 대한 인폼.. 주의할점에 대한 브리핑이 필요한데 이는..운전을 꼭 더 잘해서가 아니라, 드라이빙에 참여하는 멤버쉽의 긴장감을 형성하고, 주위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코스를 잘 모르는 참가자를 위해..
갈래길이 많은 구간에선, 서행 대기해주고.. 좌우회전이 필요한 곳에선 후미부터 보내고, 리더가 대기해주는 배려가 필요합니다. 출발시 정해준 포지션은 중간중간 차량성능에 따라 일시변동이 있어도 이내 복귀해주는게 좋겠고, 멤버들이 자신의 선 후모빌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할겁니다.

외길 주행의 경우..
보통 자율모드로 스피드업을 하는 구간은, 외길이여서 일행이 코스를 찾는데 불편함이 없는구간에서 이루어집니다. 이때는.. 리더와 선두그룹이 앞에가는 일반차량을 먼저 추월하게 되는데..문제는, 추월후 후미차량들이 무사히 추월을 마칠때까지 에스코트를 해줘야함 입니다. 또한 추월시 바로 후미차량은 앞차가 무사히 주행차선에 복귀한 후 추월에 들어가야 합니다.

운전 잘하는 드라이버는 많이 보지만, 리딩을 맡겨보면 혼자만 신나게 달려가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물론 드라이버들의 신뢰도와 모임의 성격..차종에 따라 양식은 많이 달라지겠지만, 함께 즐거운 드라이빙이 되어야하는 각종 클럽드라이빙의 경우.. 몇가지 중요한 사항만 리더나 구성원이 인지한다면, 차종과 성능에 상관없이 흐믓한 드라이빙이 될것입니다.

진부한 내용 같지만, 크고작은 각 클럽의 리더여러분께서..참고하고 한번씩 더 생각해보시면 참 좋을 내용같아 올려봤습니다. ^^


깜장독수리..